통합 검색

LIFE MORE+

놀자. 날자

나 이런 편지를 받았다.

UpdatedOn December 23, 2011


1. 놀자
나 이런 편지를 받았다.
‘편집장의 글을 읽고 이런 느낌을 받았어요.
엄마가 미안하다. 유학은 나중에 보내주마.’
지난달 이 지면에 썼던 글 때문이다. 
정확히 ‘에이어워즈 행사에 많이 초대하고 싶지만 여건이 안 돼 죄송하다’고 썼었다.  
나의 부채 의식을 정확히 읽어낸 독자다.
후두둑. 더 미안해져버렸다.
마음만 부자인 엄마가 돼버렸다.

나 마음을 꺼내 쓰다듬었다.
“그래요, 아드님들.
가끔 또래도 계시던데, 제가 <아레나> 지면에선 대장이니까
그냥 이렇게 편하게 말할게요.
사실 저 미안한 마음이 안타까운 마음보다 크진 않아요.
같이 놀고 싶은데 그러지 못해서 심통이 났었거든요.”
정말 그랬다.
아들 밥해줄 시간인데
밭도 매야 하고 땅도 파야 해서 화딱지가 났었다.

나 나눌 게 많다.
“그래요, 아드님들.
<아레나>가 흥겹게 움직이면, 그 흥이 재잘대는 공기를 타고 아드님들 엉치뼈를 콕콕 찌를 거예요. 이게 그 유명한 베르누이 법칙과 일맥상통하는 건데… 여튼 공기가 가벼워져서 아드님들은 의자를 박차고 날아가게 되는 거죠. 정확히 이걸
에이(     )토스테론 증상이라고 하죠.” 
이건 가족력이라 같은 피라면 백 퍼센트 같은 증상을 보인다.
우리가 좋아하는 걸 좋아하고 우리가 궁금해했던 걸 궁금해하는 바로 그 사람이라면 당연히 에이토스테론 증상에 시달릴 거다.
같은 피가 아니라면 몸에 별 반응은 없을 거다.
심각할 거 없다.
맘 맞으면 같이 놀고,
안 맞으면 같이 안 놀면 되고.

나 건넬 게 많다.
2012년의 첫 달.
달뜬 맘으로 가족의 징표를 만들었다. 
1년 365일 우리를 칭칭 동여맬 부적 같은 걸 만들었다.
그게 아드님들이 전해 받은 검은색 다이어리다.
그게 손안의 갤러리가 된다면 신날 것 같았다. 
그래서 예술가 13명의 손을 빌려 미니 화집처럼 만들었다.
쓰고 또 써도 흠집 하나 안 날 튼튼한 놈이면 싶었다.
그래서 아드님 손을 떠나게 하고 싶지 않았다.
군말을 섞진 않았다. 여백을 채우는 건 아드님의 몫이라 여겼다. 
하지만 겉장엔 큼지막한 글씨를 박았다.
‘Take your pleasure seriously’
그림자가 폴짝거리며 따라오는 느낌이다.
이 마음 품고 같이 놀자.
우리 방식대로 놀자.

2. 날자
나 이런 질문을 받았다.
“나는 왜 못 날아요, 엄마?”
어, 어, 그러게 말이다.
평생 이런 질문 받게 될 줄 몰랐다.
몰랐으니 답안을 준비하지도 못했다.

나 이런 생각을 했다.
“My son, you are just at the beginning.
Just follow your dreams
wherever they go.”
앤서니 퀸처럼 긴 호흡으로 말하리라. 
하지만 그러지 못했다.
이런 철학적인 말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었다.
아들은 세 살이다. 

나 이런 생각도 했다.
“그래, 아들아.
새들이 빠르게 움직이면, 윗부분 기압이 순간 낮아진단다. 그렇게 되면 상대적으로 기압이 높은 아래쪽 공기가 새의 몸을 위로 들어 올리게 돼. 이런 걸 베르누이의 법칙이라고 하는데… 음… 이 법칙이란, 기체의 속력이 빠르면 기압이 낮아진다는 거지.”
요한 볼프강 파울리 박사처럼 냉철하게 원리를 짚어주고 싶었다.
또한 그러지 못했다.
논리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었다.
아들은 아직 기차와 기(가)차다를 구분하지 못한다.

결국 나 이렇게 말했다.
“날고 싶니?”
“네에.”
“정말 날고 싶니?”
“네에에~.”
“그래, 날자.”
“….”
“비행기 타자.”
세 살 아들과 마흔세 살 엄마는 그렇게 함께 날았다.

나 생각한다.
아들은  
하늘을 나는 원리를 배우고 싶은 게 아니다. 
그저 날고 싶은 거다.
그래, 그렇게 믿고
날자.
우리가 날 수 있는 방식대로 날자.

p.s
지난달 개인 메일 주소를 공개한 후 편지를 수두룩하게 받았다. 콕콕 찔리는 말도 많았고 팍팍 기운 나는 말은 더 많았다. 미천한 레터를 마음에 차곡차곡 보관하고 계신다는 이무성 님, 네이버 생중계를 제안해주신 신재인 님, 저를 ‘신의 한 수’라 불러주신 gto3082님, 라이프스타일을 움직이는 씨앗이 잡지라 생각한다고 적어주신 박세민 님
……
감사합니다. 그저 감사합니다. 찡했어요.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디지털 매거진

MOST POPULAR

  • 1
    ART PIECES
  • 2
    Spring Fatigue
  • 3
    어느 영화광이 꿈꾼 시계
  • 4
    진짜 K-팝은 발라드다
  • 5
    Euphoria at Anantara

RELATED STORIES

  • LIFE

    HAND IN HAND

    새카만 밤, 그의 곁에서 영롱하게 빛나는 물건 둘.

  • INTERVIEW

    스튜디오 픽트는 호기심을 만든다

    스튜디오 픽트에겐 호기심이 주된 재료다. 할머니댁에서 보던 자개장, 이미 현대 생활과 멀어진 바로 그 ‘자개’를 해체해 현대적인 아름다움을 더했다. 공예를 탐구하고 실험적인 과정을 거쳐 현대적인 오브제를 만들고자 하는 두 작가의 호기심이 그 시작이었다.

  • INTERVIEW

    윤라희는 경계를 넘는다

    색색의 아크릴로 만든, 용도를 알지 못할 물건들. 윤라희는 조각도 설치도 도자도 그 무엇도 아닌 것들을 공예의 범주 밖에 있는 산업적인 재료로 완성한다.

  • FASHION

    EARLY SPRING

    어쩌다 하루는 벌써 봄 같기도 해서, 조금 이르게 봄옷을 꺼냈다.

  • INTERVIEW

    윤상혁은 충돌을 빚는다

    투박한 듯하지만 섬세하고, 무심한 듯하지만 정교하다. 손이 가는 대로 흙을 빚는 것 같지만 어디서 멈춰야 할지 세심하게 고민한 결과물이다. 상반된 두 가지 심성이 충돌해 윤상혁의 작품이 된다.

MORE FROM ARENA

  • DESIGN

    Portraits of Cars

    이 차를 타는 사람은 어떤 모습일까? 차를 보며 생각한 얼굴들을 그려보았다.

  • INTERVIEW

    반 보 앞으로

    트렌드를 이끌어가는 전 세계 젠지와 밀레니얼에게 케이팝은 어떤 의미일까. 새로움의 대명사일까. 케이팝이라는 글로벌 현상은 어떻게 유지되고, 어떤 미래를 맞이하게 될까. 케이팝 산업을 이끌어가는 엔터테인먼트 대표, 작곡가, 비주얼 디렉터, 안무가, 보컬 트레이너, 홍보팀장을 만났다. 그들에게 케이팝의 현재와 미래, 팬들이 원하는 것을 물었다. 케이팝 산업을 통해 2020년대의 트렌드를 살펴본다.

  • FASHION

    Full Details

    더 크게, 그리고 더 자세하게 포착한 각각의 세부.

  • LIFE

    48 New Bags

    새로운 시즌을 위한 액세서리들이 물밀듯 출시되는 2월, 남녀 불문 가장 눈길이 가는 것은 단연 다양한 ‘신상 백’일 것이다. 여성 제품 못지않게 남성들을 위한 가방도 더 화려해지고 더 다양해지는 추세다. 지난해부터 주목받았던 젠더리스의 흔적은 이제 가방에서까지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는 한편, 여전히 남자들만을 위한 절제되면서도 클래식한 디자인을 지향하는 브랜드들도 있다. 광대한 선택의 폭에 선택장애가 올 것만 같다면 가장 주목할 만한 신상 가방 48가지를 추려본 게이트 폴더를 망설임 없이 활짝 열어볼 것.

  • INTERVIEW

    오상욱이 이기는 방식

    익숙해질 때까지 반복해라. 남들이 재미없어하는 걸 열심히 해라. 즐기기 위해서는 이겨라. 펜싱 선수 오상욱이 들려준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되는 방법.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