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가을을 ‘책’임질 독서 아이템 5

독서도 장비가 중요하단 사실!

UpdatedOn October 03, 2024

3 / 10

 

1 쿠오뜨 | 심플 북레스트

책을 읽다 잠시 내려놓고 싶을 때도 유용하고 책갈피로 쓰이기도, 더불어 인테리어용으로도 제격인 아이템. ‘심플 북레스트’에 책을 올려두면 책의 커버가 눈에 띄니 자꾸만 책에 손이 간다. 아담한 크기로 침대맡 또는 책상 위, 집안 어디에나 두기 좋다. 가운데 삼각 내부 공간에 안경, 포스트잇 등 작은 소품도 넣어둘 수 있어 일석이조를 넘어 일석삼조의 아이템이다.

3 / 10

 

2 오니프 | 북 홀더링

책을 집중해서 읽다 보면, 어느새 책을 잡고 있는 손에 무리가 가기 마련. ‘북 홀더링’을 접하고 나면 ‘왜 이걸 이제야 알았지?’ 싶을 정도로 신세계가 열릴 것. 조개 모양의 ‘북 홀더링’은 적은 힘으로 책을 쉽게 펴주어, 보다 편한 독서를 돕는다. 책을 쥐고 있는 손에 작은 해방감을 선사하고 싶다면 하나쯤 구비해두는 것을 권한다.

3 / 10

 

3 퓨헨 | 무소음 뽀모도로 타이머

독서를 하고 싶은 시간만큼 돌려서 사용하는 타임 타이머. 완독을 하기엔 부담스럽고, 단시간에 독서를 몰입해서 하고 싶은 이들에게 추천한다. 무소음으로 초침 소리가 나지 않고, 설정한 시간이 완료되면 LED 등으로 알려주어 소리에 예민한 사람들도 사용하기 좋다. 시간을 쪼개 조금씩이라도 독서하는 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도와준다.

3 / 10

 

4 트위너 | 레고 북마크

트위너의 레고 북마크는 실용성은 기본이고, 알록달록한 색감의 통통 튀는 디자인으로 독서 시간을 기분 좋게 만들어준다. 책에 꽂혀 있는 독특하고 예쁜 책갈피, 그 작은 요소 하나가 독서를 하고 싶어지는 이유가 되어줄지도 모른다. 트위너의 ‘레고 북마크'와 함께라면 책을 읽고 싶은 의욕이 마구 샘솟을 것.

3 / 10

 

5 윤지훈 작가 X 로파 서울 | 미니 램프

손으로 빚어낸 흔적이 그대로 묻어나는 윤지훈 작가 X 로파 서울의 ‘미니 램프’는 작은 크기지만 은은한 불빛으로 따뜻하고 몰입도 높은 독서 분위기를 만들어준다. 오브제로도 훌륭한 역할을 해낸다. 독서로 하루를 마무리하는 이라면 하나쯤 들여볼 것.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CREDIT INFO

Assistant editor 박성연

디지털 매거진

MOST POPULAR

  • 1
    봄·봄·봄
  • 2
    굿우드의 유령들
  • 3
    제 점수는요
  • 4
    <아레나> 6월호 커버를 장식한 스트레이 키즈 현진
  • 5
    BONDED LIVES

RELATED STORIES

  • LIFE

    하나를 고른다면 이것! 그들의 최애 술 5

    막걸리부터, 와인, 샴페인까지.

  • LIFE

    그때 와인 한 잔

    와인 애호가들은 봄에 어떤 와인을 떠올릴까? 그림 같은 풍경에서 즐긴 와인, 이탈리아 소도시에서 미식과 곁들인 와인, 일본 한 와인 바에서 맛본 새로운 와인. 이 계절 어떤 순간 마신, 잊지 못할 와인과 이야기에 대해 들었다.

  • LIFE

    피트의 모든것

    라프로익 10년은 누구나 좋아할 위스키는 아니다. 하지만 누구든 그 매력을 알면 빠질 수밖에 없다. 피트 자체를 선명하게 한 모금으로 구현한 위스키. 피티드 위스키라는 영역에서 라프로익 10년이 서 있는 위치다.

  • LIFE

    진짜 K-팝은 발라드다

    K-팝 가수들이 코첼라 무대에 오르고 그래미에서 상을 탄다. ‘두 유 노 BTS?’는 ‘아임 프롬 코리아’를 대신하는 인사말이 됐다. 하지만 마음속 깊은 곳에서 생각한다. 가장 ‘K스러운’ ‘팝’은 발라드라고. 한국인의 얼과 혼이 담긴 그 장르. 발라드에 기대어 위안을 얻던 시절로 돌아가 그 매력과 진가를 살폈다.

  • LIFE

    페스티벌의 계절

    5월의 '낭만' 충전을 책임질 5곳.

MORE FROM ARENA

  • LIFE

    플랫폼 시대의 명암

    팬데믹이 몰고 온 뉴노멀 시대, OTT 플랫폼은 신속하게 대세로 자리 잡았다. OTT 콘텐츠는 선정성 및 폭력성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지상파 방송에서 볼 수 없던 주제나 소재, 아이템 등을 자유롭게 실험할 수 있는 장이 되었다. 반면 OTT에게 대중문화 산업의 총아 자리를 내준 영화 산업은 위기에 처했다.

  • INTERVIEW

    내 이름은 차주영

    이름만으로 설명이 필요 없는 사람이 있다. 배우 차주영은 그런 유명인일까, 아닐까. <더 글로리>에서 혜정으로 인상을 남기고, <원경>을 통해 차주영이란 이름을 알렸다. 지나간 한순간이 아닌 앞으로 보여줄 모습이 더 궁금해지는 배우. 지금은 설명하지만, 조만간 설명이 필요 없을 배우. 처음이니 우선 이름을 말한다. 멋있는 여자, 차주영.

  • REPORTS

    유연한 태도

    잘 만든 가구와 흉내 낸 가구는 있어도 감도 높고 창의적인 가구는 없었던 한국에 박길종이 등장한 것은 2010년 크리스마스이브였다. 그날 밤 문을 연 길종상가에서 박길종은 서울의 이야기로 한국에 없던 물건과 가구들을 만들어낸다.

  • FILM

    태그호이어 X 유연석

  • FASHION

    Play Shoes II

    스포티한 스니커즈의 전성시대, 하나씩 신고 마음껏 뛰었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