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CAR MORE+

괴짜 자동차

저마다의 이유로 10년 뒤에는 완전히 사라질지도 모를 자동차들을 타봤다. 이 차 한 대쯤은 지금 모습 그대로 남아도 좋지 않을까 싶었다.

UpdatedOn April 15, 2024

/upload/arena/article/202404/thumb/55895-534766-sample.jpg

폭스바겐 골프 GTI

사지는 않더라도 타봐야 하는 차

에디터 일을 처음 시작한 곳은 자동차 잡지였다. 선배 기자들은 차에 타자마자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특징을 귀신같이 알아챘다. 승차감이 단단하다, 코너링이 예리하다, 엔진 사운드를 부드럽게 다듬었다, 속도가 빨라질수록 차가 바닥에 착 달라붙는다 등등. 도로 주행도 겨우 해내던 어시스턴트에게는 뜬구름 같은 표현들이었다. 내 눈에는 그저 비싼 차와 예쁜 차만 보였다.

기준점을 찾고 싶었다. 이를테면 매운 음식을 주문할 때 ‘신라면 맵기 정도’ 처럼 말할 수 있는 자동차. 기자 생활을 10년 넘게 한 선배는 내게 이렇게 말해주었다. “기준점이 되는 차들이 있지. 승차감, 실용성, 가속력 모두 ‘평균’에 가까운 차. 보통 그런 차들이 많이 팔려. 좋은 의미로 무난하니까. 골프가 딱 그런 차야.” 그날 이후로 폭스바겐 골프에 대한 생각이 자리 잡았다. 한 번은 꼭 타봐야 하는 차.

“아랫부분을 깎아 ‘D’ 모양으로 완성한 스티어링휠은 흔히 스포츠카에서 볼 수 있는 요소다.
실제 성능과 상관없이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는 디자인이지만, GTI는 겉과 속이 일치하는 차였다.”

단점이 없는 게 장점

신형 8세대 골프 GTI의 첫인상은 명확했다. 이 차는 재밌으라고 만든 차구나. 실제로 골프 GTI는 폭스바겐 엔지니어들이 ‘내가 타고 싶은 차’를 목표로 만든 차다. 운전석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건 스티어링휠이었다. 아랫부분을 깎아 ‘D’ 모양으로 완성한 스티어링휠은 흔히 스포츠카에서 볼 수 있는 요소다. 실제 성능과 상관없이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는 디자인이지만, GTI는 겉과 속이 일치하는 차였다. 시동을 걸고 스티어링휠을 돌리자 손끝에 묵직한 느낌이 전해졌다. 차체가 작으니 차선을 바꾸거나 코너링을 할 때도 뒤뚱거리는 느낌 없이 재빠르다. 서울의 좁은 골목을 다닐 때도 확실히 주차 부담이 적었다. 하루 종일 GTI를 타고 서울 곳곳을 누비는 동안, 7년 전 자리 잡았던 골프에 대한 생각은 이렇게 변해갔다. 한 번이라도 타보면 갖고 싶어지는 차.

그때가 맞다면 지금도 맞을까

1976년 처음 출시된 골프는 연비와 수납성을 앞세워 ‘유럽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자동차’가 됐다. 2년 뒤 나온 GTI는 기존 골프에 속도와 재미까지 더해 ‘핫해치’라는 장르를 열어젖혔다. 그로부터 약 50년이 지난 지금도 GTI는 폭스바겐에 여전히 가장 중요한 모델 중 하나다. 잘 팔리고 상징적이니까. 그럼에도 폭스바겐은 지난해 ‘전동화 전환 박차’를 이유로 골프 단종을 선언했다. 물론 전기차 후속 모델이 나올 예정이다. 기존 골프는 전기차로 바뀌어도 장점이었던 연비와 수납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GTI는 사정이 다르다. 큰 배터리로 출력을 높인다 해도 4기통 엔진을 쥐어짜며 경쾌하게 달리는 감각을 대체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 즐거움을 한 번도 느끼지 못했다면 아쉬울 것도 없겠지만, GTI와 보낸 짧은 시간 때문에 다시는 그전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됐다.

첫 출시 연도 1976년 시작 가격 4970만원 전장×전폭×전고 4290×1790×1450mm 파워트레인 2.0L 직렬 4기통 가솔린 터보 엔진 최고출력 245ps 최대토크 37.7kgf·m 공차중량 1496kg CO₂ 배출량 149g/km 복합 연비 11.5km/L

/upload/arena/article/202404/thumb/55895-534767-sample.jpg

BMW M3 컴페티션 투어링 M x드라이브

아빠가 만든 자동차

M3 투어링은 한 아버지의 고민에서 시작됐다. 1984년 막스 라이스뵉은 뮌헨에서 BMW 프로토타입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었다. 두 아이의 아빠인 막스 라이스뵉에게는 가족을 모두 태울 수 있는 차가 필요했다. 가장 쉬운 해결 방법은 큰 차를 사는 것일 테지만 막스는 달랐다. 그는 중고 3시리즈를 구입해 회사 몰래 개조를 시작했다. 단면도는 없었다. 머릿속에 있는 모습대로 C필러를 뒤로 옮겨 지붕을 연장하고 문을 달아 공간을 추가했다. 막스 라이스뵉이 만든 왜건은 완벽했다. 문제는 외부에 있었다. 근로계약서에 회사에서 승인하지 않은 차를 만들면 안 된다는 내용이 있었던 것이다. 그는 문제가 커지기 전 자신이 개조한 차를 회사에 보여줬고, 차를 다시 가져갈 수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 그리고 1987년, BMW에서 3시리즈 투어링이 정식 출시됐다.

“M3는 고성능, 투어링은 실용성을 의미한다.
그 조합이 근사한 테일러 수트에 운동화를 신은 것처럼 이질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
동시에 누군가에게는 대체할 수 없는 매력이 되기도 한다.”

못생긴 차 중에 제일 잘생긴 차

왜건은 한국에서 정말 인기가 없다. 출시되는 종류만 봐도 알 수 있다. 지금 한국에서 살 수 있는 국산 왜건은 딱 한 대다. 제네시스 G70 슈팅 브레이크. 그마저도 처음에는 유럽 시장 전략 모델로 나왔다 뒤늦게 한국에 들어왔다. 왜건은 실용성으로 타는 차다. 세단의 정숙함과 SUV의 실용성을 모두 갖췄으니까. 이동 수단으로서만 생각해본다면 안 살 이유가 없는 차다. 하지만 한국은 실용성보다 럭셔리가 통하는 시장이다. 게다가 왜건은 한국에서 ‘못생긴 차’라는 오명까지 썼다. 그걸 벗겨보고 싶었다. 그래서 고른 차가 M3 컴페티션 투어링 M이다. 시승차를 받기로 한 날. 저 멀리 다가오는 M3 투어링을 보며 생각했다. 예쁘잖아? 앞쪽으로 바짝 눕힌 C필러는 살찐 스포츠카라기보다, 날렵하게 근육을 가다듬은 SUV에 가까웠다. 뒷바퀴 사이에 달린 원형 테일 파이프 4개 역시 눈에 띄는 요소다.

무덤으로 돌아오라

M3 투어링. 공생할 수 없을 듯한 두 단어를 합쳐 만든 차다. M3는 고성능, 투어링은 실용성을 의미한다. 그 조합이 근사한 테일러 수트에 운동화를 신은 것처럼 이질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 동시에 누군가에게는 대체할 수 없는 매력이 되기도 한다. 앞서 M3를 탔을 때는 이런 생각이 들었다. 잘생기고 빠르지만 내게는 과한 차. M3를 타고 꽉 막힌 테헤란로에 서 있을 때는 마치 턱시도를 입고 지하철에 탄 기분이었다. 반면 M3 투어링은 왜건이 주는 공간과 디자인 때문에 화려한 인상이 확실하게 덜하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내 생각일 뿐, ‘왜건의 무덤’이라 불리는 한국에서 BMW가 이 차를 언제까지 팔지는 모르겠다. 때마침 기사를 쓰던 중 왜건과 관련된 중고차 뉴스가 떴다. 인기가 적은 왜건은 감가도 커서 합리적인 가격으로 중고차를 살 수 있다는 내용이었다.

첫 출시 연도 1987년 시작 가격 1억3820만원 전장×전폭×전고 4800×1905×1445mmmm 파워트레인 3.0L 직렬 6기통 가솔린 트윈파워 터보 엔진 최고출력 510ps 최대토크 66.3kgf·m 공차중량 1890kg CO₂ 배출량 213g/km 복합 연비 8.1km/L

/upload/arena/article/202404/thumb/55895-534768-sample.jpg

제네시스 GV80 가솔린 3.5 터보

공중에 떠오른 남자

미국 LA 남서부에 있는 롤링힐스 에스테이트. 40대 중반 남성이 홀로 GV80을 몰고 있었다. 알 수 없는 이유로 그는 내리막길에서 브레이크 대신 가속페달을 밟았다. 시속 100km를 넘긴 차는 통제력을 잃었고, 나무에 부딪힌 차는 공중으로 떠오른 뒤 그대로 전복됐다. 남자는 오른쪽 다리뼈가 산산조각 났고 정강이에 철심을 꽂아 넣었다. 심각한 부상이었지만, 망가진 차의 모습을 본 사람들은 되려 그가 살아 있는 것을 기적으로 여겼다. 내가 3년 전 미국에서 일어난 교통사고를 자세하게 설명할 수 있는 이유는 하나다. 운전자 이름이 타이거 우즈이기 때문이다. 사실 타이거 우즈가 살아남은 건 운 때문만이 아니다. GV80은 지난해 미국 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가 발표한 충동평가에서 최고 등급을 획득했다.

“주행 모드를 컴포트에서 스포츠로 바꾸면 영락없는 고성능 SUV의 주행 질감도 누릴 수 있다.
GV80을 모는 내내 잘생기고 인성도 좋은 운동선수를 만나는 느낌이었다.”

제네시스의 기대치

지금 보고 있는 차는 타이거 우즈가 탔던 GV80의 페이스리프트 버전이다. 신형 GV80은 두 가지 파워트레인으로 출시된다. 가솔린 2.5 터보와 3.5 가솔린 터보. 내가 받은 시승차는 3.5 가솔린 터보 모델로, 출력은 2.5 터보 버전보다 76마력 더 높은 380마력의 힘을 낸다. 이번 기사에 이 차를 섭외한 것도 GV80이 아닌 ‘가솔린 3.5 터보’라서다. 우리가 제네시스에 기대하는 것은 정숙한 승차감과 호사스러운 실내 인테리어, 그리고 안정성이다. GV80 웹사이트에 들어가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문구도 ‘역동적인 우아함과 정교한 럭셔리 디테일’이다. 역동적인 우아함과 정교한 럭셔리가 목적이라면 2.5 가솔린 터보도 충분하다. 그럼에도 제네시스는 전동화 시대의 문턱에 선 지금, 멸종위기종처럼 여겨지는 3.5L V6 가솔린 터보 엔진을 얹었다. 그 이유를 느껴보고 싶었다.

전기차의 길목에서

GV80은 힘이 넘쳤다. 가파른 오르막길에서도 내가 원하는 속도에 늘 예상보다 한 템포 빨리 도달했다. 충분히 ‘스포츠카답다’고 느낄 수 있는 정도다. 하지만 GV80의 넘치는 힘도 역시 럭셔리의 한 종류다. 럭셔리는 결국 여유가 있을 때 누릴 수 있다. 식사 한 끼에 똑같은 10만원을 쓰더라도 전 재산이 10만원인 사람과 100만원인 사람이 쓸 때의 기분은 다르다. GV80 3.5 가솔린 터보는 출력이 넘치니 똑같은 시속 100km로 달려도 운전자 입장은 ‘더 달리면 달리지’ 식으로 여유를 느낄 수 있다. 동시에 주행 모드를 컴포트에서 스포츠로 바꾸면 영락없는 고성능 SUV의 주행 질감도 누릴 수 있다. GV80을 모는 내내 잘생기고 인성도 좋은 운동선수를 만나는 느낌이었다. 이런 GV80을 볼 수 있는 날도 얼마 남지 않았다. 제네시스는 2030년부터 모든 내연기관 모델 판매를 중단한다.

첫 출시 연도 2020년 시작 가격 7480만원 전장×전폭×전고 4940×1975×1715mm 파워트레인 3.5L V6 가솔린 터보 엔진 최고출력 380ps 최대토크 54.0kgf·m 공차중량 2225kg CO₂ 배출량 223g/km 복합 연비 7.7km/L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주현욱
Photography 신동훈

2024년 04월호

MOST POPULAR

  • 1
    CAMP WITH ME
  • 2
    Spring Breeze
  • 3
    굿우드의 유령들
  • 4
    출사표
  • 5
    Chill Guy 박재범 사장님 등판하셨습니다

RELATED STORIES

  • CAR

    출사표

    최근 몇 개월, 신차가 쏟아졌다. 신차야 매년 등장하지만 이번에는 좀 색다르다. 부분 변경도, 세대 변경도 아니다. 전에 없던 진짜 신차가 줄을 이었다. 데뷔전을 앞둔 신인인 만큼 포부를 가늠해봤다.

  • CAR

    굿우드의 유령들

    롤스로이스 한 대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근사한 모험담이 만들어지는 과정이다. 새로운 전기차 ‘블랙 배지 스펙터’는 롤스로이스 기술의 결정체이자, 이들의 가장 흥미로운 이야기다. 그 비하인드 스토리를 듣기 위해 영국과 스페인으로 향했다.

  • CAR

    합리적으로 폴스타 2 손에 넣는 법

    폴스타에 관심 있는 사람이란 솔깃할 소식.

  • CAR

    이토록 멋진 퍼레이드

    12칠린드리 스파이더의 시동을 거는 순간, 주위에 사람들이 몰린다. 페라리가 기획한 퍼레이드에 동참하는 기분이다. 그냥 운전하는 것뿐인데. 그런 점에서 12칠린드리 스파이더는 퍼레이드에 제격이다. 원래 퍼레이드는 지붕 없이 오가니까.

  • CAR

    Colorful Design

    색으로 보나 디자인으로 보나 다채로운 자동차 넉 대.

MORE FROM ARENA

  • LIFE

    모던 제사상

    사 먹어서 편리하고 맛있어서 즐거운 오늘날의 제사 음식.

  • LIFE

    요나 지그리스트 '자유의 밴'

    낡은 밴을 구해 캠퍼 밴으로 개조한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자신의 캠퍼 밴을 타고, 세계를 돌아다니며 살아간다. 여행이 아니다. 삶의 방식이며, 자유를 갈망하는 사람들의 깨달음이다. 어디든 갈 수 있고, 어디서나 경이로움을 느끼는 움직이는 집. 밴 라이프를 실천 중인 7팀이 말하는 진정한 자유의 의미다.

  • LIFE

    오래된 손맛이 느껴지는 떡국 맛집 5

    설이 되면 더욱 생각나는.

  • LIFE

    BTS는 이제 그만

    활동 중단을 선언했지만 아직 우린 BTS에게 기대할 게 남았다.

  • LIFE

    게임하는 작가들: SF 작가 김보영

    기술 발전과 가장 밀접한 매체는 게임이다. 사실적인 그래픽과 정교한 구조는 사람들을 게임에 깊이 몰입시킨다. 이제 게임은 사용자로 하여금 이야기를 직접 만들게끔 유도하고, 사용자는 오직 자신만의 서사를 갖게 된다. 비록 로그아웃하면 그만인 휘발성 강한 서사라 할지라도 사용자의 뇌리에 오래도록 남아 다른 형태로 표현된다. 시나 소설이 되기도 하고, 때로는 설치미술로 눈앞에 등장하기도 한다. 미래에는 게임이 선도적인 매체가 되리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는 지금, 게임에서 영감을 받는 작가들을 만났다. 게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게임과 예술의 기묘한 연관 관계를 추적했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