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INTERVIEW MORE+

Art Piece with Fashion #택모사

패션 브랜드와 협업한 국내 가구 디자이너 4인.

UpdatedOn July 01, 2022

택모사

택모사

택모사는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을 주제로 한 아트 퍼니처와 오브제를 만든다. 그의 첫 연작은 ‘플레이리스트 시리즈’다. 이는 청각의 시각적 전환을 통해 음악을 입체화한 작업이다. 노래 제목이나 가수에 대한 단순 정보 전달을 넘어, 음악에서 연상되는 음악 속 화자의 생각 등을 상상하면서 이를 공감각적으로 표현한다. 그는 재해석한 창작물을 통해 대중에게 자신의 취향을 전달하는 것을 작업의 중요 요소로 생각한다.


Q 음악을 주제로 한 작품을 전개하게 된 계기는?
A 학창 시절부터 음악 감상이 취미였다. 오랜 시간 노래를 듣다 보니 이야기 속 등장인물에 자주 감정 이입되곤 했다. 이후 작업 주제를 고민하던 중, 이런 취향을 작업물로 표현해보자는 생각을 하게 됐다.

Q 영감의 대상이 되는 음악 선택의 기준은 무엇인가?
A 작업을 시작할 당시 가장 즐겨 듣는 노래이지 않을까.

Q 형태가 없는 소리를 시각화하는 과정이 궁금하다.
A 반복적으로 음악 감상을 하며 작업을 전개한다. 끊임없이 노래를 계속 들으며 곡에서 연상되는 분위기나 화자의 생각을 공감각적으로 재해석한다. 이런 식으로 정리된 데이터를 오브제의 크기나 형태, 색감 및 질감으로 치환하여 조형화한다.


Q 최근 리모와와 협업을 진행했다. 작업 계기는?
A 이전 작업물들을 보고 리모와 본사 측에서 연락했다. 이메일을 받고 난 뒤, 굉장히 얼떨떨하고 설레었던 기억이 난다.

Q 다프트 펑크의 곡 ‘Get Lucky’에서 영감받은 작품이라고 들었다. 그 노래를 선택한 이유는?
A 첫 전시 장소가 파리라는 말을 듣고 평소 프랑스 뮤지션 중 가장 좋아하는 다프트 펑크가 떠올랐다. 다프트 펑크를 처음으로 알게 된 노래가 ‘Get Lucky’였다.

Q 어떤 작품인가?
A 본격적인 작업에 들어가기 전 형태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다. 복잡한 머리를 식히러 간 광안리 해변에서 ‘Get Lucky’를 들으며 밤 산책을 했다. 그때 해변에서 보게 된 폭죽과 야경, 그리고 음악이 어우러져 마치 콘서트장에 온 듯한 기분이 들었다. 그 이미지를 조형화하여 캐리어 커스텀을 진행했다.

Q 작업 기간과 과정은 어떠했나?
A 1~2주 남짓한 기간 동안 작업했다. 해외에서 작업 재료가 오길 기다리고, 또 빠르게 배송해줘야 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캐리어 소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로 디자인을 시작했다. 또 재료 도착 후 수정하는 과정을 급박하게 진행해야 해서 어려움이 컸다.

Q 함께한 작업이 본인에게 긍정적으로 미친 영향이 있다면?
A 나 스스로를 옭아맸던 작업 방식에 대한 제약이 풀린 듯했다. 이전까지는 가구 또는 쓰임새에 초점을 두고 작업했다. 하지만 조형만을 제작한 이번 작업 이후로는 작가로서 표현 방식의 폭이 한층 넓어진 것을 체감할 수 있었다.

Q 또 다른 패션 브랜드와 협업한다면?
A 고민해본 적은 없지만, 이번 협업처럼 다른 브랜드와의 협업은 상상만으로도 즐겁다.

Q 향후 목표나 계획이 있나?
A 다음 작업물을 계획하고 있다. 좋아하는 것들에 좀 더 초점을 맞춰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3 / 10
/upload/arena/article/202206/thumb/51329-491406-sample.jpg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Guest Editor 하예지

2022년 07월호

MOST POPULAR

  • 1
    Spring Fatigue
  • 2
    하나를 고른다면 이것! 그들의 최애 술 5
  • 3
    없는 게 없는 포차
  • 4
    Euphoria at Anantara
  • 5
    제 점수는요

RELATED STORIES

  • INTERVIEW

    <아레나> 6월호 커버를 장식한 스트레이 키즈 현진

    워치 & 주얼리 브랜드 까르띠에와 함께한 현진의 <아레나> 6월호 커버 공개!

  • INTERVIEW

    Still JaY PARK

    몇 번이고 실패해도 기죽지 말 것. 잃을 게 없을수록 더 많이 도전할 것. 매번 멋있기보다 때로는 기꺼이 망가질 것. 시애틀의 말라깽이 소년이 오늘의 박재범이 될 수 있었던 이유다. 그와 대화를 나누며 생각했다. 내일의 박재범도 여전히 오늘의 박재범과 같을 거라고.

  • INTERVIEW

    MINOR DETAILS #한승우

    아티스트 한승우에게 사소로운 질문을 전했다.

  • INTERVIEW

    재주 소년 차강윤

    데뷔한 지 1년 차에 주연 자리를 꿰차고, 차차기작을 쌓아둔 신인. 초롱초롱 뚜렷한 눈빛에 총기가 좋은 그의 목표는 오스카상을 받는 것이라고 한다. 무궁무진 찬란하게도 빛나는, 앞날이 더욱 기대되는 차강윤과 나눈 대화.

  • INTERVIEW

    홍화연이 향하는 길

    후회하지 말자. 교사가 꿈이던 홍화연을 배우로 이끌어준 말이자 여전히 그를 움직이게 하는 신념이다. 실제로 만난 홍화연은 <보물섬> 속 은남을 어떻게 연기했나 싶을 정도로 밝고, 맑았다. 그런 그를 보고 있노라니 앞으로 분할 캐릭터들이 더 기대됐다. 어떤 얼굴로도 금세 변할 수 있을 것만 같아서.

MORE FROM ARENA

  • CAR

    모던 럭셔리의 재정의

    랜드로버 플래그십 럭셔리 SUV 올 뉴 레인지로버가 공개됐다. 5세대 레인지로버의 주제는 모던 럭셔리다.

  • INTERVIEW

    민규가 불렀던 노래

    연예인이 되고 싶었던 소년은 무작정 오디션을 보러 갔다. 거기서 애국가를 부르고 그냥 리듬을 탔다. 그 후 말로 할 수 없는 재능과 연습의 화학작용으로 세븐틴 민규가 되었다. 운동도 연습도 그냥 열심히 하고, 옛날 일은 그냥 잊는다는 민규와 나눈 이야기.

  • LIFE

    포스트휴먼 감각하기

    기술적 특이점이 오는 해, 2045년. 그때가 되면 인공지능이 인간 지능을 초월할 것이라고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은 주장한다. 인간이 좇기 어려운 속도로 기술이 발전한다는 예측이다. 정말 그런 날이 올까? 온다고 가정해보자. 그렇다면 인간의 의미도 새롭게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새로운 종류의 인간, 즉 포스트휴먼의 등장도 기대해봄직하다. 허나, 기술적 특이점을 지나지 않은 현시점에 포스트휴먼을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대신 상상은 해볼 수 있겠다. 다섯 명의 미술가에게 포스트휴먼에 관한 공통 질문을 던지자, 이내 흥미로운 답변들이 돌아왔다.

  • FASHION

    Grand Finale

    이탈리아 애티튜드, 유연한 오아시 리노로 품격 있는 낭만을 그린 제냐.

  • FASHION

    The Muffler Edit

    이토록 자유로운 머플러 스타일링 4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