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FASHION MORE+

Editor's Pick

프레드의 포스텐 컬렉션 팔찌

너와 나처럼 가장 잘 어울리는 조합으로 맞춰본 포스텐 컬렉션 브레이슬릿.

UpdatedOn February 01, 2021

/upload/arena/article/202101/thumb/47176-441944-sample.jpg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화이트와 블랙 다이아몬드 버클의 체인 브레이슬릿 1천4백82만원·화이트와 블랙 다이아몬드 버클의 뱅글 브레이슬릿 7백52만원·핑크 골드 라지 버클의 케이블 브레이슬릿 1천3백4만원· 핑크 골드 체인 브레이슬릿 6백49만원·화이트와 블랙 다이아몬드 세팅의 라지 버클 브레이슬릿 8백54만원·다이아몬드 세팅 버클의 케이블 브레이슬릿 4백36만원 모두 프레드 제품.

프레드 포스텐 컬렉션의 미학은 바다에서 기원한다. 1966년 첫선을 보였던 당시에는 닻 모티브 버클과 세일링 케이블이라는 신선한 소재의 접근으로 주목받았다. 물론 포스텐 컬렉션의 가장 큰 매력은 개성과 취향을 온전히 드러낼 수 있다는 것이다. 섬세하게 꼬아 만든 케이블과 가느다란 체인, 팔목에 살짝 여유 있게 차는 뱅글, 가죽 소재 등 평소 스타일에 맞게 고를 수 있다. 여기에 아이코닉한 버클 종류와 색상의 변주는 모래 한 줌을 일일이 세는 것만큼이나 버겁다. 입맛대로 커스텀한 포스텐 브레이슬릿을 레이어링해서 착용해도 멋지지만 마음을 나누는 이와 함께 가진다면 더없이 호사스러운 기분이 들 거다. 때마침 밸런타인데이가 있는 2월, 실패할 걱정 없는 선물은 언제나 반짝이고 낭만적임을 잊지 말자.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이상
PHOTOGRAPHY 박원태
ASSISTANT 김지현

2021년 02월호

MOST POPULAR

  • 1
    암호명 222
  • 2
    SUNNY, FUNNY
  • 3
    Live is Still Here!
  • 4
    From NOW ON
  • 5
    중고 노트북으로 쓴 소설

RELATED STORIES

  • FASHION

    Groundbreaker

    색다른 시선으로 남다른 노선을 걷고 있는 세 브랜드 창립자와 이메일을 주고받았다.

  • FASHION

    WITH MY BUDDY

    그린 필드 위 디올 맨의 프레피 골퍼들.

  • FASHION

    SKIN DEFENDER

    날씨 변화가 심한 봄철, 피부를 든든하게 지켜줄, 다채로운 제형의 스킨케어 제품들.

  • FASHION

    WEEKDAYS

    어떤 일상 속에 비친 주얼리.

  • FASHION

    DRIVE AWAY

    온전히 나만의 속도로 떠나는 짧고 긴 여정의 동반자.

MORE FROM ARENA

  • FASHION

    Seoul, my soul

    어둠에 잠긴 도시 속에서 한 줄기 빛으로 이어진 한국과 루이 비통의 유의미한 동행.

  • REPORTS

    아사코 그리고 카라타

    배우이자 모델인 카라타 에리카는 제71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출품된 일본 영화 <아사코 I&II>에서 주연을 맡았다. 아사코 역으로 분한, 그래서인지 불현듯 피천득의 <인연> 속 아사코가 떠올랐다.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것만 같은 애틋한 가슴 저림의 상징인 아사코와 닮은 카라타였기 때문인 듯싶다.

  • LIFE

    NEW WEAPON

    여포에게는 적토마가, 아서 왕에게는 엑스칼리버가 있다. 영웅에게는 그에 걸맞은 장비가 존재하는 법. 2020년, 게이머들을 영웅으로 만들어줄 장비는 무엇일까?

  • REPORTS

    배우고 익히니 즐겁지 아니한가

    동네를 산책하다 발견하는 역사와 문화의 조각들. 요즘 배우고 익히느라 정신없는 <동네의 사생활> 남자들과 인문학에 대해 이야기했다.

  • LIFE

    이란, 세 소녀

    히잡 시위를 계기로 이란은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혼란기를 겪고 있다. 혁명의 주체는 시민이고 시위대를 이끄는 이들은 히잡을 벗어던진 10대, 20대 여성이다. 세상은 혼란할지라도 일상은 계속되어야 한다. 이란의 10대, 20대 여성과 인스타그램 DM으로 짧은 대화를 나눴다. 혁명 속을 살아가는 소녀들의 이야기를 옮긴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