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HOME FESTIVAL

조용한 여름이 싫어 찾아본 음악 다큐멘터리 넷.

UpdatedOn June 05, 2020

/upload/arena/article/202006/thumb/45170-415458-sample.jpg

1 <리암 갤러거 : AS IT WAS> ROCK&ROLL

영화는 로큰롤 역사상 위대한 프런트맨 중 한 명인 리암 갤러거를 조명한다. 비틀스와 퀸 이후 저물어가던 브릿 팝을 부활시킨 밴드 오아시스. <슈퍼소닉>이 노엘과 리암 두 형제에 초점을 맞춰 오아시스의 흥망성쇠를 다뤘다면 <As It Was>의 서사는 밴드의 해체에서부터 시작한다. 많은 언론은 밴드 해체의 주된 원인으로 리암을 지목해 비난했다. 밴드의 해체 후 시작된 방황, 좌절 그리고 솔로로 화려하게 부활하기까지 10년의 발자취를 따라간다. 그 여정을 좇다 보면 ‘트러블 메이커’가 아닌 ‘인간적인 록스타’ 리암 갤러거를 만나게 된다. 감독 찰리 라이트닝이 10년간 리암의 주변을 맴돌며 모은 인터뷰와 영상, 효과적인 타이포그래피는 홀로 선 프런트맨의 이야기를 더욱 돋보이게 하는 요소. “술도 좋아하고 다 좋아하지만, 이젠 자러 갈 시간을 알 나이야.” 다시 일어선 철든 록스타의 고백이다.

  • 2 <트래비스 스콧 : 날 수 있어> HIP-HOP

    원제는 <Look Mom I Can Fly>로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힙한 남자 트래비스 스콧의 이야기다. 그래미 어워드 후보에 오른 앨범 <Astroworld> 제작 이야기와 그가 자신의 음악, 무대, 팬들을 대하는 태도를 여과 없이 담았다. 어린 시절과 현재의 타임라인을 번갈아 보여준다. ‘애스트로월드’는 그의 고향인 휴스턴에 있던 놀이공원이다. 잭은 어릴 적 추억이 고스란히 녹아 있는 ‘애스트로월드’에 대한 그리움으로 앨범을 만든다. 앨범 제작 과정도 흥미롭지만 인간적인 고민과 아버지로서의 모습 그리고 카니예 웨스트, 케빈 파커, 카일리 제너 등 셀럽을 보는 재미도 있다. 이 다큐멘터리를 보면 대중이 왜 그에게 열광하는지 십분 이해하게 된다.

  • 3 <롤링 선더 레뷰 : 마틴 스코세이지의 밥 딜런 이야기> FOLK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음유시인 밥 딜런을 거장 마틴 스코세이지의 시각으로 풀었다. 감독은 1975년 ‘롤링 선더 레뷰’ 투어를 시작한 밥을 반추한다. 기나긴 침묵을 깨고 다시금 활동을 시작한 밥 딜런의 불같은 열정과 열창을 담았다. 다양한 등장인물과 새하얗게 분칠한 밥 딜런의 공연은 어디서도 볼 수 없는 다큐멘터리의 백미. 당시 미국은 베트남전의 실패와 닉슨 대통령의 퇴임 등 다소 혼란한 시기였다. 이에 밥은 국민에게 힘이 되고자 미국을 관통하는 투어를 기획했다. 작은 도시를 다니며 대규모 공연장이 아닌 시민회관, 교도소같이 작고 관객과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장소만을 무대로 삼았다. 마틴 스코세이지는 이 위대한 여정의 초점을 밥의 전설에 맞추지 않았다. 밥이 뮤지션과 함께 음악을 대하는 태도와 열정에 집중했다.

/upload/arena/article/202006/thumb/45170-415459-sample.jpg

4 <마일스 데이비스 : 쿨의 탄생> JAZZ

재즈의 최전선에 선 한 남자. 트렘펫 연주자이자 작곡가, 그리고 전설로 살다 간 마일스 데이비스를 추적한다. 돈 치들이 만든 영화 <마일스>가 마일스의 어둡고 거친 면에 초점을 맞췄다면, <마일스 데이비스 : 쿨의 탄생>은 비교적 ‘순한 맛’이다. 그는 재즈 음악으로 유럽을 매혹시켰고 말쑥한 수트 차림으로 페라리를 몰았다. 그 모습은 인종 차별에 시달리던 흑인에게는 희망과 표상이었다. 재즈에 위기가 찾아왔을 때도 그는 굴하지 않고 새롭고 다양한 장르의 뮤지션과 협업하고 투어 공연을 다니며 재즈의 위상을 지켜나갔다. 그를 위대한 혁명가라 부르는 이유다.

EDITOR’S PICK
팝의 여제를 다룬 드라마 둘

  • <비욘세의 홈커밍>

    시대의 디바, 여왕, 팝 문화의 아이콘…. 비욘세를 수식하는 단어는 무수히 많다. 이 다큐멘터리를 보면 그녀에게 붙는 수식어에 절로 고개를 끄덕이게 될 거다. 긴 공백기에 맞닥뜨린 99kg의 몸무게, 예전 같지 않은 기력. 하지만 그녀는 사람들의 우려를 비웃기라도 하듯 완벽하게 돌아온다. 그리고 2018 코첼라 페스티벌에 당당히 오른다. 최고의 무대를 펼치며.

  • <미스 아메리카나 테일러 스위프트>

    2020 선댄스 영화제 개막작으로 선정된 <미스 아메리카나>. 그래미 어워드를 수상한 최고의 가수로서 빛을 발하는 모습 뒤 이면을 보여준다. 화려한 왕관의 무게를 견디긴 쉽지 않다. 대중의 따가운 시선과 성추행 피해 공방까지. 테일러는 자신을 둘러싼 부정적인 시선에 안주하지 않는다. 당당하게 목소리를 내며 맞서 싸운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김성지

2020년 06월호

MOST POPULAR

  • 1
    Freeze
  • 2
    그 시절 내가 사랑한 안경남
  • 3
    Groundbreaker
  • 4
    THE PILATES CELINE
  • 5
    믿고 보는 진영

RELATED STORIES

  • LIFE

    봄, 봄, 봄!

    봄 제철 식재(食材)를 활용한 한식 다이닝바 5

  • LIFE

    호텔보다 아늑한 럭셔리 글램핑 스폿 5

    캠핑의 낭만은 그대로, 불편함은 최소화하고 싶다면.

  • LIFE

    그 시절 내가 사랑한 안경남

    안경 하나 바꿨을 뿐인데!

  • LIFE

    Live is Still Here!

    티켓 한 장으로 여러 라이브 클럽을 오가며 공연을 즐기는 홍대 앞의 축제 ‘라이브 클럽데이’가 10주년을 맞았다.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홍대 앞을 지키는 라이브 클럽, 아티스트, 관객은 한목소리를 낸다. 라이브는 영원하다고.

  • LIFE

    INSIDE OUT, 국동호

    구석구석 들여다본 <솔로지옥 4> 국동호의 가방 속.

MORE FROM ARENA

  • INTERVIEW

    힙노시스 테라피가 보여줄 미래

    짱유와 제이 플로우가 결성한 전자음악 듀오 힙노시스 테라피는 직관적이다. 화려한 기교 없이 그들은 보이는 그대로 충분히 강렬하다.

  • FASHION

    Flexible

    너르고 유연한 가방을 가볍게 비웠더니, 바닥에 납작 멋지게도 접혔다.

  • LIFE

    멕시코의 마리아치

    취재할 수 없는 시대에 우리는 무엇을 다뤄야 할까. 대대적인 봉쇄령에도 사람들은 일상을 지속한다. 베란다에서 글을 쓰고, 온라인 콘텐츠를 만들고, 저항과 논쟁을 이어가고, TV 쇼에 문자 투표를 한다. 팬데믹 시대에도 라이프스타일은 지속된다. 세계 12개 도시의 기자들이 팬데믹 시대의 삶을 전해왔다. <모노클> <뉴욕타임스> <아이콘> <내셔널 지오그래픽> <매그넘> 기자들이 전해온 21세기 가장 암울한 순간의 민낯과 희망의 기록이다. 지금 세계는 이렇다.

  • REPORTS

    어떤 여배우

    평생 연기를 할 것 같은 배우들이 있다. 그들은 승리에 도취되지 않으면서 진취적이다. 욕심이 많지만 세상 눈을 신경 쓸 때 발현되는 욕심이 아니라 스스로를 향한 욕심이다. 이유영이 그렇다.

  • FASHION

    Whispered Sophistication

    미묘한 빛과 그림자 사이, 벨루티의 정교한 실루엣.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