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데뷔해 마지막 앨범 <썬파워> 이후 4년 만에 새로운 앨범 <모래내 판타지>를 냈다. 뜬금없이 이 외딴 동네에서 무슨 일을 벌이느냐고 물었을 때, 조웅은 답했다. 도시인데도 도시 같지 않고, 서울인데 서울 같지 않은 공간이 모래내라고. 도시로부터, 사람들로부터 한 발짝 떨어져 있는 듯한 정서를 느끼고 싶었다고. 구남과여라이딩스텔라의 느낌은 늘 생경했다. 늘 어디론가 떠나는 것 같은데도 현실을 도피하는 것처럼 느껴지지 않았다. 오히려 다가오는 현상을 마주하고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만 같았다. 2017년에는 대만 타이난에서, 2019년에는 서울의 모래내에서 조웅은 계속해서 노래를 연주하고 만들고 즐긴다.
전기도, 수도도 아무것도 없던 텅 빈 상가의 2층, 이전에 신당으로 사용됐다는 작업실은 생각보다 넓고 예상보다 현실적이었다. 재개발이 예정된 낡은 동네의 오래된 건물에는 창문도 빛도 없었다. 직접 창을 내고 타일을 깔고 전기 설비까지 한 것이 4집 앨범 <모래내 판타지>의 시발점이었다. 모래내 시장의 주인공인 나물, 과일과 고기와 쌀을 파는 상인들이 이 작업실에, 분위기에 익숙해진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이야기다. 낮에도, 한밤중과 새벽녘에도 늘 노랫소리가 들렸으니까. ‘왜 어제는 노랫소리가 안 들렸냐, 이제는 노래 안 하느냐’는 묘한 관심까지 받게 된 것도 구남과여라이딩스텔라만의 능력이다. 시끄럽다고, 정신없다고 배척당할 만한데도 조웅에게는 유달리 인심이 좋았다. 구남과여라이딩스텔라 음악에서 흐르는, ‘뽕끼’라고밖에 표현할 수 없는 그 리듬이 그들을 이렇게 만들었을지도 모른다고 조웅은 답한다. 구남과여라이딩스텔라의 정서와 상인들의 마음이 통한 것 같다며, 서로 연결된 느낌이라고.
모래내로 이주한 지 근 1년 반, 조웅은 아직도 모래내에서 이방인이다. 주변 상인과 아무리 친해도 언제까지나 주변에서 머무를 뿐이다. 다가가지 않고 속으로 들어가지 않아도, 가까이만 있어도 좋은 관계는 늘 존재하니까. 조웅에게 모래내는 뮤즈고, 함께 걸어가는 동반자이자 존중할 수 있는 친구다. 조웅은 늘 떠나간다. “대만에서 음악 작업을 한 이후로 동남아시아에 대한 애착이 생겼어요. 또 어딘가로 떠나갈 수도 있겠죠, 베트남 같은 곳이요. 동남아시아, 한국과 정말 다르지만 무척 닿아 있어요.”
데뷔 12년 차, <모래내 판타지>까지 총 4개의 앨범을 냈다. 4년에 1번 주기로 늘 일정했다. 의도한 것은 아니었는데 자신의 속도를 따르다 보니 ‘4년 정도가 적당하다’는 생각이었다. 작년에 내려고 했던 앨범은 ‘어떻게 하다 보니’ 올해에야 발표하게 되었고 그게 어쩌다 보니 4년째였다. ‘내 속도는 어쩔 수 없는 것인가 보다’ 생각하기로 마음먹은 것도 이 시점부터다. ‘다 됐다’ 싶으면 4년이 흘러 있으니 더욱 그렇다. 모래내로 이주한 2018년 1월부터 음악 작업에 속도가 붙었다. 노래가 모래내였고 모래내가 구남과여라이딩스텔라 그 자체였다.
조웅은 계속해서 생각하고 구상한다. 솔로 앨범도 곧 낸다. 대만과 베트남 같은 동남아시아에서 영감을 받은 음악을 낼 생각이라고 했다. 노래를 부를 수 있는 환경도 바뀌고 그 유명한 ‘홍대 인디 신’도 사라진 지 오래다. 그러거나 말거나, 조웅은 모래내에서 노래를 부르고 꿈을 꾼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