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REPORTS MORE+

지난 10년

FOOD - 다종다양

서울은 ‘빠르게 하기로’ 마음먹은 도시다. 식민지 시대와 전쟁을 거치며 일본처럼 1백 년 이상 지켜낼 물리적 가치를 대부분 잃어버렸기 때문에 아예 작정하고 뭐든지 실험해보기로 한 듯하다. 술과 음식은 지난 10년간 가장 빠르게 바뀐 문화다. 와인을 마시던 사람들이 막걸리로 돌아섰고, 다시 수제 맥주를 갈구하더니 요즘은 싱글 몰트위스키를 마신다. 수줍고 낯을 가리던 셰프들의 위상은 완전히 달라져서 요즘은 연예인을 호령할 정도다. 반면 여전히 주방을 지키며 12시간 넘게 일하는 오너 셰프도 있다. 어쨌든 단편적이었던 요리사의 삶은 입체적으로 변했다. 뭐든 빨리 변하니 덜컹거리는 소리가 나고, 누군가의 욕망은 찌그러져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담금질을 통해 우리 술과 음식은 좀 더 맛있어질 채비를 끝냈다. 다음 10년 동안 먹고 마실 일이 기대될 정도로.

UpdatedOn March 18, 2016

  • 와인 바 전성시대

    2000년대 초반 시작된 청담동 고급 와인 바 문화는 2000년대 중반에 이르러 절정을 이뤘다. 강남 곳곳에서 소믈리에와 VIP 대상으로 고급 와인 테이스팅이 열렸고, 외국 와인메이커가 방한해 갈라 디너를 개최했다. 학동와인하우스, 세브도르 같은 와인 전문점에도 매일 밤 애호가들이 모여 와인을 마셨다. ‘위대한 개츠비’ 속 파티가 연상되는, 그야말로 와인 전성시대였다. 

  • 막걸리의 귀환

    2008년 경기 침체와 함께 와인과는 가격도 분위기도 정반대인 막걸리의 시대가 왔다. 전직 신문 기자였던 이여영 대표가 홍대에 낸 주막 스타일 ‘월향’이 히트하며 여기저기서 막걸리 붐이 일었다. 배상면주가, 국순당 같은 국산 주류

이름 있는 셰프들

이름 없이 주방에 숨어 요리하던 셰프들이 자기 이름을 걸고 홀에 나와 인사하기 시작했다. 사람들도 셰프 이름을 보고 식당을 고르게 됐다. 청담동에서 가장 맛있는 이탈리아 음식을 만든다고 소문난 ‘뚜또베네’의 박찬일 셰프나 서래마을 프렌치 레스토랑 ‘라 싸브어’의 진경수 셰프 같은 요리사들이 수면 위로 드러난 것도 2000년대 후반부터다. 


 

미식 파워 블로거

셰프들의 성장과 함께 미식 파워 블로거들의 활동 반경도 넓어졌다. 그들은 식당을 방문해 음식 사진과 메뉴 설명과 평을 곁들인 포스팅을 전문적으로 올리며 영향력을 키워나갔다. 일부 블로거들이 증폭한 권력을 이용해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지만, 일반인이 온라인을 통해 레스토랑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통로가 되어줬다는 점은 순기능이다.

 

  • 맥주의 반란

    <이코노미스트> 기자였던 대니얼 튜더가 “한국 맥주는 북한 대동강 맥주보다 맛없다”고 한 발언이 맥주 시장을 뜨겁게 달궜다. 자존심 강한 한국의 맥주 애호가들은 경리단을 성지로 지정하고 맥파이, 크래프트웍스 탭하우스, 라일리스 탭하우스 같은 1세대 크래프트 맥주 펍을 통해 맛있는 국산 맥주를 선보였다(진작 그럴 것이지). ‘물 한 방울 섞지 않았다’는 광고 문구로 국내 애주가들을 충격에 빠뜨린 클라우드도 수혜자다. 맛있다는 소문이 나면서 2014년 첫해 매출 4백40억원을 기록하는 쾌거를 누렸다. 

  • 모던 한식 신호탄

    양식에 비해 손이 많이 가는 게 한식이다. 같은 한 접시라도 반찬 때문에 인건비와 조리 시간이 더 들지만 그동안 맛과 가치에 비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게 사실이다. 뉴욕 트라이베카에서 미슐랭 별 2개를 받은 임정식 셰프를 필두로 모던 한식은 가장 핫한 음식 카테고리가 됐다. 밍글스의 강민구 셰프, 권숙수의 권우중 셰프, 이십사절기 토니 유 셰프의 음식을 맛보면 외국인이 더 감탄한다. 

  • 위스키 바

    와인 바와 고급 식당이 주춤해진 조용한 청담동 거리가 요즘 다시 부활하는 중이다. 압구정 로데오클럽 뒤쪽에 한두 블록을 거쳐 촘촘히 밀집한 위스키 & 칵테일 바 덕분이다. 김용주 대표의 ‘앨리스’, 임재진 대표의 ‘르 챔버’와 ‘스틸’, 최규삼 바텐더의 ‘루팡’이 고급스럽고 개성 있는 분위기로 30~40대 젊은 층을 공략하고 있다. 

  • RTD 공세

    한국에서 ‘저급한 술’의 오명을 썼던 RTD(Ready to Drink) 술이 최근 급부상했다. 술에 탄산이나 과즙을 타서 달콤하고 도수가 낮아 주량 약한 여성들에게 반응이 좋다. 롯데주류 ‘순하리 처음처럼’이 열풍의 주역이지만 진로에서 만드는 ‘진로 스파클링’, 무학주류의 ‘좋은데이 컬러’ 시리즈, 보해의 ‘부라더소다’가 그 뒤를 잇고 있다. 올해 소주에 탄산과 과즙을 섞은 일본식 추하이(酎ハイ)도 다양하게 수입될 예정이다. 

밥스타그램

요즘 인스타그램에서 가장 핫한 해시태그는 ‘집밥’ ‘오늘뭐먹지’ ‘밥스타그램’ 같은 키워드다. 쿡방 열풍이 불면서 집밥을 부담 없이 느끼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혼자 사는 싱글이라도 멋지게 담은 상차림을 SNS에 올리면 반응이 뜨겁다. 프랑스 브랜드 마틴 싯봉의 리빙 파트를 총괄하는 김영우 매니저는 “홈세트, 브런치 세트, 요섹남 세트 등 집밥을 테마로 한 그릇이 인기라며, 집밥의 인기와 관심을 실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원산지 욕망

먹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수록 원산지에 대한 열망은 강렬해진다. 밭의 이름, 농부의 이름이 구체적일수록 값은 비싸지지만 더 정직한 맛이 날 거라는 확신을 소비자는 갖는다. 실제로 SSG의 해산물 코너, 현대백화점의 장 코너, 하나로마트의 쌀 코너 등 특화된 코너를 찾는 소비자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김씨 아저씨가 여주에서 농사 지은 고시히카리 쌀 2kg을 4팩으로 소분해서 주세요.” 식품 코너의 대화는 더욱 더 구체적이고 농밀해졌다. 이 흐름은 올해도 이어질 거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WORDS 이영지(<중앙일보 강남통신> 기자)

2016년 03월호

MOST POPULAR

  • 1
    박진영, "유쾌한 사람은 언제 어디서든 사람들 속에 녹아들 수 있다고 생각해요."
  • 2
    Groundbreaker
  • 3
    IN THE ROOM
  • 4
    DRIVE AWAY
  • 5
    엘, "2.5세대 아이돌만의 텐션과 기세가 저희의 무기가 아닐까 싶어요."

RELATED STORIES

  • LIFE

    HAND IN HAND

    새카만 밤, 그의 곁에서 영롱하게 빛나는 물건 둘.

  • INTERVIEW

    스튜디오 픽트는 호기심을 만든다

    스튜디오 픽트에겐 호기심이 주된 재료다. 할머니댁에서 보던 자개장, 이미 현대 생활과 멀어진 바로 그 ‘자개’를 해체해 현대적인 아름다움을 더했다. 공예를 탐구하고 실험적인 과정을 거쳐 현대적인 오브제를 만들고자 하는 두 작가의 호기심이 그 시작이었다.

  • INTERVIEW

    윤라희는 경계를 넘는다

    색색의 아크릴로 만든, 용도를 알지 못할 물건들. 윤라희는 조각도 설치도 도자도 그 무엇도 아닌 것들을 공예의 범주 밖에 있는 산업적인 재료로 완성한다.

  • FASHION

    EARLY SPRING

    어쩌다 하루는 벌써 봄 같기도 해서, 조금 이르게 봄옷을 꺼냈다.

  • INTERVIEW

    윤상혁은 충돌을 빚는다

    투박한 듯하지만 섬세하고, 무심한 듯하지만 정교하다. 손이 가는 대로 흙을 빚는 것 같지만 어디서 멈춰야 할지 세심하게 고민한 결과물이다. 상반된 두 가지 심성이 충돌해 윤상혁의 작품이 된다.

MORE FROM ARENA

  • INTERVIEW

    자신 있게, 세훈답게

    밀레니얼 세대를 대표하는 패션 아이콘 세훈이 에르메네질도 제냐 광고 캠페인의 얼굴이 됐다. 유행에 흔들림 없이 확고한 스타일, 그만의 자신감 덕분이다.

  • INTERVIEW

    슈퍼스타, 김동은

    신인왕 김동은의 최종 목표는 세계 랭킹 1위. 더 이상 라이징 스타 혹은 루키로 불리기엔 그는 이미 더 높이 날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 INTERVIEW

    최지인

    밀레니얼이라 불리는 세대, 과잉 설비로 비유되는 세대, 1990년대에 태어났을 뿐인 사람들, 소셜 미디어가 탄생할 때 성인이 된 그들. 20대 시인들을 만났다.

  • REPORTS

    페라리 타는 날

    페라리를 탔다. 이 말은 누군가에겐 꿈같은 일일지도 모른다.

  • FASHION

    FEEL THE MOMENT

    한겨울의 찬 바람 속에서도 행복한 순간을 놓치지 않게 만들어주는 룰루레몬의 원더 퍼프 컬렉션. 가볍고 따뜻한 필파워 600의 구스다운에 탁월한 방수 기능과 뛰어난 열 보존력을 자랑하는 프리마로프트 소재를 더해 보온성을 한껏 높였다. 일상생활은 물론 운동할 때도 스타일에 구애받지 않는 차분한 디자인이 매력적이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