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왕이란 웹툰.
두어 달 전 술자리에서 패션 업계의 루키인 한 남자가 말했다. 탐스를 신고 엔지니어드 가먼츠로 보이는 재킷을 걸친, 얼굴의 아우트라인을 거뭇하게 감싼 수염까지 액세서리로 느껴지는 그가 빗소리 따라 소주를 마시다가 불현듯 그랬다. “<패션왕> 보셨어요? 죽여요. 고등학교가 배경인데, 패션 스타일로 한 칼 휘두르는 내용이라고요. 무협지처럼요. 이건 무림 고수를 향한 한 판 승부! 뭐 그런 거라니까요. 발상이 완전 쓰러져요.” 클래식 무드의 30대 남자가 열에 달뜬 소년처럼, 그 빗속에 클럽으로 달려갈 것만 같은 얼굴로 그랬다.
호기심 100% 충전.
스마트폰은 이럴 때 쓰라고 있는 거지. 집으로 돌아오는 택시 안에서 한달음에 웹툰을 훑었다. 지인의 말처럼 쓰러지지는 않았다. 하지만 킬킬거리며 이런 생각을 했다. 작가가 누구지? 기안84. 1984년생 스물여덟이로군. 이 청년의 발상에 일단 박수. 사실 패션지를 만들고 있는 나에게 이 작품은 꽤 의미있었다. 이제 누구든 패션을 매개로 대중친화적인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시기가 된 것인가? 하는 데 생각이 미친 거다. 패션을 주제로 한 책과 TV 프로그램은 많았다. 알게 모르게 패션 전문 채널에서 연예인들의 패션을 폄하하고, 서바이벌로 디자이너를 뽑고, 캣워크를 짜깁기해 보도하고, 유명 브랜드의 패션 매장을 탐방하는 수많은 프로그램을 접하고 또 접해온 나다. 하지만 늦은 밤 채널을 고정하고 패션 프로그램 안을 유영하다 보면 허탈감과 무기력감에 전원을 꺼버리곤 했던 나다. 그랬던 내가 이제야 패션을 매개로 삼은 응용 프로그램에 흥미를 느끼게 되었다면 좀 오버일까.
이유가 뭘까.
얼큰히 올라오는 취기에 뇌세포가 흐느적거리며 물음표를 토해냈다. 이런 데까지 생각이 미쳤다. 그건 사람 사는 얘기라서가 아닌가. 기안84의 표현을 응용하자 들면 이 정도 되겠지.
‘아니 이건 또 뭐냐?!!!!
너 치열한 청춘사에 패션을 접목한 거냐?
그러고 보니 너…,
교복의 핏도, 피에르 루부탱도, 노스페이스도, 데님의 워싱, 식스팩과 쇄골이 패션에 미치는 영향까지…,
십대의 이상과 좌절과 자존감에 버무려버린 거냐?
그렇게 인생을 워싱하겠다는 거냐!!!(느낌표 세 개)’
그랬다. 지금까지 패션 언저리 콘텐츠에는 사람이 없었다. 사람을 제하고 나니 과장법만 남았다. 경우 없는 크리틱과 경박한 수다와 괴리감을 돋우는 치장이 넘쳤다. 아니 그렇게 자극적인 것들만 수면 위로 부상했다. 매주 정형돈이 패션 존재감을 논하고 개그 프로그램에서도 패션 페스티벌을 벌인다. 하지만 거기엔 패션에 대한 존중이 없다. 앞서 말한 대로 패션은 그저 경우 없는 라이프스타일로 치부됐다. 그런데 이 대중적인 웹툰은 아니다. 가치관이 정립되지 않은 한 소년이 짝퉁 노스페이스에 좌절하고 핏의 가치를 알아가며 희열하지만 그건 자신이 속한 집단(학교)에서 자존감을 찾기 위한 수단이다. 패션은 사회적 톱클래스에 속하기 위해 연마해야만 하는 필살기로 묘사된다. 이건 패션지에서 누차 강조해온 자존감 있는 옷 입기, 시그니처 룩 찾기에 대한 또 다른 표현일 것이다.
인생은 서바이벌이다.
웹툰의 소년처럼 어쩌면 우리도 미친 듯 톱클래스 진입을 위한 기회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 그 과정에서 패션을 필살기로 연마해야만 한다면 죽기 살기로 들이대야 한다. 이달 <아레나>는 피티 워모에 집결한 패션인들을 취재했다. 피티 워모에는 먹고사는 수단을 패션에서 찾은 남자들만 모인다. 그들을 장장 20페이지에 걸쳐 소개하는 것은 어린 시절부터 구도하는 마음으로 패션을 대해온 전문가 집단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들은 10대의 꿈을 이룬 성공남들이기 때문이다. 어쩌면 그들은 <패션왕>의 주인공처럼 핏과 소재의 차이를 깨닫고 희열하던 10대를 보내고 돌아와 이제는 거울 앞에 서서 인생을 논하는 멋진 30, 40대가 되었으리라. 철철이 변하는 트렌드 속에서 참과 거짓을 구분할 줄 아는, 심지어 철철이 변하는 트렌드를 쥐락펴락하는 그런 어른이 되었으리라.
그들을 보고 있자면 성공하는 사람들의 옷차림, 이라는 타이틀의 기사는 부질없다는 생각이 든다. 대대손손 내려온 클래식 수트의 법칙이나 매너를 일러주는 것 이외에 어떤 뾰족한 왕도를 일러줄 수 있단 말인가. 교과서적인 공부는 학습에 의한 것이고 그것을 넘어선 ‘자신만의 자존감 있는 옷차림’은 인생의 가치관 문제인데 말이다.
패션에 왕도가 있나?
결국 답은 빨간펜 선생님의 그것과 마찬가지다.
교과서 위주로 공부하세요.
그리고 자신만의 풀이법을 만드세요.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