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FASHION MORE+

Into the manufacture

스위스 쥐라 지역의 르 상티에는 인구가 1천9백 명 정도인 작은 마을이다. 이곳에 불가리의 고급 무브먼트를 생산하는 ‘불가리 매뉴팩처 드 오트 오를로제리’가 있다. 무브먼트 설계와 연구 개발부터 최종 조립까지 이곳에서 이루어진다. 건물의 각 층을 오르내리며 보고 들은 특징적인 장면과 이야기를 모았다.

UpdatedOn April 30, 2023

3 / 10
/upload/arena/article/202304/thumb/53565-513427-sample.jpg

 

불가리는 이곳에서 고급 무브먼트의 모든 부품을 직접 생산한다. 그래서 사진 속 장면처럼 가공하기 전 원재료를 보여주는 설명이 많았다. 각기 다른 소재를 각자 다른 세팅 값에 따라 가공할 수 있는 경험치가 노하우다.

불가리는 이곳에서 고급 무브먼트의 모든 부품을 직접 생산한다. 그래서 사진 속 장면처럼 가공하기 전 원재료를 보여주는 설명이 많았다. 각기 다른 소재를 각자 다른 세팅 값에 따라 가공할 수 있는 경험치가 노하우다.

불가리는 이곳에서 고급 무브먼트의 모든 부품을 직접 생산한다. 그래서 사진 속 장면처럼 가공하기 전 원재료를 보여주는 설명이 많았다. 각기 다른 소재를 각자 다른 세팅 값에 따라 가공할 수 있는 경험치가 노하우다.

물속에서 제품을 절삭하는 기계의 모습. 물속에 소재를 넣고 가는 와이어로 제품을 깎는다. 고급 시계 부품을 자체 제작할 수 있는 설비가 고급 시계의 원천이 된다. 이런 기계를 통해 구현할 수 있는 정밀도는 오차 0.001mm 수준에 이른다.

물속에서 제품을 절삭하는 기계의 모습. 물속에 소재를 넣고 가는 와이어로 제품을 깎는다. 고급 시계 부품을 자체 제작할 수 있는 설비가 고급 시계의 원천이 된다. 이런 기계를 통해 구현할 수 있는 정밀도는 오차 0.001mm 수준에 이른다.

물속에서 제품을 절삭하는 기계의 모습. 물속에 소재를 넣고 가는 와이어로 제품을 깎는다. 고급 시계 부품을 자체 제작할 수 있는 설비가 고급 시계의 원천이 된다. 이런 기계를 통해 구현할 수 있는 정밀도는 오차 0.001mm 수준에 이른다.

매뉴팩처 건물 중 새로 지은 것. 옆에는 오래전에 완공한 건물이 있다. 둘 다 창문이 큰데, 원래 스위스의 시계 공장들은 전통적으로 창문이 크다. 해가 짧은 겨울에
창가의 자연광을 조명 삼아 시계 부품을 깎던 수백 년 전부터 이어온 전통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매뉴팩처 건물 중 새로 지은 것. 옆에는 오래전에 완공한 건물이 있다. 둘 다 창문이 큰데, 원래 스위스의 시계 공장들은 전통적으로 창문이 크다. 해가 짧은 겨울에 창가의 자연광을 조명 삼아 시계 부품을 깎던 수백 년 전부터 이어온 전통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매뉴팩처 건물 중 새로 지은 것. 옆에는 오래전에 완공한 건물이 있다. 둘 다 창문이 큰데, 원래 스위스의 시계 공장들은 전통적으로 창문이 크다. 해가 짧은 겨울에 창가의 자연광을 조명 삼아 시계 부품을 깎던 수백 년 전부터 이어온 전통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시계의 부품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핀셋으로 설명하는 장면이다. 핀셋이 구리인 데에도 이유가 있다. 핀셋과 부품의 소재가 같다면 핀셋으로 부품을 집을 때 부품이 미세하게나마 긁히게 된다. 작은 사진에서도 스위스 시계가 값비싼 이유를 읽을 수 있다.

시계의 부품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핀셋으로 설명하는 장면이다. 핀셋이 구리인 데에도 이유가 있다. 핀셋과 부품의 소재가 같다면 핀셋으로 부품을 집을 때 부품이 미세하게나마 긁히게 된다. 작은 사진에서도 스위스 시계가 값비싼 이유를 읽을 수 있다.

시계의 부품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핀셋으로 설명하는 장면이다. 핀셋이 구리인 데에도 이유가 있다. 핀셋과 부품의 소재가 같다면 핀셋으로 부품을 집을 때 부품이 미세하게나마 긁히게 된다. 작은 사진에서도 스위스 시계가 값비싼 이유를 읽을 수 있다.

3 / 10
/upload/arena/article/202304/thumb/53565-513426-sample.jpg

원재료를 절삭하고 장식하기까지 고급 시계 부품의 생산 과정을 보여주는 모습. 이렇게 체계적으로 부품 생산 과정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방문객이 꾸준히 있다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실제로 고급 시계는 VIP의 공장 견학을 환영하는 편이다.

원재료를 절삭하고 장식하기까지 고급 시계 부품의 생산 과정을 보여주는 모습. 이렇게 체계적으로 부품 생산 과정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방문객이 꾸준히 있다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실제로 고급 시계는 VIP의 공장 견학을 환영하는 편이다.

금속 부품의 표면을 장식하는 공정을 포착했다. 왼쪽은 금속 표면에 일자로 새기는 ‘제네바 스트라이프’를 장식하는 장면, 오른쪽은 작은 동심원으로 금속 표면을 장식하는 ‘페를라주’를 새기는 장면이다. 역시 인하우스에서 전부 이루어진다.

금속 부품의 표면을 장식하는 공정을 포착했다. 왼쪽은 금속 표면에 일자로 새기는 ‘제네바 스트라이프’를 장식하는 장면, 오른쪽은 작은 동심원으로 금속 표면을 장식하는 ‘페를라주’를 새기는 장면이다. 역시 인하우스에서 전부 이루어진다.

금속 부품의 표면을 장식하는 공정을 포착했다. 왼쪽은 금속 표면에 일자로 새기는 ‘제네바 스트라이프’를 장식하는 장면, 오른쪽은 작은 동심원으로 금속 표면을 장식하는 ‘페를라주’를 새기는 장면이다. 역시 인하우스에서 전부 이루어진다.

금속 부품의 표면을 장식하는 공정을 포착했다. 왼쪽은 금속 표면에 일자로 새기는 ‘제네바 스트라이프’를 장식하는 장면, 오른쪽은 작은 동심원으로 금속 표면을 장식하는 ‘페를라주’를 새기는 장면이다. 역시 인하우스에서 전부 이루어진다.

금속 부품의 표면을 장식하는 공정을 포착했다. 왼쪽은 금속 표면에 일자로 새기는 ‘제네바 스트라이프’를 장식하는 장면, 오른쪽은 작은 동심원으로 금속 표면을 장식하는 ‘페를라주’를 새기는 장면이다. 역시 인하우스에서 전부 이루어진다.

금속 부품의 표면을 장식하는 공정을 포착했다. 왼쪽은 금속 표면에 일자로 새기는 ‘제네바 스트라이프’를 장식하는 장면, 오른쪽은 작은 동심원으로 금속 표면을 장식하는 ‘페를라주’를 새기는 장면이다. 역시 인하우스에서 전부 이루어진다.

불가리가 자랑하는 미닛리피터 무브먼트의 기능을 보여주는 장면. 미닛리피터는 종을 쳐서 현재 시간을 알려주는 기능이다. 고급 시계의 기능 중에서도 고급에 속한다. 제작사에 따라 조금씩 추구하는 철학이 다른데, 불가리는 ‘라 돌체 비타’라는 슬로건처럼 경쾌한 소리를 만든다.

불가리가 자랑하는 미닛리피터 무브먼트의 기능을 보여주는 장면. 미닛리피터는 종을 쳐서 현재 시간을 알려주는 기능이다. 고급 시계의 기능 중에서도 고급에 속한다. 제작사에 따라 조금씩 추구하는 철학이 다른데, 불가리는 ‘라 돌체 비타’라는 슬로건처럼 경쾌한 소리를 만든다.

불가리가 자랑하는 미닛리피터 무브먼트의 기능을 보여주는 장면. 미닛리피터는 종을 쳐서 현재 시간을 알려주는 기능이다. 고급 시계의 기능 중에서도 고급에 속한다. 제작사에 따라 조금씩 추구하는 철학이 다른데, 불가리는 ‘라 돌체 비타’라는 슬로건처럼 경쾌한 소리를 만든다.

미닛리피터의 소리는 감으로 만드는 게 아니다. 소리를 녹음해 결과값을 시각화한 후 출고를 결정하는 나름의 규칙과 순서가 있다. 더 좋은 소리를 만들기 위해 완성한 무브먼트를 분해해서 새로 조립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왜 비싼지 알 것 같다.

미닛리피터의 소리는 감으로 만드는 게 아니다. 소리를 녹음해 결과값을 시각화한 후 출고를 결정하는 나름의 규칙과 순서가 있다. 더 좋은 소리를 만들기 위해 완성한 무브먼트를 분해해서 새로 조립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왜 비싼지 알 것 같다.

미닛리피터의 소리는 감으로 만드는 게 아니다. 소리를 녹음해 결과값을 시각화한 후 출고를 결정하는 나름의 규칙과 순서가 있다. 더 좋은 소리를 만들기 위해 완성한 무브먼트를 분해해서 새로 조립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왜 비싼지 알 것 같다.

3 / 10
/upload/arena/article/202304/thumb/53565-513428-sample.jpg

미닛리피터를 만들 수 있는 워치메이커의 수는 많지 않다. 불가리에서도 이 정도로 복잡한 미닛리피터를 만드는 워치메이커는 많지 않다고 한다. 사진 속 워치메이커가 그 귀한 인력이다. 귀한 인력이어서인지 고가의 불가리 시계를 찬 모습이 눈에 띈다. 자리도 상석이다.

미닛리피터를 만들 수 있는 워치메이커의 수는 많지 않다. 불가리에서도 이 정도로 복잡한 미닛리피터를 만드는 워치메이커는 많지 않다고 한다. 사진 속 워치메이커가 그 귀한 인력이다. 귀한 인력이어서인지 고가의 불가리 시계를 찬 모습이 눈에 띈다. 자리도 상석이다.

3 / 10
/upload/arena/article/202304/thumb/53565-513434-sample.jpg

워치메이커들이 자리 잡고 일하는 곳의 모습. 작업 환경이 전반적으로 쾌적하다. 모든 업무 흐름과 불량률 확인 등에서 놀라울 정도로 시스템화가 이루어진 걸 확인할 수 있었다. 기계식 시계는 전통적인 물건이지만 이를 둘러싼 제작 방식은 굉장히 현대적이다.

워치메이커들이 자리 잡고 일하는 곳의 모습. 작업 환경이 전반적으로 쾌적하다. 모든 업무 흐름과 불량률 확인 등에서 놀라울 정도로 시스템화가 이루어진 걸 확인할 수 있었다. 기계식 시계는 전통적인 물건이지만 이를 둘러싼 제작 방식은 굉장히 현대적이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2023년 05월호

MOST POPULAR

  • 1
    MU:DS Meets Jewels
  • 2
    없는 게 없는 포차
  • 3
    <아레나> 6월호 커버를 장식한 스트레이 키즈 현진
  • 4
    MORE SHORTS
  • 5
    BONDED LIVES

RELATED STORIES

  • FASHION

    Wet Days

    흠뻑 젖은 채로 맞이하는 새로운 계절의 하루.

  • FASHION

    Spring Fatigue

    한없이 늘어지고 싶은 꿈같은 어느 봄날.

  • FASHION

    BONDED LIVES

    이 부부가 사는 법.

  • FASHION

    Bloom&Petal

    꽃잎처럼 섬세하고, 꽃처럼 대담하게 빛나는 주얼리.

  • FASHION

    ART PIECES

    조화롭게 배열한 예술적인 비주얼의 아이템.

MORE FROM ARENA

  • FASHION

    튜더판 서브마리너

    튜더의 새로운 블랙베이는 롤렉스 서브마리너의 그림자를 지울 수 있을까? 아니, 꼭 지워야만 할까? 튜더 블랙베이 모노크롬을 하루 동안 차보며 느낀 것.

  • CAR

    4기통 리터급 네이키드의 영역

    모터사이클을 머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수많은 부품이 가공할 출력을 뽑아내는 순간을 숭배하는 의미랄까. 4기통 리터급 네이키드의 영역이기도 하다.

  • FASHION

    FACE TO FACE

    새해의 가방을 유쾌하게 장식할 귀여운 얼굴들.

  • ARTICLE

    Summer Shop

    가장 여름다운 스타일을 즐기기 위해 필요한 아름다운 물건들.

  • ARTICLE

    Modern Revolt

    도시적이고 파격적이면서, 그리고 모던한 캘빈클라인 진스 2017 S/S 컬렉션이 배우 서인국과 만나 뿜어낸 젊은 에너지.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