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프리즈 서울', 그리고 한국의 젊은 작가들

9월 첫 주에는 전 세계 미술 애호가들이 한국을 본다. 한국 미술시장이 전 세계의 주목을 이끌어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확히는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세계 3대 아트페어 ‘프리즈 서울’ 때문이다. 유명 해외 갤러리들이 서울에서 작품을 전시하고, 유명 해외 작가들도 서울을 찾는다. 미술품을 구매하려는 전 세계 투자자들, 미술에 관심 있는 젊은 고객들도 서울에 온다. 예술을 후원하고 지향하는 브랜드들의 마케팅 행사도 있을 거다. 코엑스에서 목격한 해외 스타 작가 사진이 소셜미디어에 나돌 수도 있겠다. 미술품 수집이 취미인 K-팝 스타를 보려는 해외 팬들로 코엑스는 북적일 거다. 미술에 관심 없던 사람들도, 미술은 어렵다던 어른들도, 미술품을 종종 구입하는 20대도 아트페어에서 인증샷을 찍을 수도 있고. 미술에 대한 담론이나 가벼운 농담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오르내릴 법도 하다. 한 주 동안, 아주 짧은 기간 서울은 미술의 도시가 된다. 전 세계 미술계가 서울을 주목하고, 서울이 해외 유명 작가들을 경청할 때, <아레나>는 한국 젊은 작가들을 돌아본다. 그들의 목소리를 담고, 그들의 작품을 주목하며, 갤러리가 아닌 공공미술관의 한국 작가 전시를 복기한다.

UpdatedOn August 26, 2022

한국의 작품들

185×153.5cm프리즈의 서울 진출을 기념하며, 지면이라는 화이트 큐브에 한국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했다.


/upload/arena/article/202208/thumb/51740-495409-sample.jpg

Lee Bae, Issu du feu white Line, 2022, Charcoal on canvas, 330×400cm

이배

흰 바탕에 검고 굵은 획이 동양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는 이배 작가의 작품은 인간의 탄생과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배의 작업 재료는 숯이다. 숯을 갈아 제작하는 평면 작업부터 대형 숯을 전시장 안에 세우는 대형 설치 작업까지 한다. 파리를 주 무대로 20년 넘게 프랑스, 한국, 미국을 오가며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upload/arena/article/202208/thumb/51740-495410-sample.jpg

Hejum Bä, Resolute Tracker, 2022, Oil on canvas, 162.2×145.5×3cm ©Hejum Bä

배헤윰

배헤윰은 추상회화를 그리는 작가다. 지속적으로 회화를 탐색하고 연구하는 그는 대상의 이미지와 평면에 그려진 추상화의 관계에 대해 다루어왔다. 자신만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그 관계를 그려낸다. 짙은 색채의 작품을 그리기도 하지만, 무채색의 덤덤한 회화도 그린다.

/upload/arena/article/202208/thumb/51740-495412-sample.jpg

Kang Seung Lee, Untitled 1, 2021, Collage on wooden panel, 185×153.5cm

이강승

LGBTQ 단체 아카이브를 역사학자처럼 집요하게 연구하는 이강승 작가는 잊힌 소수자의 존재를 가시화하는 작업을 한다. 데릭 저먼과 같은 동성애 인권운동가들의 삶과 흔적을 좇고, 에이즈에 관한 사회적 낙인과 호모포비아에 저항한다. 퀴어 문화에 거부감이 있는 관람객도 시각예술로서 받아들이길 바라며 작업을 통해 퀴어 미래를 제시한다.

/upload/arena/article/202208/thumb/51740-495411-sample.jpg

Hide and Seek - Alison and Olivia behind the fog, 2021, Acrylic, oil on canvas, 91.44×121.92cm

이연미

어린 시절, 정원에서 노는 것을 즐겼던 이연미 작가에게 정원은 현실과 동떨어진 세계나 마찬가지다. 당시 기억을 바탕으로 재해석하여 인간이 타락하기 이전의 낙원인 에덴동산을 이연미만의 상상력으로 표현한다. 거칠게 날이 선 나무와 신비롭고 낯선 형상의 동식물이 뒤섞인 정원이 그려진 작품은 판타지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upload/arena/article/202208/thumb/51740-495413-sample.jpg

Christine Sun Kim, The Sound of Temperature Rising, 2019, Acrylic on wall adapted from 2016 charcoal on paper drawing, Edition of 3, 1AP, 115.75×196.75in. Installation view, MoMA, New York, 2021

크리스틴 선 킴

청각장애를 갖고 있는 크리스틴 선 킴에게 장애는 장벽이 아닌 예술 표현의 핵심 요소다. 소리가 일으키는 파동은 다층적 현상으로, 청각적인 것뿐만 아닌 시각적, 공간적 특성을 포함한다. 그는 소리를 둘러싼 기존 사고방식을 바꾸는 것을 목표로 소리의 특성을 체화한 후 시각적인 결과물로 완성한다.

3 / 10
/upload/arena/article/202208/thumb/51740-495418-sample.jpg

BigKing Travel Ching Chen Tour-Mr.Kim’s Revival, 2019

BigKing Travel Ching Chen Tour-Mr.Kim’s Revival, 2019

류성실

류성실은 오늘날의 신자유주의와 토착성의 상호작용으로 생기는 현상에 집중하는 시각예술가다. 그는 한국의 소비주의적 풍속을 블랙코미디 서사로 구현하여 현실 자본주의 사회의 민낯을 드러내고자 ‘BJ 체리장’과 ‘이대왕’의 세계관을 구축했다. 인간의 욕망과 나약함을 이용해 돈이 되면 무엇이든 조작하고 속이는 현실을 비판한다.

/upload/arena/article/202208/thumb/51740-495414-sample.jpg

소리 나는 돌림 무엇이든 흐름 반구 #19, 2022 Powder-coated stainless steel frame, powder-coated mesh, ball bearing, PVD-coated stainless steel bells, split rings, water taps, 84×76×46cm, Courtesy of Kukje Gallery

양혜규

양혜규는 공감각적인 설치물을 선보이는 작가다. 시각적 자극에 머무르지 않고 오감을 동원하는 작품 감상을 유도하여 관람객의 감각과 감성을 확장시켜준다. 전통, 문명, 세계화 같은 거대한 이슈를 복합적인 조각과 대형 설치 작품으로 표현한다.

/upload/arena/article/202208/thumb/51740-495396-sample.jpg

Stay×Consistent, 2021, Pigmentpaintedonsilk 128x80cm/503/8×311/2in. Courtesy of the artist and High Art, Paris / Arles

김훈규

김훈규 작가는 자신만의 우화를 그린다. 그림에서 한 걸음 떨어져 전체를 바라보면 눈앞을 가득 채운 거대한 스케일이 관람객을 압도한다. 형태와 줄거리는 세밀하고 친절하지만, 이미지 구조는 복잡해 한 번에 이야기를 인지하기 어렵다.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그림 구조는 순간의 의미를 분명하게 인식하지 못한 채 살아가는 개인의 모습을 표현한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정소진
Guest Editor 김나현

2022년 09월호

MOST POPULAR

  • 1
    Bloom&Petal
  • 2
    봄·봄·봄
  • 3
    페스티벌의 계절
  • 4
    굿우드의 유령들
  • 5
    진짜 K-팝은 발라드다

RELATED STORIES

  • LIFE

    하나를 고른다면 이것! 그들의 최애 술 5

    막걸리부터, 와인, 샴페인까지.

  • LIFE

    그때 와인 한 잔

    와인 애호가들은 봄에 어떤 와인을 떠올릴까? 그림 같은 풍경에서 즐긴 와인, 이탈리아 소도시에서 미식과 곁들인 와인, 일본 한 와인 바에서 맛본 새로운 와인. 이 계절 어떤 순간 마신, 잊지 못할 와인과 이야기에 대해 들었다.

  • LIFE

    피트의 모든것

    라프로익 10년은 누구나 좋아할 위스키는 아니다. 하지만 누구든 그 매력을 알면 빠질 수밖에 없다. 피트 자체를 선명하게 한 모금으로 구현한 위스키. 피티드 위스키라는 영역에서 라프로익 10년이 서 있는 위치다.

  • LIFE

    진짜 K-팝은 발라드다

    K-팝 가수들이 코첼라 무대에 오르고 그래미에서 상을 탄다. ‘두 유 노 BTS?’는 ‘아임 프롬 코리아’를 대신하는 인사말이 됐다. 하지만 마음속 깊은 곳에서 생각한다. 가장 ‘K스러운’ ‘팝’은 발라드라고. 한국인의 얼과 혼이 담긴 그 장르. 발라드에 기대어 위안을 얻던 시절로 돌아가 그 매력과 진가를 살폈다.

  • LIFE

    페스티벌의 계절

    5월의 '낭만' 충전을 책임질 5곳.

MORE FROM ARENA

  • FASHION

    Play Shoes II

    스포티한 스니커즈의 전성시대, 하나씩 신고 마음껏 뛰었다.

  • FASHION

    FEEL MY RHYTHM

    크록스와 데이식스가 함께 써 내려간 여름의 마지막 페이지.

  • LIFE

    OTT에 대한 세 가지 시선

    선택장애, 넷플릭스의 독과점, 그리고 잃어버린 것들. 산업과 심리, 관객의 입장에서 OTT를 본다.

  • INTERVIEW

    룰러와 라스칼

    새로운 푸마 의상을 걸친 젠지 e스포츠의 룰러와 라스칼은 ‘리그 오브 레전드’ 맵을 벗어나 카메라 앞에 섰다.

  • FASHION

    The dream of Gucci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사바토 데 사르노가 여는 구찌 남성복의 첫 번째 장.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