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서울 아파트

큐브

자고 일어나면 값이 오르는 서울 아파트. 갖고 싶지만 가질 수 없는, 전세라도 괜찮지만 그마저도 사라진 지금. 서울 아파트는 계층 상승을 위한 동아줄 같은 걸까. 아파트를 갖지 못한다면 우리는 밀려나고 추락하게 될까. 그런 것 말고. 고향이고 삶의 터전인데, 평생의 기억이 담긴 곳을 떠나야만 성공하는 걸까. 나에게 서울 아파트란 무엇인가. 서울 아파트에 적을 둔 다섯 사람이 답했다.

UpdatedOn August 28, 2020

3 / 10
/upload/arena/article/202008/thumb/45889-426032-sample.jpg

 

네모반듯한 사각형이 차곡차곡 쌓여 도시를 빼곡히 채웠다. 그것이 아파트인데 도시에 사는 중산층 혹은 중산층이 되고 싶은 사람이라면 자의든 타의든 대부분 아파트에 살게 된다. 그런데 그곳에 살게 되면 사방을 둘러보아도 모양이나 크기가 같아서인지 모두 같은 병을 얻게 된다. 그것은 아파트에 사는 사람이라면 너나 할 것 없이 모두 더 큰 아파트를 원하게 된다는 것이다. 물론 나의 부모님도 그 병에서 벗어나지 못하셨다.

그런데 내가 하고 싶은 말은 그 병이 시작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내가 네 살 때, 처음으로 살게 된 아파트는 복도식이었는데, 그 시절에는 현관문을 열어놓고 지내는 가정이 많았다. 엘리베이터에서 내려 집까지 가자면 몇 개의 현관을 지나쳐야 했는데 그때마다 열려 있는 현관을 통해 이웃과 마주치게 되면 인사를 하고 지나갔다. 그런데 딱히 새삼스럽지 않은 일이었다. 내가 살던 7층에 또래 친구들이 열댓 명쯤 살았다. 나는 그들의 현관문을 두드리거나 벨을 누를 필요도 없이 열려 있는 현관문에서 “누구누구야 놀자!”라고 외치면 그만이었다.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사람들은 현관문을 닫기 시작했다. 시대의 자연스러운 흐름이었다. 그리고 그 흐름이 쳐놓은 올가미에 우리는 꼼짝없이 걸려들었다. 현관문이 외부와 나를 연결하는 통로였다면, 외부로부터 나를 차단하는 방패로 바뀐 것이다. 물론 나는 그것이 자신을 고립시키는 창이 되었다고 말하고 싶다. 고립이란 한마디로 외부와 연결되는 통로가 막혔다는 뜻이다. 그런데 자기만의 방에 들어앉아 스스로 그 통로를 차단하고, 곁에 있는 이에게는 관심을 갖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끝없는 관계의 결핍과 마주하게 되었다. 거기에 더해서 너나 할 것 없이 모두, 더 비싼 값을 치르고라도 기어코 더 좋은 고립의 창을 마련하기 위해 경쟁하는 역설이란.

WORDS&PHOTOGRAPHY 김선익(사진가)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조진혁

2020년 09월호

MOST POPULAR

  • 1
    BUYING GUIDE
  • 2
    굿우드의 유령들
  • 3
    등산이 기다려지는 서울 등산로 맛집 5
  • 4
    Euphoria at Anantara
  • 5
    Spring Fatigue

RELATED STORIES

  • LIFE

    하나를 고른다면 이것! 그들의 최애 술 5

    막걸리부터, 와인, 샴페인까지.

  • LIFE

    그때 와인 한 잔

    와인 애호가들은 봄에 어떤 와인을 떠올릴까? 그림 같은 풍경에서 즐긴 와인, 이탈리아 소도시에서 미식과 곁들인 와인, 일본 한 와인 바에서 맛본 새로운 와인. 이 계절 어떤 순간 마신, 잊지 못할 와인과 이야기에 대해 들었다.

  • LIFE

    피트의 모든것

    라프로익 10년은 누구나 좋아할 위스키는 아니다. 하지만 누구든 그 매력을 알면 빠질 수밖에 없다. 피트 자체를 선명하게 한 모금으로 구현한 위스키. 피티드 위스키라는 영역에서 라프로익 10년이 서 있는 위치다.

  • LIFE

    진짜 K-팝은 발라드다

    K-팝 가수들이 코첼라 무대에 오르고 그래미에서 상을 탄다. ‘두 유 노 BTS?’는 ‘아임 프롬 코리아’를 대신하는 인사말이 됐다. 하지만 마음속 깊은 곳에서 생각한다. 가장 ‘K스러운’ ‘팝’은 발라드라고. 한국인의 얼과 혼이 담긴 그 장르. 발라드에 기대어 위안을 얻던 시절로 돌아가 그 매력과 진가를 살폈다.

  • LIFE

    페스티벌의 계절

    5월의 '낭만' 충전을 책임질 5곳.

MORE FROM ARENA

  • FASHION

    MOONRISE

    휘영청 밝은 달이 떠오른다.

  • FASHION

    WITH MY SUNGLASSESE

    렌즈를 통해 마주하는 일상과 일탈, 혼돈과 고요의 삶.

  • INTERVIEW

    펜타곤 후이 'LONG LONG NIGHT ALONE' 미리보기

    펜타곤 후이와 겨울 밤거리를 걷다. 입대 전 첫 솔로 화보와 인터뷰 공개.

  • LIFE

    FUTURE - chapter4. Unsupervised Learning AI

    미래는 언어로 다가온다. 게이미피케이션, 디지털 트윈, IoB, 비지도학습 AI 등 낯선 용어들이 세상을 바꾸고 있다. 입에는 익지 않은 개념들이지만 의미와 기능을 들여다보면 익숙한 것들이다. 지금보다 더 오래전, 10년 전 아니면 그보다 더 오래된 시절, 막연히 그렸던 공상과학 세상의 개념들이 현실로 나타난 것이다. 상상은 실체가 되며 새로운 이름을 얻었을 뿐이다. 지금 미래 개념으로 알려진 게이미피케이션, 디지털 트윈, IoB, 비지도학습 AI를 다각도로 다룬다. 미래 개념을 경험한 이들의 기대와, 미래 개념이 낯선 이들이 느낀 공포를 담았다.

  • LIFE

    여행 유튜브 시대의 여행 문학

    100년 전에는 이게 최신형 콘텐츠였고 여전히 힘이 있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