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Artist & Designer

문봉 조각실

가구 디자이너가 만든 카페의 가구는 특별할까? 건축가가 사는 집은 화려할까? 최근 문을 연 디자이너들의 카페와 건축가의 집을 다녀왔다. 조각가 부부는 정과 망치를 내려놓고 커피를 만든다. 젊은 공간 디자이너는 자신의 작품 세계에 영향을 준 어린 시절 본 이미지를 공간으로 재현했고, 동네 친구 넷이 의기투합해 커피 마시는 행위로 채워지는 열린 공간을 만들었다. 디자이너들의 공간에는 그들의 세계관이 농밀하게 담겨 있었다.

UpdatedOn August 13, 2019

김경민, 권치규 부부 조각가는 이렇게 말한다.

3 / 10
/upload/arena/article/201908/thumb/42541-380795-sample.jpg

 

얼마 전까지만 해도 ‘문봉리’라고 불렸던 외진 곳에 문봉 조각실이 있다. 다행히도 지금은 문봉‘동’으로 바뀌었다. 카페라면서 다짜고짜 조각실이라니. 얼마나 자신만만하고 대단한 이름인가, 싶었다. 실제 조각가 부부가 운영한다는 소리를 듣고 나서야 위치도, 상호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좁은 골목을 걸어 올라가다 보면 공사장을 연상시키는 작업장이 나타난다. ‘잘못 찾아왔나’ 싶은 생각이 들 때 언덕을 더 올라가면 문봉 조각실 카페가 나온다.

문봉 조각실은 김경민, 권치규 부부 조각가가 운영한다. 김경민과 권치규의 이름이 낯설 수도 있지만 서울 시내에서, 그리고 수도권 곳곳에서 이들의 작품은 익숙하다. 2013년 압구정 로데오 거리 초입에 설치된 ‘I LOVE YOU’ 작품이 그렇다. 서울 시내 곳곳에서 만날 수 있는 이들의 작품은 익숙해서 친숙하고 친숙하니까 더 반갑다. 이들의 이름을 모르는 이도 작품은 누구나 한 번쯤 봤을 테다. 대중성과 작품성을 모두 잡기 위해 노력한다는 이 부부 작가는 조각가라기보다는 공공 조형물 아티스트라고 스스로 평가한다.

문봉 조각실은 상업적이기보다는 문화적인 공간에 가깝다. 서울에서 다소 거리가 있는 고양시에 자리한 이유는 단순하다. “무명 작가 시절부터 이곳이 작업장이자 놀이터고, 살아가는 공간이었어요. 어떻게 보면 고향에 가깝지요. 작업 공간을 거의 고치지 않고 카페로 만들었습니다.” 김 작가의 말이다.

3 / 10
/upload/arena/article/201908/thumb/42541-380934-sample.jpg

 

지금은 누구나 알 수밖에 없는, 기반이 탄탄한 부부 조각가이지만 이들에게도 어려웠던 과거는 있다. “지금은 우리의 작품을 알아주는 이가 있지만 과거에는 그저 몸으로 부딪쳤어요. 무명 기간도 길었고요. 젊은 시절 우리의 노력이 모두 녹아 있는 공간이 문봉 조각실입니다.” 권 작가가 덧붙인다. 그래서인지 건물부터 인테리어까지 거의 손본 것이 없다는 설명이 이어진다. “작가의 공간인 만큼 작가의 숨결이 살아 있어야 하니까요. 인테리어 역시 외부 업체의 도움을 받지 않았습니다. 카페의 첫인상이라고 할 수 있는 나무문부터 유리창까지, 저희의 손으로 직접 만들고 꾸몄어요. 그래서인지 애착이 크고요.”

1층은 일반적인 카페와 다르지 않다. 넓은 테이블, 녹색 식물 등으로 가득 채웠다. 2층으로 올라가는 길은 친구의 집에 방문한 듯, 외국으로 놀러 간 듯 익숙하고 정겨우면서도 이국적이다. 직접 작품 활동을 하던 테이블부터 손때 묻은 스툴까지 모여 있어서 더욱 그렇다. 2층으로 이어진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김경민, 권치규 작가의 작품이 가득한 공간이 펼쳐진다. 이들의 작품을 전시하는 전시관이자, 작가에게 직접 작품을 살 수있는 갤러리기도 하다. ‘카페를 방문하는 모든 방문객에게 먼 곳에 여행 온 듯한 기분을 선사하고 싶다’는 부부 작가의 의도다.

작품 활동을 계속하는 한 문봉동에 머무를 것이라는 작가들에게 이 카페는 작업 공간이자 작품을 사랑하는 이들을 만나는 창구다. “여러 사람들이 오가는 복합 문화 공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유럽 어디에나 있는 모퉁이 카페처럼 편안하지만 예술적인 정서를 느낄 수있는 공간으로 꾸미고 싶습니다.” 김경민 작가의 말이다.

시리즈 기사

크리에이터의 공간 시리즈 기사

 

빌라레코드

33아파트먼트

다츠

조병수 건축가의 'ㅁ'자 집

하태석 건축가의 아임하우스

박진택 건축가의 피, 땀, 눈물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GUEST EDITOR 백문영
PHOTOGRAPHY 최민영

2019년 08월호

MOST POPULAR

  • 1
    Strong Impression
  • 2
    차주영 (a.k.a 꾸꾸 대장) 실버 버튼 들고 등장
  • 3
    THE PILATES CELINE
  • 4
    Freeze
  • 5
    중고 노트북으로 쓴 소설

RELATED STORIES

  • LIFE

    중고 노트북으로 쓴 소설

    이상문학상이 중요한 이유는 간단하다. 오늘날 한국어로 쓰인 소설 중 가장 탁월한 작품을 알 수 있으니까. 그 권위와 위상은 수상 목록만 보아도 확인할 수 있다. 1977년 김승옥을 시작으로 은희경, 김훈, 한강, 김영하, 김애란 모두 이상문학상을 탔다. 2025 이상문학상은 예소연과 <그 개의 혁명>에게로 돌아갔다. 우리 시대에 가장 뛰어난 소설은 어떻게 쓰였을까. 봄볕이 내리쬐는 어느 오후, 소설가 예소연을 만나고 왔다.

  • LIFE

    시계에서도 ‘에루샤’가 통할까?

    에르메스, 루이 비통, 샤넬의 시계는 살 만할까? 3명의 필자가 논하는 패션 하우스의 워치메이킹에 대한 편견 없고 다소 진지한 이야기.

  • LIFE

    봄, 봄, 봄!

    봄 제철 식재(食材)를 활용한 한식 다이닝바 5

  • LIFE

    호텔보다 아늑한 럭셔리 글램핑 스폿 5

    캠핑의 낭만은 그대로, 불편함은 최소화하고 싶다면.

  • LIFE

    그 시절 내가 사랑한 안경남

    안경 하나 바꿨을 뿐인데!

MORE FROM ARENA

  • REPORTS

    20 COOLEST THING OF THE YEAR

    취향 괜찮은 남자들에게 2016년 써본 신상품 중 최고로 꼽고 싶은 물건이 무엇인지 물어봤다. 그들의 대답을 나열해놓고 보니 올해의 경향이 보였다.

  • FASHION

    BIG 4

    2024 S/S 컬렉션을 두루 살펴서 찾은 트렌드의 교집합 넷.

  • LIFE

    공학 영감 서(書)

    코딩의 ‘ㅋ’자도 모른다. 이과생들은 무슨 책을 읽을까. 엔지니어들에게 물었다.

  • LIFE

    이달의 책들

    은퇴한 과학자가 이름을 숨기고 집 짓는 책을 쓴 사연, 거장의 마지막 소설과 한국 소설가의 현실에 대한 논픽션.

  • INTERVIEW

    리타 오라의 모든 것

    음악, 패션, 연기. 리타 오라는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완벽히 해내고 싶다고 말했다. 새로운 싱글 발매를 앞둔 리타 오라와 짧은 대화를 나눴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