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INTERVIEW MORE+

무엇이든 퍼센트

어떻게 들어도 좋고, 어떤 시선으로 바라봐도 좋다. 퍼센트의 음악을 즐기는 데 경계는 없다.

UpdatedOn June 07, 2019

3 / 10
/upload/arena/article/201905/thumb/42063-369600-sample.jpg

오버사이즈 체크 패턴 재킷은 MNGU, 리넨 소재의 셔츠와 팬츠는 모두 자라 제품.

오버사이즈 체크 패턴 재킷은 MNGU, 리넨 소재의 셔츠와 팬츠는 모두 자라 제품.

노란색 니트는 자크 뮈스, 리넨 셔츠는 자라, 모자는 스타일리스트 소장품.

노란색 니트는 자크 뮈스, 리넨 셔츠는 자라, 모자는 스타일리스트 소장품.

노란색 니트는 자크 뮈스, 리넨 셔츠는 자라, 모자는 스타일리스트 소장품.

지금의 음악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아마 사람마다 다른 이야기를 할지도 모른다. 그런데 그것이 지금의 음악이다. 정의 내릴 수 없는 것, 장르의 경계가 없는 것을 두고 우리는 요즘 음악이라 부른다. 이를테면 재즈와 리듬 앤 블루스, 힙합이 뒤섞인 싱어송라이터 퍼센트의 음반 <PVC> 같은 것 말이다.

“원래는 통기타를 치면서 포크송을 노래했어요. 롤 모델은 존 메이어였고요. 그런데 한 가지 장르로 저를 한정 짓고 싶지 않았어요. 그보다 모든 장르에서 저의 스타일을 만드는 것이 더 좋았고, 지금의 사람들과 음악적으로 소통하기에 좋은 장르를 이번 음반에서 풀어낸 거예요.”

이렇게 그가 다양한 시도를 거침없이 할 수 있었던 데는 5년간 미스틱에서 프로듀서로 활동하면서 쌓은 음악적 내공이 큰 역할을 한다. 장재인의 소개로 미스틱에 합류해 ‘리슨 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시도를 하면서 그는 하나의 길을 걷기보다 음악이라는 넓은 범주 안에서 자신을 만드는 방식을 배웠다. 또 그 안에서 음악을 즐기는 법도 놓치지 않았다.

“음악을 시작하게 된 이유가 정말 단순해요. 재미있어서 시작했고, 그 생각을 지금까지 고수하려고 해요. 그래서 어떤 시도를 하든 흥미를 가지는 편이에요. 음악이라면 뭐든 좋거든요. 또 재미 요소 중 하나로 저만의 독특한 작업 방식이 있는데요. 작업하거나 녹음할 때 그 장르에 맞춰서 신발을 갈아 신는 거예요. 작업실에 신발이 열몇 켤레 정도 있는데요, 곡의 분위기에 따라 이것도 신어보고 저것도 신어보는 게 저의 음악 놀이 중 하나예요. 이번 음반의 ‘캔버스 걸’에서는 아디다스 이지를 신었고, ‘래빗홀’ 때는 오프화이트의 조던1을 신었어요. 왠지 어울리지 않나요? 하하.”

속이 들여다보이는 소재 ‘PVC’를 음반명으로 지은 것도 자신이 음악을 만든 방식처럼 듣는 사람도 투명한 PVC 가방 속에서 그날그날 기분에 따라 듣고 싶은 음악을 꺼내 들어도 좋다는 의미에서다. 7곡의 트랙은 정해져 있지만, 듣는 순서나 그날의 음악은 모두 듣는 사람의 몫이다. 다만 그 안에는 누구든 공감할 수 있는 ‘사랑’에 대한 이야기가 공통적으로 담겨 있다. 그래서 퍼센트의 음악은 누구나 쉽고 편하게 접근해 자신만의 방식으로, 취향대로 즐길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그의 음악에는 장르의 벽도 없고, 공감할 수 없는 어려운 세계도 없다.

“가능하면 제 음악을 넓은 시선에서 즐겼으면 해요. 심지어 장르뿐만 아니라 음악이라는 경계도 허물어보고 싶어요. 그냥 예술이라는 큰 범주 안에서 마음대로 즐기는 거예요. 그래서 음반 커버나 뮤직비디오 같은 비주얼 작업에도 관심을 두고 있어요. 앞으로 <PVC>로 하게 될 공연도 마찬가지고요. 기회가 된다면 무대 위에서 현대 미술 작품과 협업해서 음악을 들려주는 시도도 해보고 싶어요. 장르의 경계가 사라진 시대니, 언젠가 음악의 경계도 허물고 다양한 예술적 시도를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그 움직임을 제가 벌이고 싶고요.”

퍼센트의 음악에는 지금 혹은 미래의 예술이 모두 담겨 있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CONTRIBUTING EDITOR 강예솔
PHOTOGRAPHY 이우정
STYLIST 문승희
HAIR&MAKE-UP 이지은

2019년 06월호

MOST POPULAR

  • 1
    Live is Still Here!
  • 2
    운명적인 우연과 올리비아 마쉬의 바람
  • 3
    From NOW ON
  • 4
    너를 위해 준비했어!
  • 5
    DRIVE AWAY

RELATED STORIES

  • INTERVIEW

    IN THE ROOM

    방 안에서 마주한 말쑥한 차림의 남자들 그리고 군더더기 없는 루이 비통의 2025 F /W 포멀 컬렉션.

  • INTERVIEW

    이야기를 담다

    속내를 말하게 하는 가면을 의자로 만든 가구 디자이너. 공간을 띠 하나로 둘러 채운 인테리어 디자이너. AC 밀란의 클럽 건물을 역동성으로 빚은 건축가. 이탈리아 출신 건축가이자 디자이너인 파비오 노벰브레를 설명하는 단어는 하나로 규정할 수 없다. 그럼에도 그가 손댄 결과물을 관통하는 한 가지가 있다. 공감을 부르는 이야기. 그에게 이야기를 듣고 왔다.

  • INTERVIEW

    차우민이 찾은 것

    친구 따라 PC방에 간 고등학생 차우민은 그날 프로게이머가 아닌 배우를 꿈꾸게 됐다. 그는 배우도 결국 수많은 직업 중 하나라고, 자신은 그저 그 일을 잘해내고 싶은 초년생이라고 소개했다. 드라마 <보물섬>에서 발견한 배우, 차우민을 만나고 왔다.

  • INTERVIEW

    MADE BY L

    칼군무를 자랑하는 2.5세대 아이돌. 사극과 현대극을 넘나드는 주연배우. 귀신 잡는 해병대 1267기. 자신을 지켜보는 이들의 자랑거리가 되고 싶은 남자, 인피니트 엘이 들려준 이야기.

  • INTERVIEW

    믿고 보는 진영

    갓세븐 진영이 배우로서 세운 목표는 명확했다. 믿고 보는 배우가 되는 것. 그는 유쾌함의 힘을 믿고, 결과만큼 과정이 중요한 걸 아는 사람이었다. 드라마 <마녀> 종영을 앞두고 배우 박진영과 나눈 대화.

MORE FROM ARENA

  • FASHION

    RISING

    2021 LVMH 워치 위크 중 수면 위로 떠오른 3개의 시계를 살펴봤다.

  • FASHION

    Coolish Trek

    타임라인에서 목격한 모델들의 산 인증에 호기심이 발동했다. 산과 자연의 낭만을 화보처럼 누리는 그들의 일상에 녹아든 등산에 대하여.

  • VIDEO

    2020 A-Awards #김광현

  • INTERVIEW

    옥택연의 자유와 평화

    전역 후 자유를 누리고 있는 옥택연. 그와 함께한 평화로운 순간들.

  • INTERVIEW

    성장하고 있어

    트렌드를 이끌어가는 전 세계 젠지와 밀레니얼에게 케이팝은 어떤 의미일까. 새로움의 대명사일까. 케이팝이라는 글로벌 현상은 어떻게 유지되고, 어떤 미래를 맞이하게 될까. 케이팝 산업을 이끌어가는 엔터테인먼트 대표, 작곡가, 비주얼 디렉터, 안무가, 보컬 트레이너, 홍보팀장을 만났다. 그들에게 케이팝의 현재와 미래, 팬들이 원하는 것을 물었다. 케이팝 산업을 통해 2020년대의 트렌드를 살펴본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