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CAR MORE+

극과 극

고배기량 모터사이클은 넉넉함이 미덕이다. 어느 하나 아쉬울 게 없다. 하지만 장르가 다르면 이렇게 달라진다.

UpdatedOn March 21, 2019

3 / 10
/upload/arena/article/201903/thumb/41502-359946-sample.jpg

 

모터사이클을 타고 길을 달리면 즐겁다. 변하지 않는 대명제다. 그렇더라도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각기 달라진다. 배기량에 따라, 장르에 따라, 시트 위치에 따라. 두 바퀴라는 공통점 외에 각각 질감 다른 재미를 뽐낸다. 그게 또 모터사이클의 매력이다. 할리데이비슨 팻밥과 BMW 모토라드 R 1250 GS는 가격대가 비슷하다는 것 빼고는 다 다르다. 달라서 더 놓고 볼 만하다. 극단으로 성향이 갈리니까.

3 / 10
/upload/arena/article/201903/thumb/41502-359947-sample.jpg

 

 

R 1250 GS
배기량 1,254cc / 엔진 수랭 수평대향 2기통 / 변속기 수동 6단 / 무게 249kg / 최고출력 136마력 / 시트고 850~870mm / 가격 3천70만원부터

BMW MOTORRAD R 1250 GS

어드벤처 모터사이클의 제왕이 진화했다. R 1250 GS는 BMW 모토라드의 대표 모델이다. GS는 독일어 오프로드인 겔랜데(Gelände)와 온로드인 스트라세(Straße)의 앞 글자를 땄다. 어느 길이든 다 잘 달린다는 뜻이다. 해서 듀얼 퍼포스로도 불린다. 1980년대 다카르 랠리에서 활약한 R 80 GS가 시작이다. 그사이 변한 세월만큼 GS의 생김새도 달라졌다. 이제는 R 80 GS의 형태는 찾아볼 수 없다. 하지만 어느 길이든 다 잘 달리는 정체성만은 쌓인 세월만큼 강화됐다. 전 모델인 R 1200 GS는 ‘우주명차’로 통했다. 소유주의 과장법이 담뿍 담긴 표현인 건 맞다. 하지만 그만큼 올라운드 모터사이클로서 막강한 능력을 뽐냈다. 장거리에서 편안하고, 고속에서 빠르며, 오프로드에서 든든하다. 못하는 게 없다. 경주마 같은 풍채가 시내에서 불편하다지만, 동양인에게나 해당하는 말이다. 기골 장대한 유럽인에게는 적당한 크기니 시내에서도 딱히 불편할 건 없다. 전 세계에서 인정받은 독일 기계공학의 진수를 R 1200 GS 역시 보여줬다.

그 R 1200 GS의 신형이 R 1250 GS다. 이름의 50 차이는 배기량 차이. R 1250 GS는 1,254cc로, 1,170cc인 전 모델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 반면 체감은 사뭇 다르다. 새롭게 적용한 가변 밸브 시스템이 변화의 핵심. 최고출력을 높이면서도 저속 토크를 강화했다. 저속 토크가 든든하게 깔려 저속에서 편해졌다. 부담이 줄어드니 차체가 한결 가볍게 느껴졌다. 차체 균형이 뛰어나다는 걸, 잠깐만 타도 몸이 알아챈다. 최고출력이 증가했으니 고속 만족도도 상승했을 터. 우주까지는 과장이더라도 어드벤처 명차라는 지위는 여전히 확고하다. 외관 변화가 크지 않아 보기만 해선 신형다운 자극을 잘 느끼기 힘들다. 이미 완성형으로 불리던 모델의 신형이기에 변화 폭이 적을 수 있다. 그만큼 어떤 정점에 오른 뒤 차이를 만들어내는 게 힘든 일이니까. 하지만 시동 걸고 스로틀을 감아보면 신형만의 기름진 질감을 느낄 수 있다. 접하고 보면 R 1250 GS의 섬세한 진화에 혹할 거다. 이렇게 명성은 계속된다. 그 역사에 동참하고 싶은 마음 또한 계속된다.

+UP 엔진이 바뀌니 많은 게 달라졌다.
+DOWN R 1200 GS 타던 사람이면 그냥 참고 타겠지?

 


 

3 / 10
/upload/arena/article/201903/thumb/41502-359950-sample.jpg

 

3 / 10
/upload/arena/article/201903/thumb/41502-359951-sample.jpg

 

 

Fat Bob 114
배기량 1,868cc / 엔진 공랭 V형 2기통 / 변속기 수동 6단 / 무게 296kg / 최대토크 15.8kg·m / 시트고 710mm / 가격 2천9백만원

HARLEY-DAVIDSON Fat Bob 114

2018년은 할리데이비슨이 탄생 1백15주년을 맞은 해였다. 그에 맞춰 새로운 라인업을 발표했다. 서울모터사이클쇼에선 실물도 공개했다. 전시장을 둘러보다 시선이 한참 머문 모델이 있었다. 새로 싹 바뀐 팻밥이었다. 예전 다이나 계열의 모델. 이제는 다이나와 소프테일을 합쳐 소프테일 라인업에 속한다. 어디에 속하든 말든 신형 팻밥은 전체 모델 중 가장 돋보였다. 전통과 미래를 할리데이비슨만의 시각으로 담았달까. 조금 달라서 더 매력적이었다. 그 느낌의 중심에는 사각형 헤드램프가 있다. LED 알알이 박힌 사각형 램프는 언뜻 미래적으로 보인다. 하지만 차체 형상과 맞물리면 그 미래가 말끔한 인상은 아니다. <매드맥스> 시리즈에 나올 법한 모터사이클로 보인달까. 아포칼립스 세계관과 맞닿았다. 이 지점에서 전통과 미래의 적절한 배합이 떠오른다. 여전히 쇳덩어리 붙여놓은 양감을 살리면서 새로운 감각으로 다듬은 셈이다. 할리데이비슨이 세련된 미래 느낌은 아니니까. 헤드램프에서 발화한 독특한 느낌은 차체 전체로 퍼진다.

짧고 굵은 형태는 타이어부터 연료탱크, 머플러, 리어 타이어까지 일관되게 이어진다. 시종일관 알 굵은 근육이 연상된다. 원래 할리데이비슨 하면 양감이 뛰어나지만, 팻밥은 더욱 꾹꾹 눌러 표현했다. 밀도 높은 쇳덩어리. 굴리고 싶어지는 건 당연하다. 팻밥은 107과 114로 나뉜다. 엔진 배기량 차이다. 114는 배기량 1,868cc를 뽐낸다. 빅 트윈 엔진의 정점이다. 팻밥 114에 앉아 시동 버튼을 누르면, 몸 전체가 떨린다. 선 굵은 박력은 공랭 빅 트윈만의 정체성이다. 부드러워졌다지만 여전히 걸걸하다. 할리데이비슨 정체성이니까. 팻밥은 다른 할리데이비슨 크루저 모델보다 공격적이다. 그게 또 신선하다. 넓고 (상대적으로) 낮은 핸들 바를 쥐고 수그리면 엔진 회전수를 높여 달리고 싶은 기분도 든다. 회전수 낮출수록 고동감 짙은 할리데이비슨인데도. 포워드 스텝에 발끝 대고 뚱뚱한 연료탱크에 무릎 세워 붙이면 공격적인 자세도 제법 어울린다. 자동차 타이어처럼 굵은 앞뒤 타이어의 느낌까지 가미되면 중전차가 따로 없다. 마치 커스텀이라도 한 듯 더 젊고 세련된 중전차. 팻밥이 할리데이슨에서 차지한 위치다.

+UP 좌우 흔들면 오뚜기처럼 달리는 주행 질감.
+DOWN 가격과 덩치가 반비례해서 싫어하는 사람도 있겠지?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CONTRIBUTING EDITOR 김종훈

2019년 03월호

MOST POPULAR

  • 1
    SUNNY, FUNNY
  • 2
    봄, 봄, 봄!
  • 3
    Strong Impression
  • 4
    누구나 마음에 품은 문장 하나씩은 있잖아요
  • 5
    Freeze

RELATED STORIES

  • CAR

    Less, But Better

    볼보가 EX30을 선보였다. 기존에 없던 신모델이다. 형태는 소형 전기 SUV. 접근하기 편하고 쓰임새도 많다. 그러니까 EX30은 성장하는 볼보에 부스트를 달아줄 모델이란 뜻이다. EX30은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까.

  • CAR

    유용하거나 탐스럽거나

    작지만 알찬 자동차. 크고 화려한 자동차. 둘을 놓고 고른다면 답이 빤할까. 둘을 비교하면 그럴지도 모른다. 비교하지 않고 순서대로 타보면 또 다르다. 저마다 이유가 있고 역할이 나뉜다. 전기차 중에서 작고 알차거나 크고 화려한 두 차종을 연이어 타봤다.

  • CAR

    페라리의 세계

    페라리가 태국 방콕에서 열린 ‘우니베르소 페라리’에서 새로운 슈퍼카 F80을 선보였다. 창립 80주년을 기념하여 발매한 차량으로 1984 GTO와 라페라리 아페르타의 계보를 잇는다. 전 세계를 무대로 페라리의 헤리티지를 선보이는 전시에서 레이싱카의 영혼을 담은 로드카를 아시아 최초로 만나보았다.

  • CAR

    롤스로이스를 사는 이유

    고스트는 롤스로이스 오너가 직접 운전대를 잡게 만든 차다. 어떻게? 그 이유를 듣기 위해 지중해의 작은 도시로 향했다.

  • CAR

    올해의 자동차

    자동차 시장은 신차가 끌고 간다. 신차가 관심을 끌고, 그 관심은 다른 모델로 확장한다. 올 한 해에도 수많은 자동차가 출사표를 던졌다. 물론 그중에 기억에 남는 자동차는 한정적이다. 자동차 좋아하는 에디터 둘이 존재를 각인시킨 자동차를 꼽았다. 기준은 다른 모델보다 확연히 돋보이는 무언가다.

MORE FROM ARENA

  • LIFE

    천변 술집

    하루가 끝나고 집으로 가는 길. 천변을 걷던 중 술이 당긴다. 오늘을 위로해줄 포근한 아지트 두 곳을 찾았다. 불광천과 홍제천변에서.

  • FASHION

    수트로 돌아가자

    문득 그리워진 정직하고 고상한 수트로의 회귀.

  • FASHION

    Autumn Prologue

    본격적인 가을의 첫 악장. 김지석과 로가디스가 만들어낸 절묘한 하모니.

  • FASHION

    이색적인 두 브랜드의 만남

    브랜드에서 내놓은 따끈따끈한 협업 소식 5

  • FASHION

    THE LAST HOLIDAY

    이 여름의 끝을 잡고.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