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나는 여기에 있다

제각각인 천 조각들을 하나로 모아 만든 평면에 유화 물감을 맹렬히 휘갈긴다. 오스카 무리조에게 작품을 만드는 일이란 처음부터 ‘나의 내적 에너지를 어떻게 물리적으로 발현시킬 것인가에 대한 문제’였다.

UpdatedOn January 09, 2019

/upload/arena/article/201901/thumb/41028-351013-sample.png

오스카 무리조에게 창작이란 자신의 에너지를 물리적인 요소로 변환하는 일이다. 그는 자신을 작품의 촉매로 쓴다.

 

오스카 무리조의 이야기를 시작하려면 세 번의 순간을 나열해야 한다. 먼저 2012년 뉴욕 인디펜던트 아트 페어. 영국왕립예술학교에 다니던 그는 이 페어에 독특한 회화 작품을 출품한다. 미국 플로리다의 호텔 사업가이자 루벨 패밀리 컬렉션으로 잘 알려진 거장 컬렉터 돈 루벨이 무리조의 작품을 곧장 구매하려 했지만, 이미 작품은 부스에 걸리기도 전에 팔린 상태. 돈 루벨은 당시 무리조에게서 장 미셸 바스키아의 에너지가 떠오른다고 했다. 이듬해인 2013년의 필립스 경매. 오스카 무리조의 그림은 40만1천 달러(약 4억5천만원)에 낙찰된다.

낙찰자는 배우 리어나르도 디캐프리오. 낙찰가는 예상가의 10배에 달하는 금액이었다. 마지막으로 2016년 3월. 비교적 짧은 시간에 기록적인 스타덤에 오른 이 예술가는 시드니행 비행기에 오른다. 시드니 비엔날레에 참석하기 위해서다. 콜롬비아 태생의, 영국 국적인 무리조는 그 비행기 안에서 자신의 영국 여권을 찢어 변기에 버린다. 진정한 자유에 대한 질문이자, 서구 시민으로서 세상을 넘나드는 특권을 가진 상황에 도전하는 행위였다. 그는 시드니에 이틀간 구금된 후 추방된다. 오스카 무리조는 단지 그림을 그리는 작가가 아니다. 그는 자신의 존재를 재료로 쓰며 탐구한다. 

 

3 / 10
/upload/arena/article/201901/thumb/41028-351014-sample.png

강렬한 색감의 회화작들과 대비되는 ‘The Institute of Reconciliation’. 공간의 전형성을 탈피하기 위한 장소 특정적 작품이다.

강렬한 색감의 회화작들과 대비되는 ‘The Institute of Reconciliation’. 공간의 전형성을 탈피하기 위한 장소 특정적 작품이다.

 

지난 6년간의 활동으로 전 세계 컬렉터들을 사로잡은 오스카 무리조의 개인전이 한국에서 열린다. 전시 제목은 ‘Catalyst’ 즉 ‘촉매’다. 촉매는 무리조의 작업을 물리적인 관점에서 표현하는 말이다. “나와 회화작의 관계는 단순히 작가와 작품 간의 관계가 아닙니다. 나의 회화는 내가 가진 모든 물리적인 에너지를 쏟아내고 표출한 결과물이죠. 앞으로도 드로잉을 통해 예술가로서의 나를 그리고자 합니다.” 전시 제목을 연작 이름이기도 한 ‘Catalyst’로 정한 이유도 그래서다. 무리조는 자신의 에너지를 포착하고 생명성을 드러내는 관점에서 이 전시를 표현한다.

“이 전시로 무형의, 무한한 평행선을 구축하고 싶었습니다. 나의 마크 메이킹(선, 패턴, 질감을 비롯한 흔적을 만드는 행위) 드로잉은 내 에너지를 담는 무한한 존재예요. 내 몸은 유한이며, 언젠가 사라지고 썩겠지만 말입니다.” 이번 전시에서 만날 수 있는 ‘Catalyst’ 연작은 그의 역동적인 마크 메이킹 드로잉으로 채워진 거대한 회화작이다. 어떤 존재가 지닌 에너지를 느낄 수 있다.

“수평성과 타자성 그리고 화해. 내가 지속적으로 탐구하는 주제입니다.” 이민자라는 태생, 미술계의 적극적인 조명 아래 전 세계를 유랑하며 활동하는 작가라는 정체성, 소셜 미디어를 통해 사회 정치적 분쟁이 순환되어 무감각해지는 상태를 경험하는 세대라는 배경은 곧 그의 작품 세계와 이어진다. “과거에는 글로벌 남쪽이라는 표현이 있었습니다. 서방 세계의 역사에서 사용했죠. 적도라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세계가 북과 남으로 갈렸습니다. 그러나 나에게 이 수평선은 더 이상 정치·문화적인 의미를 지니지 않아요. 나는 문화적인 정체성에 귀결되거나 구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가고 싶은 곳으로 이동하고 싶습니다. 수평성에 관한 탐구는 이런 나의 소망을 이룰 수 있는 수단이에요.”

무리조는 작품의 제작 장소를 스튜디오로 국한하지 않는다. 세계 각지를 여행하며 접한 환경에서 수집한 파편들을 모으며 작업을 이어간다. 지역을 초월하여 이동하면서 세계에 포진한 다양성을 물리적인 요소와 상관없이 연결할 수 있을지 탐구하는 것이다. 한국에서 열리는 그의 첫 개인전 <Catalyst>는 그 결과물이다. 전시는 2019년 1월 6일까지. 국제 갤러리.

 

‘pulsation frequencies’ 2018.

‘pulsation frequencies’ 2018.

‘pulsation frequencies’ 2018.

‘AAAAI’ 2018.

‘AAAAI’ 2018.

‘AAAAI’ 2018.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이경진
PHOTOGRAPHY 국제 갤러리

2019년 01월호

MOST POPULAR

  • 1
    SUNNY, FUNNY
  • 2
    SKIN DEFENDER
  • 3
    IN THE ROOM
  • 4
    Groundbreaker
  • 5
    INSIDE OUT, 국동호

RELATED STORIES

  • LIFE

    중고 노트북으로 쓴 소설

    이상문학상이 중요한 이유는 간단하다. 오늘날 한국어로 쓰인 소설 중 가장 탁월한 작품을 알 수 있으니까. 그 권위와 위상은 수상 목록만 보아도 확인할 수 있다. 1977년 김승옥을 시작으로 은희경, 김훈, 한강, 김영하, 김애란 모두 이상문학상을 탔다. 2025 이상문학상은 예소연과 <그 개의 혁명>에게로 돌아갔다. 우리 시대에 가장 뛰어난 소설은 어떻게 쓰였을까. 봄볕이 내리쬐는 어느 오후, 소설가 예소연을 만나고 왔다.

  • LIFE

    시계에서도 ‘에루샤’가 통할까?

    에르메스, 루이 비통, 샤넬의 시계는 살 만할까? 3명의 필자가 논하는 패션 하우스의 워치메이킹에 대한 편견 없고 다소 진지한 이야기.

  • LIFE

    봄, 봄, 봄!

    봄 제철 식재(食材)를 활용한 한식 다이닝바 5

  • LIFE

    호텔보다 아늑한 럭셔리 글램핑 스폿 5

    캠핑의 낭만은 그대로, 불편함은 최소화하고 싶다면.

  • LIFE

    그 시절 내가 사랑한 안경남

    안경 하나 바꿨을 뿐인데!

MORE FROM ARENA

  • FASHION

    Tattoo & Jewel

    타투처럼 영원히 몸에 걸치고 싶은 주얼리.

  • ARTICLE

    닥터마틴처럼 가볍게

    묵직하고 투박한 신발이라는 닥터마틴과는 떼려야 뗄 수 없던 선입견이 완벽하게 벗겨졌다. 얼마나 가벼워졌는지, 직접 신어보면 적잖이 놀랄 거다.

  • REPORTS

    여기, 디지털 매거진

    디지털 매거진은 프린트 매거진의 미래일까? 희미한 질문을 손에 쥐고 지금 가장 만나고 싶은 다섯 명의 디지털 매거진 편집장을 인터뷰했다. 잡지가 잡지에게 묻고, 잡지가 잡지에게 답했다.

  • LIFE

    미래에서 온 편지

    화성 탐사 1백 주년을 맞이한 2060년. 화성의 시시콜콜한 일상이 담긴 편지가 도착했다.

  • LIFE

    우리가 결혼하지 않는 이유

    결혼하지 않은 사람이 더 많다. 30대 남성 미혼율이 50%를 넘었다. 기혼보다 미혼이 더 자연스러운 현상이 됐다. 40대부터 20대까지 미혼 남성을 대상으로 결혼하지 않는 이유를 물었다. 원인은 경제력만이 아니었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