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The World News

더 발칙해진 한식

지금 뉴욕에선 심지어 이런 한식이 가능하다.

UpdatedOn August 28, 2018

3 / 10
/upload/arena/article/201807/thumb/39402-323927-sample.jpg

 

 

마치 와인 카브처럼 쑥 들어간 공간은 16개의 좌석이 낮게 둘러싼 셰프의 주방이다. 그 안에 JP, 박정현 셰프가 있다.
지난 5월 30일, 뉴욕 맨해튼의 아토믹스(Atomix) 오프닝 프레스 이벤트에 참석했다. 현지 언론과 푸드 라이터들 사이에서 한국에서 온 칼럼니스트는 내가 유일했다. 박정현 셰프는 지금 뉴욕에서 주목받는 한식 요리사 중 하나다. 2016년 7월 문을 연 캐주얼 한식 레스토랑 아토보이(Atoboy)가 큰 성공을 거두고 있기에 그의 두 번째 레스토랑이자 디너 가격이 1백75달러 이상으로 책정된 파인 다이닝, 아토믹스에 대한 관심도 그만큼 높았다.

 

3 / 10

아토믹스에 대한 관심도 그만큼 높았다. 아토보이는 2017년 <뉴욕 타임스> 푸드 라이터 피트 웰스(Pete Wells)가 선정한 그해의 뉴욕 톱 레스토랑 중 하나로 꼽혔는데, <뉴욕 타임스>의 리뷰 ‘받기’를 모두가 ‘기다리는’ 뉴욕에서 이 정도의 속도는 이례적이다. 박정현 셰프는 매우 빠르게 뉴욕 다이닝 신을 흡입했다. 

박정현 셰프는 아토믹스를 소개하기 위해 스몰 바이트 스타일로 아토믹스의 몇 가지 메뉴를 준비했는데, 그 이전에 아토보이에 처음 갔을 때 내가 받았던 ‘한식의 충격’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다. “이게 무슨 한식이야”라고 질색할 한국의 한식 ‘훈장님’들이 몇몇 머릿속을 스쳤다. 실제 한식에 대한 굳건한 스테레오타입을 고수하는 사람일수록 박정현 셰프의 음식에 대해 물음표를 던진다. ‘이것이 한식인가?’라는 물음표다. 그만큼 박정현의 한식은 발칙하고도 대담했다. 멸치액젓 대신 베트남의 피시 소스를 사용한(어차피 맛의 구성 요소와 역할은 비슷하므로, 현대 요리에선 흔한 변용) 김치나, 백김치 맛이 나는 새로운 형태의 슬러시 물회, 뉴욕식으로 재해석한 고추장과 감자탕 맛 양고기 스튜, 원형은 육회지만 안초비와 허브로 변형해 다른 음식처럼 보이는 비프 타르타르가 자신 있게 놓였다. 서울의 모던 한식보다 훨씬 급진적이고 자유롭다.

맛은? 무척 좋았다. 처음 입에 넣었을 때는 한식에 대한 기대 안에 그 음식을 가둘 수밖에 없었기에 나 또한 충격에 빠졌지만, ‘뉴욕의 한식’으로 차이를 인정한 순간부터 좋아졌다. 금기에서 벗어난 뉴욕의 한식은 다소 낯설지언정 신선한 안목이고, 즐거운 파격이었다. ‘이런 한식도 가능하다’는 것을 박정현 셰프는 음식으로 주장하고 있었다.

한식에 대한 새로운 배움을 준 아토보이 이후 아토믹스는 그래서 장점이 더 많이 보였다. 삼계탕의 뉘앙스로 속을 채운 프라이드 치킨, ‘일본과 한국과 뉴욕 사이의 무국적’이라는 말이 떠오르도록 여러 요소를 차용한 회 등 아토보이에서보다 더욱 정련한 방식으로 만들어낸 음식들을 선보였다. 어느 저녁 16명의 손님 중 한 명으로 오픈 키친 앞 테이블에 앉아 아뮈즈부슈를 포함한 10코스의 음식과 2코스 디저트를 제대로 즐기고 싶어지는 인상 깊은 ‘맛보기’였다.

뉴욕에서 한식은 지금 중국 쓰촨 음식, 베트남 음식, 미얀마 음식과 함께 열성적으로 회자되는 푸드 키워드 중 하나다. 

32번가 K타운의 1세대 한식, 그리고 세계적 스타 셰프인 데이비드 챙(David Chang), 그리고 뉴욕에서 한식 최초로 미쉐린 가이드 1스타를 받은 ‘단지’의 김훈이(Hooni Kim) 셰프가 주도했던 과도기적 2세대를 지나는 동안 한식과 뉴요커들 사이에 놓인 문지방은 거의 닳았다. 그리고 지금, 세 번째 물결을 만든 임정식 셰프의 정식(Jungsik, 2011, 뉴욕 미쉐린 가이드 2스타), 김세홍-구태경 셰프의 오이지(oiji, 2015), 아토보이, 꽃(Cote, 2017, 뉴욕 <미쉐린 가이드> 1스타)는 마치 뉴욕과 대화를 나누듯, 뉴욕의 한식을 정의해나가고 있다. 

현재 일어나고 있는 이 무브먼트의 공통점은 뉴욕, 또는 해외 미식 대도시에서 쌓은 다채로운 경험과 경력을 토대로, 한식을 골조로 삼아 지구상 식재료와 조리법을 경계 없이 넘나드는 광범위한 의미의 한식을 만들어나간다는 것이다. 그리고 바로 얼마 전 등장한 2018년의 루키, 아토믹스는 3세대 뉴욕 한식의 특이점을 만들어가고 있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이경진
PHOTOGRAPHY 아토믹스
WORDS 이해림(푸드 칼럼니스트)

2018년 08월호

MOST POPULAR

  • 1
    WITH MY BUDDY
  • 2
    호시의 호시절
  • 3
    호텔보다 아늑한 럭셔리 글램핑 스폿 5
  • 4
    SUNNY, FUNNY
  • 5
    INSIDE OUT, 국동호

RELATED STORIES

  • LIFE

    파네라이의 거북선

    파네라이가 시티 에디션의 일환으로 ‘서울 스페셜 에디션’을 공개했다. 한국을 모티브로 선보인 최초의 결과물이다.

  • AGENDA

    실리콘밸리, 천재형 CEO 리스크 시대

    실리콘밸리의 천재들이 위기를 맞았다. 그들의 미래에 회의적인 시선을 보내는 투자자들이 조금은 이해된다.

  • FASHION

    제냐와 서울

    에르메네질도 제냐의 새로운 행보, ‘XXX(엑스엑스엑스) 컬렉션’의 시작을 알리는 성대한 론칭 행사가 얼마 전 서울, 성수동에서 진행됐다. 에르메네질도 제냐의 아티스틱 디렉터 알레산드로 사르토리에게 물었다. 도대체 왜 서울에서?

  • LIFE

    이토록 세련된 한식

    ‘킴미(Kimme)’가 싱가포르 한식의 지형도를 바꾸고 있다.

  • REPORTS

    The Time of Blue

    여름의 한복판에서 다시 만난 배우 지수와 랩 시리즈 ‘레스큐 워터 로션’.

MORE FROM ARENA

  • INTERVIEW

    Craftsmanship Of Seoul #영신사

    세상은 무정하게 변한다. 열심히 살면 무엇이 남나. 들어버린 나이와 늙은 음악과 촌스러운 영화들만 주변에서 반복된다. 그럼에도 살아 있으니까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한 여정을 시도한다. 세월에 무임승차해 지나간 풍경을 곱씹으며 인생이 고장 났던 순간만 복기할 따름이다. 그런 와중에도 우리는 일정하게 정차한다. 간이역에서 책임질 것을 찾아 두리번거리다 빈손으로 다시 열차에 오르길 반복하다 보면 어느덧 누군가의 손을 잡고 있다. 그때쯤 차창 풍경에도 무심해진다. 변하는 시대 흐름에 맞춰 업력도 능력도 키워야 한다는 것은 알지만, 무엇을 해볼까. 고민하는 사이 기회는 스무 살의 꿈처럼 구름 뒤로 사라지고 열차는 황혼에 들어선다. 이달 우리는 장인들을 만났다. 50년간 구두를 수리했거나, 60년간 시계를, 40년간 기타를, 60년간 오디오를 수리한 사람들 . 한 가지만을 고쳐온 장인들에게 변하는 세상에서 우직할 수 있었던 힘에 대해 물었다.

  • INTERVIEW

    이동휘의 신세계

    그가 불확실함이 동력이 된다고 말할 때, 배우라면 오디션을 통해 공평한 기회를 얻어야 한다고 말할 때, 취향으로 윌렘 대포와 프랜시스 맥도먼드를 나란히 말할 때, 우리가 알던 것과 완전히 다른 이동휘를 봤다. 그가 <카지노>를 통해 겪고 다짐하고 달라진 것들에 대하여.

  • FASHION

    WITH MY SUNGLASSESE

    렌즈를 통해 마주하는 일상과 일탈, 혼돈과 고요의 삶.

  • REPORTS

    더 콰이엇의 취향

    지레짐작과는 달리 더 콰이엇은 차분했고, 담담했고, 진중했다. 돈을 많이 벌 수 있어서 좋다, 라는 직설적인 언명 뒤에는 에어 조던과 라이카 등 본인의 취향을 한껏 끌어올려줄 수 있는 감도 높은 물건들을 마음껏 쓸 수 있는 지금이 정말 좋다, 라는 내밀한 뿌듯함이 숨어 있었다.

  • REPORTS

    FASHION REPORTS 14

    F/W 시즌 패션 트렌드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 그리고 이후 판도에 기반이 될 14가지 화두를 꼽았다. 여기에 <아레나> 패션팀과 업계 전문가들의 코멘트도 더했다. 지금부터 소개할 리포트는 현재의 패션 산업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