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INTERVIEW MORE+

느림의 미학

브렌트 웨든은 실로 추상화를 짜낸다. 그의 아시아 첫 전시가 서울에서 열리고 있다.

UpdatedOn January 16, 2018

3 / 10
/upload/arena/article/201801/thumb/37220-276344-sample.jpg

 

 

  • 브렌트 웨든 〈카르마〉
    주소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7길 40 PKM갤러리
    문의 02-734-9436

 

멀리서 눈을 가늘게 뜨고 작품을 바라보면, 정돈된 붓질로 완성된 추상화 같다. 작품에 가까이 다가서면 가늘고 굵은 실들의 서로 다른 질감이 느껴진다. 캐나다 출신 작가 브렌트 웨든은 실로 추상화를 짠다. 작가는 처음부터 마무리까지 직접 실을 엮어 작품을 만들어낸다. 그렇게 하루 종일 베틀 기계에 앉아 천을 짠다. 100호 캔버스 사이즈의 작품을 만들어내는 데 꼬박 한 달의 시간이 걸린다. “성격 자체가 반복을 즐긴다. 오래 걸리지만 느린 작업 과정을 통해 작품에 대해 더 깊게 생각하게 된다.” 작품에 담긴 짜임들 속엔 작가의 시간이 담긴다. 브렌트 웨든의 작품은 시간을 상징하기도, 기다림을 상징하기도 한다.

‘무제’ 2017, Hand Woven Fibers, Wool, Cotton And Acrylic on Canvas 275×205cm

‘무제’ 2017, Hand Woven Fibers, Wool, Cotton And Acrylic on Canvas 275×205cm

‘무제’ 2017, Hand Woven Fibers, Wool, Cotton And Acrylic on Canvas 275×205cm

‘무제’ 2017, Hand Woven Fibers, Wool, Cotton And Acrylic on Canvas 97×87cm

‘무제’ 2017, Hand Woven Fibers, Wool, Cotton And Acrylic on Canvas 97×87cm

‘무제’ 2017, Hand Woven Fibers, Wool, Cotton And Acrylic on Canvas 97×87cm

작가가 작품을 만드는 과정 중 또 하나 중시하는 것은 ‘우연’이다. 브렌트 웨든은 직조 과정에서 생기는 우연적인 오류나 실수를 인정하고 부각시킨다. 그렇기 때문에 한 치의 오차도 없는 공예품과 달리 추상화의 모습이 짙다. 대학 시절 회화를 전공한 그는 독일에서 우연히 직조 전문가를 만나면서 새로운 세계에 눈을 떴다. 육체적인 노동이 필요한 직조에서 회화보다 강력한 에너지를 느꼈다. 작가는 자신의 작업에 대해 “직조는 깊은 명상과 육체적 부담을 요하는 작업 과정으로 이를 통해 내 에너지의 편린을 포괄한다”고 밝히며, 작업 형식에 대해 정의를 내린다.

‘무제’ 2017, Hand Woven Fibers, Wool, Cotton And Acrylic on Canvas 92×78cm

‘무제’ 2017, Hand Woven Fibers, Wool, Cotton And Acrylic on Canvas 92×78cm

‘무제’ 2017, Hand Woven Fibers, Wool, Cotton And Acrylic on Canvas 92×78cm

브렌트 웨든의 작품은 이전 전시까지 대체로 어두운 색상의 음울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이번 전시에서는 밝은 느낌의 작품을 내걸었다. 압도적인 크기의 화면 속에 기하학적 도형과 분홍색, 녹색 등 대담한 구도와 색상이 돋보인다. 그의 작품은 세계적인 컬렉터인 루벨라 컬렉션을 포함해 마르시아노 아트 파운데이션, 루이 비통 재단 등에 소장될 정도로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아시아에서 최초로 이뤄지는 브렌트 웨든의 전시는 PKM갤러리에서 개최된다.


WATCH & SEE 이달, 우리가 보고 감상해야 할 멋진 것들.

  • 〈Snow Land〉 공근혜 갤러리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을 기념해 겨울의 상징인 ‘눈(snow)’을 주제로 한 〈Snow Land〉 전이 열린다. 흑백 아날로그 사진의 세계적인 두 거장, 마이클 케냐와 펜티 사말리티의 2인 전이다. 마이클 케냐는 나무나 돌 등 자연의 모습을 담았고, 팬티 사말리티는 러시아 북유럽의 일상 풍경을 담았다. 각국의 다양한 설경들을 한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다. 2월 25일까지.

  • 〈바다 빙, 바다 붐〉 갤러리 페로탕

    일본 작가 매드사키의 국내 첫 개인전이 열린다. 매드사키는 스프레이를 활용해 캔버스에 그림을 그린다. 그림 속의 선은 대체로 삐뚤빼뚤하고, 물감이 흘러내리는 듯한 질감이 특징이다. 〈로마의 휴일〉 〈레옹〉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등 유명 영화의 한 장면이나 만화 속 캐릭터를 매드사키만의 기법으로 재해석했다. 1월 13일까지.

〈롱드르가와 아엔데가의 모퉁이에서〉 아뜰리에 에르메스

로사 마리아 운다 수키는 2012년부터 〈롱드르가와 아엔데가의 모퉁이에서〉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프리다 칼로와 푸른 집이라고 불리는 그녀의 옛집을 둘러싼 기억을 따라가는 작업이다. 프리다 칼로가 머물렀던 푸른 집의 구석구석을 따라가며 그 공간이 담고 있는 기억과 이야기를 작품으로 불러낸다. 전시에서는 총 54점의 드로잉과 56점의 페인팅, 그리고 작업 과정을 담아낸 다큐멘터리 영상도 만나볼 수 있다. 2월 4일까지.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GUEST EDITOR 김윤희

2018년 01월호

MOST POPULAR

  • 1
    Bloom&Petal
  • 2
    <아레나> 6월호 커버를 장식한 스트레이 키즈 현진
  • 3
    등산이 기다려지는 서울 등산로 맛집 5
  • 4
    THE BOYS OF MAY
  • 5
    베트남 캄란의 숨은 파라다이스, 래디슨 블루 리조트

RELATED STORIES

  • INTERVIEW

    <아레나> 6월호 커버를 장식한 스트레이 키즈 현진

    워치 & 주얼리 브랜드 까르띠에와 함께한 현진의 <아레나> 6월호 커버 공개!

  • INTERVIEW

    Still JaY PARK

    몇 번이고 실패해도 기죽지 말 것. 잃을 게 없을수록 더 많이 도전할 것. 매번 멋있기보다 때로는 기꺼이 망가질 것. 시애틀의 말라깽이 소년이 오늘의 박재범이 될 수 있었던 이유다. 그와 대화를 나누며 생각했다. 내일의 박재범도 여전히 오늘의 박재범과 같을 거라고.

  • INTERVIEW

    MINOR DETAILS #한승우

    아티스트 한승우에게 사소로운 질문을 전했다.

  • INTERVIEW

    재주 소년 차강윤

    데뷔한 지 1년 차에 주연 자리를 꿰차고, 차차기작을 쌓아둔 신인. 초롱초롱 뚜렷한 눈빛에 총기가 좋은 그의 목표는 오스카상을 받는 것이라고 한다. 무궁무진 찬란하게도 빛나는, 앞날이 더욱 기대되는 차강윤과 나눈 대화.

  • INTERVIEW

    홍화연이 향하는 길

    후회하지 말자. 교사가 꿈이던 홍화연을 배우로 이끌어준 말이자 여전히 그를 움직이게 하는 신념이다. 실제로 만난 홍화연은 <보물섬> 속 은남을 어떻게 연기했나 싶을 정도로 밝고, 맑았다. 그런 그를 보고 있노라니 앞으로 분할 캐릭터들이 더 기대됐다. 어떤 얼굴로도 금세 변할 수 있을 것만 같아서.

MORE FROM ARENA

  • LIFE

    오 나의 90년대 히어로

    여전히 연말이 되면 1990년대 히어로들을 소환한다. 홍콩 영화의 쿵푸 히어로, 홀로 집에 남은 케빈, 파이 좀 먹을 줄 아는 미국 친구 등. 다시 만나고픈 20년 전 히어로들과 2019년을 갈무리한다.

  • AGENDA

    Scene Stealer

    하루가 멀다 하고 파릇파릇한 로컬 브랜드들이 새 시즌을 위해 빛나는 이미지들을 각종 채널을 통해 공개하고 있다. 그중에서 선별했다.

  • FASHION

    READY FOR MARCH

    따뜻한 봄과 함께 가뿐하게 등장한 신발 넷.

  • LIFE

    NEW LUXURY #먹고 마시는 럭셔리

    새로운 럭셔리가 온다. 럭셔리 브랜드는 우아한 것에서 힙하게 경험하고 즐기는 대상으로 변하고 있다. 아트와 미식 등 공감각적 체험을 제공해 고객에게 브랜드에 대한 환상을 전하고, 환상을 소유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MZ세대는 새로운 럭셔리를 놀이로 해석한다. 기사에서는 새로운 럭셔리의 조건을 전시와 미식, 보고 먹는 놀이로서의 브랜드 경험에서 찾는다.

  • DESIGN

    Color Block

    무채색의 긴 겨울이 지나고 다가오는 봄, 기어코 손에 쥐어야 할 온갖 색의 가죽 아이템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