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FASHION MORE+

서울, 청춘

지금 서울의 청춘들은 이렇게 하루를 보낸다. 유스 컬처(Youth Culture)의 최전방, 어느 젊은 날의 초상이다.

UpdatedOn April 25, 2017

3 / 10

 

신정혁 스케이터

아침부터 스케이터들은 가방 하나와 보드 하나를 둘러메고 공원으로 하나둘 모여든다. 가벼운 인사를 주고받은 뒤 말 없이 바퀴 달린 보드를 달린다. 파도가 치면 서핑을 하듯, 신정혁은 눈을 뜨면 스케이트보드를 탄다. 보드의 나무 감촉이 부드럽다고 느낀 아주 어린 시절부터 습관처럼 스케이트보드를 탔다. 스케이트보드에 그려진 그림들도 좋았다.
세계적인 스케이터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그는 ‘힙스(HEAPS) 스케이트’의 창립자이기도 하다. 스케이트보드 웹진 <데일리 그라인드(DAILY GRIND)>에 그의 스킬을 담은 영상을 올리고 스케이터들끼리 영감을 주고받는 것도 중요한 일과다.
“스케이트보드를 타지 않는 삶은 생각해본 적이 없다. 밥을 먹고 친구를 만나는 것처럼 너무나 자연스러운 일상의 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는 청춘이 도전이라고 말한다. 그에게 스케이트보드는 더 나은 내일을 위한 도전이다.

 

3 / 10

 

우병윤 작가, 화가

‘무씨(MUSEE)’를 찾아가는 길은 다소 난감하다. 남영동 어느 국밥집과 은행 사이 건물 5층에 이런 나른한 공간이 있을 줄은 몰랐다. 우병윤 작가는 이곳에서 자신의 그림을 전시하고, 관객과 직접 대화를 나눈다. 갤러리를 찾는 사람들이 물끄러미 그림만 보다 돌아가는 것이 아쉬워 더 많은 이야기를 건넨다.
그는 글을 먼저 쓰고 그것을 바탕으로 그림을 그린다. 청춘에 대한 주제를 작품으로 구현해내던 예전과 달리 그는 요즘 개성 있는 존재가 각자의 색깔을 찾아가고, 공존하는 사회를 그린다. “청춘은 파스텔컬러라고 생각한다. 아직 명확한 원색이 되진 못하지만 불분명한 그 자체로 아름답기 때문이다.”
수많은 호기심 속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것, 좋아하는 것, 무의미한 것 등이 명확하게 보이는 때가 온다. 바로 그 순간 청춘을 넘어선 자신을 깨달을 거다. 청춘을 그리던 우병윤 작가는 이제 청춘 이후의 색깔을 그려내고 있다.

 

3 / 10

 

재키와이 래퍼

재키와이는 “비주류 문화를 주류로 끌어올리고 싶다”고 말했다.
2013년, ‘더 어글리 정션(The Ugly Junction)’이 주최한 여성 래퍼 콤피티션(GALmighty)에서 우승을 차지했을 때가 18세 였으니까, 이제 22세가 됐다.
지난겨울 첫 번째 앨범 를 발매했는데, 들어본 소감을 말하자면 청춘과 나른함, 몽환과 허무 같은 단어들이 떠오른다. 청춘을 빛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반대의 그림자를 보여주고 싶었다니, 정확하게 들은 것 같다. 그녀는 ‘내가 뭘 보여주고 싶고 뭘 원하는지’ 명확히 알고 있다.
“음악은 청춘의 감각에 의지한다고 생각한다. 늘 새로운 것, 신선한 것을 찾기 때문이다. 청춘의 감을 다 써버리면 나중에 그것이 빚더미처럼 불어날 것 같기도 하다. 그래서 나에게 청춘은 빚이다.” 요즘엔 헨즈 등 라이브 클럽에서 공연을 자주 여는데, 다음 앨범은 좀 더 팝적인 요소를 섞어보겠다고 했다. 좀 더 직선적이고 명확하게, 그녀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을 거다.


3 / 10

 

배드핸즈 타투이스트 그룹

예전에 우리는 이것을 ‘문신’이라고 불렀다. 주로 직업이 험악한 사람들이 몸에 그리는 ‘차카게 살자’ 같은 문구나 용, 호랑이 그림들.
하지만 2017년 서울에서는 젊은이가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는 수단이자 하나뿐인 ‘아트’가 되었다. 문래동 배드핸즈의 타투 아티스트들을 처음 만나면 움찔 놀랄지도 모른다. 어디서도 볼 수 없는 흔치 않은 스타일, 어디에나 새겨져 있는 타투 등을 곁눈질로 보게 될 수도 있다. 하지만 한두 마디 이야기를 나눠보면 세상 둘도 없는 ‘순둥이’들이란 걸 알게 될 거다.
이들은 더 멋진 작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이 분야 최고의 크리에이터들이다. 배드핸즈에게 청춘은 ‘자유로움’이다. 하고 싶은 것 하면서, 살고 싶은 대로 사는 것. 나이를 먹을수록 자유를 향유하는 운신의 폭은 줄어들겠지만 어쩌겠는가.
일단 지금은 지금처럼 사는 거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서동현
PHOTOGRAPHY 채대한
LOCATION 음레코드(재키와이)

2017년 04월호

MOST POPULAR

  • 1
    베트남 캄란의 숨은 파라다이스, 래디슨 블루 리조트
  • 2
    비섹스남의 성생활
  • 3
    BUYING GUIDE
  • 4
    Match Point
  • 5
    하나를 고른다면 이것! 그들의 최애 술 5

RELATED STORIES

  • FASHION

    손목을 반짝이게 하는 것들

    손목 위 은은하게 반짝이며 찰랑이는 실버 브레이슬릿이 빛을 발할 때.

  • FASHION

    Wet Days

    흠뻑 젖은 채로 맞이하는 새로운 계절의 하루.

  • FASHION

    Spring Fatigue

    한없이 늘어지고 싶은 꿈같은 어느 봄날.

  • FASHION

    BONDED LIVES

    이 부부가 사는 법.

  • FASHION

    Bloom&Petal

    꽃잎처럼 섬세하고, 꽃처럼 대담하게 빛나는 주얼리.

MORE FROM ARENA

  • LIFE

    고향에서 고향으로

  • FASHION

    핵심 요약

    ‘지금’ 가장 핵심적인 신상 스니커즈들을 3가지 테마로 요약했다.

  • FASHION

    이리도 멋진 블랙 레더 아이템

    유연하고도 견고한 블랙 레더의 멋.

  • FASHION

    ATTENTION 2025 #RISING SUN

    2025년을 총천연색으로 가득 채울, 익숙하고도 새로운 유망주들.

  • REPORTS

    차차와 글렌

    한국 록의 낭인 차승우와 전설의 로큰롤러 글렌 매틀록이 만났다. 벌써 두 번째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