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
1 플란다스의 개 (2000) l 감독 봉준호
<살인의 추억>(2003)에 앞서, 봉준호는 강아지 실종 사건에 관한 영화를 찍었다. 개를 모티브로 중산층의 삶과 인물들의 좌절된 욕망과 판타지 등에 접근했다.
<살인의 추억>이 스릴러로 사회를 해부했다면 <플란다스의 개>는 코미디를 통해 자본주의의 삶을 응시한다. 제목이 파트라슈가 나오는 만화 <플란다스의 개>와 동일한 탓에 과소평가받았지만, 만화적 상상력이 깨알처럼 폭발하는 작품이다.2 소름 (2001) l 감독 윤종찬
최근 사회 분위기나 현실을 반영하는 스릴러물이 인기다. 단순히 깜짝 놀라게 하는 공포물보다 사회 비판적인 스릴러가 관객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와 닿기 때문이다.
낡은 아파트에서 일어나는 비극을 담아낸 <소름>은 그런 의미에서 <숨바꼭질>(2013) 같은 영화의 대선배라고 할 수 있다. 공포 없는 공포 영화지만, 불길함이 소름 끼치게 가슴을 파고들어온다. 고 장진영의 문제작이었다.
3 지구를 지켜라! (2003) l 감독 장준환
물론 흥행에 실패했지만 영화 마니아에게 지지받은 데뷔작이다. 시간이 흐르며 한국 최고의 컬트 영화로 자리 잡았다.
잘 알려진 대로, 장준환 감독은 <미저리>(1990)를 반복해 보면서 우주적 상상력(?)을 동원한 납치극을 탄생시켰다. 부조리한 세상에 강렬하게 맞서는 고독한 SF였다. 여전히 ‘이태리타월’만 보면 병구(신하균)를 떠올릴 정도로 중독성이 강하다.4 추격자 (2008) l 감독 나홍진
<추격자>는 영악한 괴작이다. 연쇄살인마 영민(하정우)이 살인하는 과정은 말 그대로 관객의 머리를 강타했다. 그럼에도 많은 여성 관객은 하정우의 연기에서 섹시함을 느꼈다.
<추격자>는 논리의 빈약에도 불구하고 김윤석이 하정우를 추격하는 과정을 통해 약점을 상쇄했고, 심지어 묘한 쾌감과 흥분을 불러일으켰다.
< 해외 >
6 새벽의 저주 (2004) l 감독 잭 스나이더
DC 코믹스의 <저스티스 리그>를 이끌고 있는 수장 잭 스나이더의 데뷔작은 좀비물이다. 제임스 캐머런의 데뷔작이 <피라나 2>(1981)인 것처럼 스나이더도 살육을 선택했다.
조지 로메로의 고전 좀비 영화를 시대 흐름에 맞게 재구성한 이 영화는 <28일 후>(2002)와 함께 새로운 좀비 열풍을 이끌었다. <월드워 Z>(2013)가 가공할 좀비 군중 신으로 압도한 이후에는 고전이 된 느낌이다.7 키스 키스 뱅 뱅 (2005) l 감독 셰인 블랙
할리우드의 잘나가는 시나리오 작가 셰인 블랙의 데뷔작이다. <리썰 웨폰>(1997)이 그의 손에서 나왔다. 사랑과 총을 연상시키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1940년대 할리우드 필름 누아르를 재해석했다.
필립 말로를 탄생시킨 하드보일드 작가 레이먼드 챈들러에게 보내는 헌사로도 볼 수 있다. 최근작 <나이스 가이즈>에서도 셰인 블랙의 재능은 여전히 빛난다. 버디 무비 만드는 능력은 지구 최고다.
8 브릭 (2005) l 감독 라이언 존슨
2017년 개봉 예정인 <스타워즈> 에피소드 8편을 맡은 라이언 존슨의 데뷔작은 떡잎부터 남달랐다. <브릭>은 여자친구가 죽자 범인을 찾기 위해 사건을 추적해가는 브렌든(조셉 고든 레빗)의 이야기다.
<멍하고 혼돈스러운>(1993) 같은 하이틴물의 외형을 지녔지만, 그 안에는 짙은 어둠의 세계가 존재한다. 느슨한 구조로 고전 누아르를 변주했다. ‘조 토끼’의 리즈 시절을 원한다면 필수다.9 미션 임파서블 3 (2006) l 감독 J.J. 에이브럼스
오우삼 감독의 2편으로 잠시 주춤했던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를 새롭게 살려낸 것은 전적으로 J.J. 에이브럼스의 힘이었다.
미드 <앨리어스>와 <로스트> 시리즈로 ‘떡밥의 제왕’으로 군림한 에이브럼스는 영화 데뷔작으로 능력을 입증했다. 치밀한 두뇌 싸움과 액션을 조화시켜 스릴을 극대화했고, 불멸의 악당 캐릭터 오웬(필립 시모어 호프먼)의 존재감까지 모든 것을 갖춘 수작이었다.
Must See
카페 소사이어티
감독 우디 앨런 | 출연 제시 아이젠버그, 크리스틴 스튜어트 | 개봉 9월 14일
우디 앨런의 신작이다. 제시 아이젠버그는 다시 우디 앨런의 부름에 응했다. 크리스틴 스튜어트도 합류했다. 배경은 1930년대 할리우드다. 현재 할리우드 젊은이를 1930년대 할리우드로 데려갔다. 설정이 빚어낸 화학 작용이 궁금해진다.밀정
감독 김지운 | 출연 송강호, 공유 | 개봉 9월 7일
<암살>에서 촉발된 의혈단 이야기가 <밀정>에서 다시 등장한다. 대신 프레임을 좁힌다. 조선인 출신 일본 경찰과 의혈단 리더의 심리 게임이 주다. 서로 정체를 알면서도 모르는 척 상대하는 와중에 생기는 긴장감이 영화의 완성도를 좌우한다.
다음 침공은 어디?
감독 마이클 무어 | 출연 마이클 무어 | 개봉 9월 8일
마이클 무어가 움직였다. 이번에는 미국 사회 전반을 비판한다. 단지 다른 나라의 장점을 카메라에 담을 뿐이다. 그것만으로도 충분하다. 누군가에겐 천국으로 보일지 모르겠지만, 단지 다른 나라일 뿐이다. 지구촌이란 말이 익숙해 더 비판적이다.벤허
감독 티무르 베크맘베토브 | 출연 잭 휴스턴, 모건 프리먼 | 개봉 9월
영화 퀴즈에 종종 나오는 ‘전차 경주’의 그 <벤허>다. 할리우드가 잘하는 리메이크작이다. 감각적인 비주얼로 액션 영화 찍어온 티무르 베크맘베토브 감독이 중책을 맡았다. <원티드> 같은 액션은 볼 수 없을 거다. 시대가 바뀌어도 원작 무게가 여전히 무겁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