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책은 공간을 나눈다. 직사각형 안에 가로로 세 칸을 나누고, 그 각각의 칸을 세로로 또 쪼갠다. 깍두기처럼. 기본적으로는 그렇다. 만화가는 이렇게 나뉜 칸 속에 이른바 ‘세계’를 집어넣는다. (미술가가 미술관에 작품을 전시하는 것처럼!) 칸들을 합쳐 더 큰 공간을 만들기도 하고, 때로는 더 작게 분할하기도 한다. 만화가는 그저 스토리를 짜고, 그림을 그리는 게 아니라 이처럼 공간을 생성한다. 그래서 만화는 이 세계가 어떻게 재조합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독자는 그저 만화를 보지만, 만화가는 독자의 눈이 어떻게 이동하는지 예측하고 세계를 배치한다. 만화가는 사각형 종이 안에서만은 신이다.
공간이 세밀해지면 그림이 세밀해진다. 독자는 만화책을 넘길 때 스토리의 흐름만을 궁금해하는 게 아니다. 그림체를 본다. 특정한 상황을 어떻게 표현하는가, 그것이 얼마나 사실적이거나 적절한가를 순전히 그림체만으로도 평가한다. 웹툰이 등장한 이후 만화의 판도는 바뀌었다. 직사각형을 분할하고 조합하는 방식의 만화는 독자의 관심 밖으로 밀려났다. 그러나 여전히 <열혈강호>와 <원피스>가 출간된다. 최근엔 <원펀맨>이라는 강력하게 매력적인 만화도 등장했다.
<열혈강호>와 <원피스>는 인터넷을 통해서도 볼 수 있다. 하지만 만화책 그대로다. 눈을 좌우, 상하로 움직여야 하고, 페이지를 넘겨야 한다. <원펀맨>은 일본에서 인터넷에 연재되던 만화였다. 작화가 무라타 유스케가 그림을 다시 그리고 공간을 배치해 단행본으로 출간했다. 무라타 유스케는 그림을 ‘읽는다’는 개념을 새삼 일깨운다. 이런 굉장한 인물이 동시대에 활동하고 있어서 다행이다. 그림의 세부가 점점 사라지는 시대니까. 손가락 하나로 후다닥 넘기는 행위가 곧 만화를 보는 행위가 돼버렸으니까.
그래서 지금 이 시대에 사각형 틀과 싸우는 만화가를 조명해야 한다고 적으면 억지스러운가? 여전히 그들에게서 그림 그리는 행위의 숭고함을 느낀다고 적는 것은 더 억지스럽겠지? 공간과 스토리와 그림이 어떻게 관계 맺는지를 유심히 보는 것이 곧 만화를 보는 것이라고 적으면 도무지 말이 안 되는 소리일까?
네이버, 카카오페이지, 리디북스, T스토어, 코미코, 네이트, 예스24, 알라딘, 짱만화 등에서 아직 ‘사각형’ 만화를 연재한다. 음반처럼 순위도 나온다. 순위표 상위는 로맨스 만화 일색이지만. 요즘 <용병 마루한>과 <레인독스>를 보고 있다. <용병 마루한>은 액션 무협 만화다. 프랑스에서 굉장한 인기를 끌고 있다.
<천추>로 유명한 김성재가 글을 쓰고 마찬가지로 <천추>를 그린 김병진이 그림을 그렸다. 그림과 구성과 내용이 모두 뛰어나서 의아했다. 이 정도 만화가 한국에서는 왜 더 인기를 끌지 못할까? 만화를 구매한 연령대를 보면 30대가 50%로 압도적이다. 그다음은 40대가 24%다. 경제력의 차이라고 봐야 할까? 10대와 20대는 웹툰 세대고, 무료에 익숙한 세대다.
<레인독스>는 미스터리 로맨스다. 구미호가 주인공인데, 남자다. 미남이다. 구매 독자의 70%가 여자다. 볼 만하다. 구미호의 날씬한 몸매를 드러내야 할 땐 직사각형 틀의 1/3을 세로로 밀어내버린다. 그런데 내가 궁금한 건 30%의 남자들이다. 그러나 몇 장을 넘기다 보면 곧 계속 페이지를 넘기고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일단 야해… 묘하게 야해. 사각형 틀 속으로 들어가는 게 특별한 일이 돼버렸다. 그런데 한 번 들어가면 역시, 만화는 재미있다. 이제 만화 본다고 엄마가 혼내지도 않는다. 우리 모두 이제 다 괜찮다.
READ & SEE
이달, 보거나 읽을 멋진 것들.
<일요일과 나쁜 날씨>
장석주 | 민음사
시든 산문이든 장석주의 글을 읽지 않았다면 기쁨의 순간을 스스로 포기한 것이다. 장석주는 굉장히 잘 쓴다. 대개는 지식이 넘쳐서 문장이 고루해지거나, 감정에 도취되어 사물과의 간격이 허물어지는데, 장석주는 그저 벼린다. 쓰고 읽고 되풀이 쓰고 읽으면서 지식과 사유와 감정을 단단히 섞는다. 새 시집 <일요일과 나쁜 날씨>는 겸손한 노인과 절제하는 청년이 한 편의 시를 함께 쓴 것처럼 읽힌다. 아, 사람이 많이 배우고도 여전히 예술가일 수 있구나, 감탄하며 며칠 읽었다.<행복한 책읽기>
김현 | 문학과지성사
문학과지성사가 창사 40주년을 맞았다. 기념하는 책을 여러 권 발행했고, 작고한 평론가 김현의 <행복한 책읽기>를 복간했다. <행복한 책읽기>는 김현의 유고다. 1985년 12월 30일부터 1989년 12월 12일까지 쓴 독서 일기다. 김현은 엄청 읽고 엄청 쓴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사는 것과 읽고 쓰는 것을 동일한 것으로 본 듯하다. 이 책은 2015년 12월까지 31쇄를 찍었다. 새 책은 디자인을 정병규가 했다. 정병규는 오랜 시간 디자인을 통해 자신의 삶을 증명해왔다. 표지의 커다란 글자 ‘책’은 김현과 독자를 잇는 초월의 길처럼 보인다.
<아홉 개의 빛, 아홉 개의 감성>
폴 콕세지 외 8명의 작가들 | 디뮤지엄
‘라이트 아트’, 즉 빛의 전시다. 아홉 명의 작가가 참여했다. 내부에 아홉 개의 방을 만들고, 각 작가들의 작품을 설치했다. 한국에서 라이트 아트 작품을 대규모로 전시한 건 처음이다. 직접 가서 봐야 한다. 빛은 사진으로 찍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각 방이 어떤 방식으로 연결되는지, 동선을 따라 빛이 어떻게 흐르는지 경험하는 것까지가 이 전시를 보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