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던 키친
박찬용, HB 프레스
자기 책을 자기 지면에 올리다니 뻔뻔한 것 아닌가.
동감한다. 그런데 편집장이 “저자 셀프 인터뷰 나름 재미있지 않겠냐, 해봐라”라고 했다. 그 말씀도 일리가 있을 뿐 아니라 저자 입장에서 어떻게든 책을 알릴 필요가 있다. 지금 나는 <전국노래자랑>이나 <나는 솔로>라도 나갈 판이다.
왜 제목이 ‘모던 키친’인가. 부엌 이야기만 담은 것도 아닌데.
방문한 곳을 분류하면 공장, 농장, 식당 부엌, 프랜차이즈 교육 센터로 나눌 수 있다. 처음에는 담백하게 ‘농장 공장 주방’을 제목 삼으려 했다가 더 포괄적인 제목을 짓자는 의견이 나왔다. 그 과정에서 ‘주방’을 생각했다. 결국 어딘가에서 식품이 만들어지는 곳이었기 때문이다. ‘오늘날 한국의 주방 역할을 하는 곳’이라는 생각에 ‘모던 코리안 키친’을 주장했는데 편집자와 회의한 끝에 ‘모던 키친’으로 정했다. 요즘 세상엔 검색 결과가 중요한데 막상 검색창에 ‘모던 키친’을 치면 수원 행궁동 맛집 모던 키친만 나온다. 네이버 검색 한 번만 해볼걸.
책의 쓸모는 무엇인가?
오늘날 우리가 즐겨 먹는 음식들이 어떤 방법으로 만들어지는지 볼 수 있다는 게 이 책의 쓸모라고 생각한다. 햇반이나 라면 등은 안 먹어본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한 음식이지만, 막상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거나 그 광경을 본 사람은 별로 없다. 겨울 딸기도 유명하지만 ‘어떻게 겨울에 딸기가 나오는지’에 대해 생각해보기도 쉽지 않다. 이런 요소를 현장에서 보고 온 시각으로 전하는 게 이 책의 쓸모가 될 거라 여겼다. 현장을 다녀와 기록한 게 이 책의 본질이다.
어떤 부분을 신경 썼는가?
키워드는 정보와 아름다움이다. 취재와 조사에 충실하려 한 건 기본이고, 책으로 만들기 전 별도의 팩트 체크를 다시 거쳤다. 만들어진 것을 아름답고 보기 쉽게 구현하는 것도 중요했다. 그래서 사진은 이 책의 핵심 콘텐츠다. 사진에 캡션을 더해 사진 자체의 아름다움뿐 아니라 정보 밀도와 가독성도 높이고자 했다. 그래서 이 책의 모든 사진에는 캡션이 있다.
숏폼 시대에 책을 내는 건 무모한 일 아닐까?
일반론적으로는 무모하지 않고 개인적으로는 무모하다고 본다. 완성도와 쓸모와 아름다움을 갖춘 책이라면 분명히 어떻게든 좋은 독자께 닿을 거라 생각한다. 그러나 좋은 책을 만들기도 쉽지 않은 일이고, 그 좋은 책이 독자께 닿는 건 더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저자 입장에서 최대한 많은 독자께 닿으려 한다. 북토크가 몇 개 예정되어 있고, 다른 제안도 늘 열려 있다. 굿즈도 이것저것 해보려 한다. 일단 10개 한정판 가방을 출시했다.
그래도 뻔뻔하긴 하다.
내 생각도 그렇다. 그런데 2022년에 출판된 신간 발행 종수가 6만1천1백81종이다(만화 포함, 대한출판문화협회 통계 기준). 수만 권의 신간 중 매체를 통해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책은 극소수다. 이 책은 대형 출판 마케팅을 기대할 수 없는 소형 출판사에서 나왔고 나 역시 대형 저자가 아니다. 즉 <아레나> 출연은 거부할 수 없는 제안이었다. <아레나> 신간 소개의 원칙은 ‘다른 곳에서 쉽게 볼 수 없는 책’이다. 요약하자면 뻔뻔하되 불가피했고, 이 지면의 기준과는 부합했다.
-
언가디드
스카티 피펜, 마이클 에커시, 브레인스토어
스카티 피펜 자서전 한국어판이 나온 이유는 넷플릭스 <더 라스트 댄스>의 나비효과다. 이 책의 첫 장면부터가 <더 라스트 댄스>를 보고 화가 나서 피펜이 조던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장면이다. 즉 이 책의 내용은 크게 두 가지다. 조던 혼자 농구했던 게 아니라는 점. 그리고 자신의 이야기. 책 내용도 내용이지만 미국 사회의 층위를 이루는 요소가 상세히 적혀 있어 다층적으로 보는 재미가 있다. 보통 이런 책은 미국 시장에는 많으나 한국 시장에는 잘 나오지 않는데, 이 역시 넷플릭스 덕분일 것이다. 넷플릭스가 한국 논픽션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
중동일기
리처드 마이너츠하겐, 모그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일어나는 지금 읽으면 섬뜩한 책. 저자 리처드 마이너츠하겐은 영국의 유명한 군인, 스파이, 곤충학자다. 그는 생전 열렬한 시온주의자로 유대인이 자신들의 나라를 만드는 걸 지지했다. 그 결과 1917년 유대인이 팔레스타인에 자신만의 나라를 만드는 걸 승인하는 밸푸어 선언이 발표된다. 지금까지 이어지는 역사를 만든 사람의 수기인 셈이다. 오늘날의 역사가 1백 년 전 누군가의 설계라 생각하면 묘한 기분이 든다. 리처드 마이너츠하겐 자체도 문제적인 인물이라 적당히 걸러 읽어야 하나 옛날 사람들 특유의 적나라한 선언과 묘사를 읽는 재미가 있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