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저탄소 건축의 지금

친환경과 재활용은 동시대 최고의 화두가 아닐까. 건축 또한 마찬가지. 세계 각지의 괄목할 만한 저탄소 건축물을 통해 건축의 현재를 들여다본다.

UpdatedOn February 10, 2022

3 / 10

 

The Largest Wooden Building, Iceland

라지스트 우든 빌딩(이하 우든 빌딩) 은 아이슬란드의 수도 레이캬비크에 올해 완공될 저탄소 건물이다. 이 건물의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는 파리의 건축 및 도시 설계 스튜디오 ‘제이콥 + 맥팔레인 (Jakob + MacFarlane)이 9,000㎡ 달하는 큰 부지에 오랫동안 방치된 건물을 발견하면서 시작됐다. 우든 빌딩은 조립식 모듈 목재 구조가 특징으로, 에어컨 없이도 실내 온도 조절이 가능하며, 태양 천막을 이용해 전기는 물론 난방에도 활용할 수 있다. 또 빗물을 회수해 뜨거운 열로부터 건물을 보호할 수 있다. 이 모든 건 제이콥 + 맥팔레인의 진두지휘 아래 38개에 달하는 글로벌 기업과 협업해 이룬 성과다. 건물은 원형으로 지어질 예정이며, 주거를 위한 공간부터, 사무실, 어린이집, 가게 등 어떤 공간으로든 활용 가능하다. 제이콥 + 맥팔레인은 우든 빌딩을 통해 오염을 줄이고, 아이슬란드의 멋진 자연경관을 보존하는 데 일조하고 싶다고 했다.
PHOTOGRAPHY Jakob + MacFarlane

3 / 10

 

Glyndebourne Croquet Pavilion, England

영국 이스트서식스주 글라인드번에 위치한 크로케 파빌리온(이하 파빌리온) 은 작년 9월 문을 연 오페라가 열리는 공연장이다. 저탄소 건축 설계답게 재료를 수입하는 게 아닌 현지 재료로 충당했으며, 공사 현장에서 나온 쓰레기, 분필, 굴 껍질과 같은 부산물을 벽돌과 함께 외벽 공사 재료로 썼다. 이 모든 과정은 건축 스튜디오 베이커브라운의 낭비가 적은 자재를 사용하는 설계 정신이 투영된 결과이다. 또 친환경을 위한 연구와 동시대 건축의 문제를 현명한 방식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이들만의 방식이기도 하다. 파빌리온은 설계와 시공뿐만 아니라 디지털 방식으로 건물 내부의 저탄소 상태를 유지한다. 이 건축물은 최초로 석유화학 제품을 사용하지 않아 매립이나 소각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퇴비가 되는 순환 구조까지 갖췄다.
PHOTOGRAPHY BakerBrown

3 / 10

 

The Arc, Indonesia

아크는 12년 전 완공된 인도네시아의 그린 스쿨 캠퍼스 중, 최근에 리노베이션한 건물이다. 건물을 짓기 위해 오직 대나무만을 사용했고, 각각의 대나무를 반대 방향으로 구부려 교차한 뒤, 그 탄성을 활용해 연결했다. 그야말로 친환경적인 건물. 아크를 설계한 이부쿠 스튜디오(Ibuku Studio)는 천연 자재를 활용해 혁신적인 디자인을 모색하는 디자이너와 건축가로 구성됐고, 인도네시아만의 전통과 현대성을 동시대 담는 것을 목표로 했다. 또한 4년간 가장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대나무를 수급했으며, 발리 장인의 전통 기술과 현대의 디자인에 아이디어를 결합해 동시대적으로 친환경적인 건물을 완성했다.
PHOTOGRAPHY Ibuku

3 / 10

 

Kendeda Building, USA

켄데다 빌딩은 조지아 공과대학의 첫 번째 목조 건물이며, 디자인적으로는 미국의 전통 주거 양식에서 영감을 받았다. 시공에는 질량이 낮은 목재를 적극 활용해 콘크리트나 강철에 비해 상당히 적은 탄소를 발생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환경을 위해 주변 영화 촬영장에서 버려진 목재나 건축 공사장에서 나온 폐자재 등 지역에서 수급한 재료를 활용하기도 했다. 그 외 빗물을 정화해 건물 내 식수대, 싱크대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준비했고, 지역 기후를 고려해 폭풍우에도 끄떡없는 내구성까지 갖췄다. 또한 설계와 시공 현장에 지역 노숙자를 고용해 그들이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저탄소 건축물로서는 물론 지역 경제에도 의미 있는 족적을 남긴 셈이다.
PHOTOGRAPHY Miller Hull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CONTRIBUTING EDITOR 양보연

2022년 02월호

MOST POPULAR

  • 1
    콤팩트한 데일리 시계 추천
  • 2
    호시의 호시절
  • 3
    누구나 마음에 품은 문장 하나씩은 있잖아요
  • 4
    Welcome BACK
  • 5
    그 시절 내가 사랑한 안경남

RELATED STORIES

  • LIFE

    중고 노트북으로 쓴 소설

    이상문학상이 중요한 이유는 간단하다. 오늘날 한국어로 쓰인 소설 중 가장 탁월한 작품을 알 수 있으니까. 그 권위와 위상은 수상 목록만 보아도 확인할 수 있다. 1977년 김승옥을 시작으로 은희경, 김훈, 한강, 김영하, 김애란 모두 이상문학상을 탔다. 2025 이상문학상은 예소연과 <그 개의 혁명>에게로 돌아갔다. 우리 시대에 가장 뛰어난 소설은 어떻게 쓰였을까. 봄볕이 내리쬐는 어느 오후, 소설가 예소연을 만나고 왔다.

  • LIFE

    시계에서도 ‘에루샤’가 통할까?

    에르메스, 루이 비통, 샤넬의 시계는 살 만할까? 3명의 필자가 논하는 패션 하우스의 워치메이킹에 대한 편견 없고 다소 진지한 이야기.

  • LIFE

    봄, 봄, 봄!

    봄 제철 식재(食材)를 활용한 한식 다이닝바 5

  • LIFE

    호텔보다 아늑한 럭셔리 글램핑 스폿 5

    캠핑의 낭만은 그대로, 불편함은 최소화하고 싶다면.

  • LIFE

    그 시절 내가 사랑한 안경남

    안경 하나 바꿨을 뿐인데!

MORE FROM ARENA

  • REPORTS

    여행을 부탁해

    LA로 떠나는 피트니스 투어부터 알래스카 트레킹까지. 취향과 개성에 맞는 여행을 원하지만, 시간과 정보력, 전문성이 부족한 여행자들을 돕는 여행 큐레이팅 서비스 플랫폼이 등장했다.

  • REPORTS

    Made in the City

    여름 여행을 위한 목록으로 준비했다. 5개 도시의 작고 강한 로컬 브랜드가 만든 가장 도시적인 물건들.

  • FASHION

    가을을 닮은 브루넬로 쿠치넬리

    적막한 가을을 닮은 브루넬로 쿠치넬리를 갖춰 입고 새로운 계절을 맞는다.

  • CAR

    시승 논객

    기아 4세대 카니발에 대한 두 기자의 상반된 의견.

  • REPORTS

    Cha Cha

    나현, 은진, 민희가 춤을 춘다. 손끝이 날렵하게 서고 허리가 동그랗게 말린다. 우리는 몸과 시간이 만든 직선과 곡선을 이야기했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