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FASHION MORE+

GORPCORE WAVE

스멀스멀 태동하던 고프코어 트렌드가 팬데믹을 기점으로 고점에 도달했다. 특히 MZ세대에는 ‘힙’한 문화로 통하는 바. 지금의 고프코어 문화의 흐름을 짚어봤다.

UpdatedOn November 01, 2021

3 / 10

 

  • A COLD WALLA COLD WALL
  • COTTWEILERCOTTWEILER
  • SAUL NASHSAUL NASH
  • GR10KGR10K
  • Y/PROJECTY/PROJECT
  • KIKO KOSTADINOVKIKO KOSTADINOV

아웃도어적 라이프스타일

고프코어란 단어는 주로 아웃도어 활동에서 자주 먹는 견과류에서 따온 고프와 핵심을 뜻하는 코어의 합성어인데, 2017년 <THE CUT> 매거진에서 처음 사용한 것을 원류로 삼는다. <THE CUT>에선 고프코어를 ‘아웃도어 스타일을 길거리로 가져온 것’이라 정의했다.

현재의 MZ세대가 열광하는 고프코어 스타일이 정착하기 전, 견인차 역할을 한 건 혁명가 뎀나 그바살리아. 그는 베트멍부터 이어지던 아웃도어적인 요소와 캐주얼한 무드를 발렌시아가에서도 선보이며 아웃도어와 일상복의 장점을 융화시켰다. 도톰한 패딩 점퍼와 아노락, 윈드브레이커 등 아웃도어 의상에 데님 팬츠와 어글리 스니커즈를 믹스매치해 패션 신을 선도했다. 후에 키코 코스타디노브, 사무엘 로스, 코트 와일러 등 급진적인 디자이너들이 기능성 재킷과 팬츠를 일상복과 섞거나 도시에서도 입을 법한 과하지 않은 실루엣을 만들어내며 고프코어 스타일을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이렇듯 한동안 들불처럼 일어났던 고프코어 문화는 최근 팬데믹으로 인해 전례 없는 호황기를 맞더니, 이제는 하나의 주류 문화로 자리 잡았다. 모임이 금지되고 별다른 여가활동을 할 수 없는 상황 속, 자연은 사람들의 놀이터가 됐다. 이에 따라 아웃도어 브랜드의 매출이 증가하고, 등산과 캠핑에 관심 없던 세대조차 아버지가 입을 법한 등산복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그들은 앞서 언급한 디자이너들이 선보인 고프코어 스타일을 기반으로 아웃도어 브랜드의 기능성 재킷과 등산화를 일상에서도 어색하지 않게 착용한다. 지금 이 시간에도 여러 패션 커뮤니티에서는 살로몬, 노스페이스, 아크테릭스 같은 아웃도어 브랜드들의 입문용 제품을 추천하는 글이 올라오며, 고프코어 스타일 착장을 손쉽게 찾을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비단 우리나라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팬데믹을 맞아 다양한 국가에서 사람이 없는 자연으로 발길을 돌리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아웃도어 트렌드가 주류 생활 양상이 되어가는 중이다. 향후 아웃도어 활동은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도시와 자연을 이어주고 패션성과 실용성, 일석이조를 갖춘 브랜드들은 MZ세대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아 소비될 것이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김성지
COOPERATION 쇼비트

2021년 11월호

MOST POPULAR

  • 1
    남자의 품격
  • 2
    Holdall, Keepall
  • 3
    그때 와인 한 잔
  • 4
    출사표
  • 5
    BUYING GUIDE

RELATED STORIES

  • FASHION

    손목을 반짝이게 하는 것들

    손목 위 은은하게 반짝이며 찰랑이는 실버 브레이슬릿이 빛을 발할 때.

  • FASHION

    Wet Days

    흠뻑 젖은 채로 맞이하는 새로운 계절의 하루.

  • FASHION

    Spring Fatigue

    한없이 늘어지고 싶은 꿈같은 어느 봄날.

  • FASHION

    BONDED LIVES

    이 부부가 사는 법.

  • FASHION

    Bloom&Petal

    꽃잎처럼 섬세하고, 꽃처럼 대담하게 빛나는 주얼리.

MORE FROM ARENA

  • LIFE

    전시 미리보기

    지금 서울에서 벌어지는 흥미로운 전시 4개의 기획자가 말 대신 글로 도슨트를 열었다.

  • DESIGN

    Wood Works

    나무로부터 자라난 네 개의 물건.

  • INTERVIEW

    한국적인 비주얼

    트렌드를 이끌어가는 전 세계 젠지와 밀레니얼에게 케이팝은 어떤 의미일까. 새로움의 대명사일까. 케이팝이라는 글로벌 현상은 어떻게 유지되고, 어떤 미래를 맞이하게 될까. 케이팝 산업을 이끌어가는 엔터테인먼트 대표, 작곡가, 비주얼 디렉터, 안무가, 보컬 트레이너, 홍보팀장을 만났다. 그들에게 케이팝의 현재와 미래, 팬들이 원하는 것을 물었다. 케이팝 산업을 통해 2020년대의 트렌드를 살펴본다

  • LIFE

    스타트업 - COGNIABLE TECH

    환경, 빈곤, 질병 등 인류를 위협하는 문제들을 기술로 해결한다. 채팅 앱으로 아프리카의 허기를 채우려는 농업테크, 전기차 시대에 경제적으로 소외된 이들에게 기회를 주는 모빌리티 기업, 착한 박테리아로 식품 유통기한을 늘리는 푸드테크, 저소득층 아이들의 발달장애 치료를 위한 에듀테크, 중력을 사용한 신개념 청정 에너지까지. 인류애를 품은 스타트업을 소개한다.

  • FASHION

    AUTUMN SIGNAL

    선선한 가을에 더 자세히 보고 싶은 소재, 트위드와 스웨이드, 코듀로이와 왁스 코튼.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