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CAR MORE+

This Month Issue

감정적 시승

UpdatedOn December 01, 2020

/upload/arena/article/202011/thumb/46668-435423-sample.jpg

고요함을 넘어

링컨의 대형 SUV 올-뉴 에비에이터는 고요한 비행을 표방하지만, 기대보다 역동적이고 재밌다. 무엇보다 비행기 조종하는 듯한 기분도 슬쩍 느껴진다. 비행기 조종석에 올라탄 듯 운전자를 감싸는 실내 공간 때문이기도 하지만, 최첨단 주행 통합 지원 시스템인 코-파일럿 360 플러스와 에어 글라이드 서스펜션 등의 첨단 기술 덕분이기도 하다. 구동 방식은 후륜 기반의 사륜구동이다. 거대한 차체는 부드럽게 움직이지만 주행 모드를 익사이트로 바꾸면 사뭇 날렵해진다. 그 변화가 드라마틱하다. 로드 프리뷰 기능이 포함된 어댑티브 서스펜션은 전방 도로를 미리 감지하고 서스펜션을 조절해 안락한 주행감을 선사한다.

/upload/arena/article/202011/thumb/46668-435424-sample.jpg

각 그랜저를 타고

그랜저 1세대를 타고 고양시 시내를 돌아다녔다. 1991년식 그랜저의 푸근한 직물 시트 뒷좌석에 몸을 기대니 괜히 울컥했다. 30년의 세월을 점프해 갑자기 어른이 된 것만 같았고, 잘 살고 있는데도 눈가가 붉어졌다. 현대 모터스튜디오 고양에서는 헤리티지 차량 상설 시승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헤리티지 드라이브’인데 포니2 세단, 포니2 픽업, 1세대 그랜저, 스쿠프, 갤로퍼 5대 차량의 택시 드라이빙 체험이다. 그런데 현대자동차의 전통은 우리 삶과 너무 밀접했나 보다. 신기해하는 이들도 있지만 대부분 마음이 울컥한다. 이 아름다운 시승 프로그램은 고양 공식 홈페이지 내 테마 시승 예약 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조진혁

2020년 12월호

MOST POPULAR

  • 1
    Shirts Boys
  • 2
    출사표
  • 3
    THE BOYS OF MAY
  • 4
    CAMP WITH ME
  • 5
    MU:DS Meets Jewels

RELATED STORIES

  • CAR

    출사표

    최근 몇 개월, 신차가 쏟아졌다. 신차야 매년 등장하지만 이번에는 좀 색다르다. 부분 변경도, 세대 변경도 아니다. 전에 없던 진짜 신차가 줄을 이었다. 데뷔전을 앞둔 신인인 만큼 포부를 가늠해봤다.

  • CAR

    굿우드의 유령들

    롤스로이스 한 대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근사한 모험담이 만들어지는 과정이다. 새로운 전기차 ‘블랙 배지 스펙터’는 롤스로이스 기술의 결정체이자, 이들의 가장 흥미로운 이야기다. 그 비하인드 스토리를 듣기 위해 영국과 스페인으로 향했다.

  • CAR

    합리적으로 폴스타 2 손에 넣는 법

    폴스타에 관심 있는 사람이란 솔깃할 소식.

  • CAR

    이토록 멋진 퍼레이드

    12칠린드리 스파이더의 시동을 거는 순간, 주위에 사람들이 몰린다. 페라리가 기획한 퍼레이드에 동참하는 기분이다. 그냥 운전하는 것뿐인데. 그런 점에서 12칠린드리 스파이더는 퍼레이드에 제격이다. 원래 퍼레이드는 지붕 없이 오가니까.

  • CAR

    Colorful Design

    색으로 보나 디자인으로 보나 다채로운 자동차 넉 대.

MORE FROM ARENA

  • ARTICLE

    Shoe Box

    이 계절만 손꼽아 기다려온 것처럼 한껏 골라 담은 제철 신발들.

  • ISSUE

    티쏘 X 이동욱

  • LIFE

    당신을 위한 만년필 3

  • INTERVIEW

    남규홍, "저는 예능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지만 어찌 보면 정교한 다큐인 거죠."

    남규홍 PD의 <아레나> 12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 LIFE

    BOTTOM TO THE STAR

    BTS의 빌보드 장기 집권 소식은 이제 놀랍지도 않다. 오히려 당연한 사실로 느껴질 뿐이다. 하지만 팝 본고장인 미국 시장에서, 그것도 63년간 탄탄하게 이어져온 빌보드 차트의 시스템을 허문 아시안 케이팝 스타 BTS의 퍼포먼스를 의심하는 축도 존재한다. 인기의 본질을 단순히 팬덤의 든든한 지원만으로 한정하기도 하며, 오히려 미국 시장에서 타 팝스타에 비해 활동이 제한적이라는 사실은 간과한다. 하지만 결과보다는 과정에, 바닥부터 별의 자리로 오르기까지 요구된 긴 시간과 노력에 집중한다면, BTS의 성공이 얼마나 정당한 것인지 비로소 알게 될 것이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