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일상 속 비일상

완전히 새로운, 지금까지는 없던, 오직 단 하나의…. 그런 것이 있을까? 하는 회의가 들 때, 늘 있어왔던 것을 달리 보이게 하는 것이 예술가의 업이다. 친숙한 것과 낯선 것을 뒤섞어 일상에 틈입시키는 세 작가의 작품을 소개한다.

UpdatedOn October 30, 2020

3 / 10
/upload/arena/article/202010/thumb/46420-432302-sample.jpg

Resonance, 2020, 620x810x170(h)cm_11.

Resonance, 2020, 620x810x170(h)cm_11.

3 / 10
/upload/arena/article/202010/thumb/46420-432303-sample.jpg

Gossura, Tacit Truth, 2020, 18x6x10.5(h)cm each.

Gossura, Tacit Truth, 2020, 18x6x10.5(h)cm each.

1 밤과 낮

익숙한 장소에 기묘하게 틈입하기. 구정아 작가의 인광(燐光) 스케이트 파크 조각 ‘resonace’는 2012년 프랑스 바시비에르섬에서 첫선을 보인 이래로 그의 대표작으로 자리 잡은 설치 연작이다. 이번 구정아 작가의 개인전 <2O2O>에서는 두 개의 크고 작은 요람 형태로 디자인되어 PKM갤러리 별관 정원에 설치된다. 작품인 동시에 스케이트보더들에게 개방되는 시설물이기도 한 이 작품은 순수 미술과 서브컬처의 만남이자, 예술과 실용의 공존이다. 본관에 전시되는 인광 회화 ‘Seven Stars’ 시리즈와 인광 조각 ‘Gossura, Tacit Truth’는 조명의 켜고 꺼짐이 반복되는 갤러리 본관 공간에 설치되어, 밝음과 어둠 사이 두 가지 양상으로 존재한다. 조명의 빛을 어둠에 방사하는 이 단순한 오브제는 제한된 공간을 넘어 더 먼 곳으로 관객을 데려간다. 갤러리는 구정아 작가의 작품들을 빛의 유무에 따라 다르게 감상할 수 있도록 갤러리 개방 시간을 정오부터 일몰 이후인 저녁 9시까지로 연장했다. 11월 28일까지.
PKM갤러리 02-734-9467

3 / 10
/upload/arena/article/202010/thumb/46420-432304-sample.jpg

소리 나는 가물(家物), 2020, 사진 명이식,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소리 나는 가물(家物), 2020, 사진 명이식,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2 낯선 사물

양혜규는 일상과 관습 위에 기묘한 표상을 씌워 낯선 존재로 탈바꿈시킨다. ‘소리 나는 가물(家物)’은 일상적 가물인 다리미, 마우스, 헤어 드라이어, 냄비의 형상에 방울과 짚을 엮어 매달고, 복제해 맞붙이거나 교차한 혼종 가물을 만들어냈다. 손잡이와 바퀴를 지닌 이것은 밀면 방울 소리가 난다. 방울을 금속 링으로 엮어, 층고 높은 전시장 천장까지 길게 드리운 ‘소리 나는 동아줄’은 바닥에서 한 번 울리면 서로 시차를 두고 공명하며 먼 곳의 천둥 같은 소리를 낸다. 인공 짚을 엮어 만든 조각 연작 ‘중간 유형’은 천장에 매달린 채 땅에도 하늘에도 속하지 못한 이무기처럼 전시장을 부유한다. 구렁이도, 발을 달고 걸어 다니는 소쿠리도, 방패도 있다. 인간과 동물, 무생물 사이 기묘한 피조물이 어슬렁거리며 배회하는 이 전시는 양혜규 개인전 <MMCA 현대차 시리즈 2020: 양혜규—O2 & H2O>의 일부이다. ‘소리 나는 가물(家物)’을 비롯해 인공지능 음성 작업으로 진짜란 무엇인지 질문을 던지는 ‘진정성 있는 복제’ 등 양혜규 작가의 작품 40여 점을 선보인다. 물리적 실재와 추상화된 기호 사이의 미끄러짐을 포착하듯, 산소와 물의 화학 기호를 전시 제목으로 삼았다. 2021년 2월 28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02-3701-9500

/upload/arena/article/202010/thumb/46420-432305-sample.jpg

Philippe Parreno, Speech Bubbles(Fuchsia), 2015, Fuchsia Mylar balloons, helium, 68x109x29 cm each, Courtesy the Artist and Esther Schipper, Berlin, photo © Roman Maz.

3 말풍선

필립 파레노는 오브제보다 프로젝트가 중요하다고 믿는다. 그는 장소에 특화된 설치미술이 어떻게 주변 환경을 바꾸는지 고안하고, 비언어적 스토리텔링을 고민한다. ‘Speech Bubbles’는 헬륨 말풍선들이 갤러리 천장을 가득 채우며 거대한 만화 같은 풍경을 만든다. 그것들은 구름처럼 한데 모이기도, 부유하기도 하며 공간에 소리 없는 이야기들을 메운다. 팬데믹으로 어디에도 모이지 못하게 된 인간들 대신 와글와글 수다를 쏟듯이. 갤러리 바톤에서 필립 파레노를 비롯한 리암 갈릭, 레베카 워렌, 마커스 암, 앤 콜리어, 토브아스 레베르거, 현대 미술 작가 6인의 전시<A Little After The Millennium>을 진행 중이다. 21세기를 맞으며 희망찬 꿈에 부풀었던 인류는 정확히 20년 뒤, 팬데믹으로 인해 인류의 생활 방식과 모든 패러다임이 바뀌는 국면을 맞았다. 이에 작가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이 시대 미술의 존재 이유가 무엇인지 묻는다. 10월 20일부터 11월 20일까지.
갤러리 바톤 02-597-5701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이예지

2020년 11월호

MOST POPULAR

  • 1
    THE BOYS OF MAY
  • 2
    MORE SHORTS
  • 3
    페스티벌의 계절
  • 4
    MU:DS Meets Jewels
  • 5
    봄·봄·봄

RELATED STORIES

  • LIFE

    없는 게 없는 포차

    다음 주 약속은 여기에서?

  • LIFE

    하나를 고른다면 이것! 그들의 최애 술 5

    막걸리부터, 와인, 샴페인까지.

  • LIFE

    그때 와인 한 잔

    와인 애호가들은 봄에 어떤 와인을 떠올릴까? 그림 같은 풍경에서 즐긴 와인, 이탈리아 소도시에서 미식과 곁들인 와인, 일본 한 와인 바에서 맛본 새로운 와인. 이 계절 어떤 순간 마신, 잊지 못할 와인과 이야기에 대해 들었다.

  • LIFE

    피트의 모든것

    라프로익 10년은 누구나 좋아할 위스키는 아니다. 하지만 누구든 그 매력을 알면 빠질 수밖에 없다. 피트 자체를 선명하게 한 모금으로 구현한 위스키. 피티드 위스키라는 영역에서 라프로익 10년이 서 있는 위치다.

  • LIFE

    진짜 K-팝은 발라드다

    K-팝 가수들이 코첼라 무대에 오르고 그래미에서 상을 탄다. ‘두 유 노 BTS?’는 ‘아임 프롬 코리아’를 대신하는 인사말이 됐다. 하지만 마음속 깊은 곳에서 생각한다. 가장 ‘K스러운’ ‘팝’은 발라드라고. 한국인의 얼과 혼이 담긴 그 장르. 발라드에 기대어 위안을 얻던 시절로 돌아가 그 매력과 진가를 살폈다.

MORE FROM ARENA

  • LIFE

    섹스가 제철

    섹스에도 성수기가 있을까. 계절과 섹스를 굳이 연관 지어야 하나 싶지만, 그게 섹스 칼럼의 역할이다. 저마다의 ‘섹스 제철’ 이야기를 듣다 보니 어느새 고개가 끄덕여졌다.

  • FASHION

    Refresh I

    계절이 바뀌며 벌어지는 일상의 작은 개편, 일단 가벼운 아우터부터 시작.

  • FILM

    4가지 기술

  • FASHION

    태크호이어의 뉴까레라

    태그호이어의 1백60년을 관통하는 클래식과 현대의 조우.

  • LIFE

    혼자라도 괜찮아

    생각 정리가 필요할 때, 작업에 몰두해야 할 때, 혼자 오롯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1인 숙소 5곳.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