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도대체 밈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모두가 밈에 대해 말한다. 밈 없이는 이제 공중파 뉴스도 심심할 정도다. 주류미디어에 편입하려 하지만 단명할 수 밖에 없는 밈에 대하여.

UpdatedOn August 10, 2020

3 / 10
/upload/arena/article/202008/thumb/45722-423275-sample.jpg

 

밈은 언제 탄생하는가? 한 인물이 공식적인 플랫폼에서 정색을 하고 무언가를 진지하게 행하였으나, 그 이면에 어처구니 없이 웃긴 구석이 있을 때. 그 갭은 바로 가공하기 쉬운 떡밥이 된다. 가수 비가 더 이상 진지할 수 없는 얼굴로 무대에 올라 ”They call it! 왕의 귀환”이라 엄중히 선언할 때, ‘펀쿨섹좌’ 고이즈미 신지로 의원이 공식석상에서 소년만화 주인공 같은 표정을 지으며 “하겠습니다. 그것이 약속이니까”라고 말한 것이 좋은 예시가 될 것이다.

밈은 그러니까 아주 직관적인 웃음 코드는 아니다. ‘깡’의 영상 댓글에 이 노래의 놀릴 거리에 대한 천하제일 드립 대회와 1일1깡 하는 패러디 영상들이 속출하지 않았더라면? 그래도 비는 지금의 ‘비룡’이 될 수 있었을까? 그러므로 밈은 ‘이건 알아듣는 사람들끼리만 낄낄댈 수 있다’는 일종의 소속감을 제공하는 소재이자, ‘이것도 웃기지만 이걸 이렇게 패러디하는 나도 웃기다’는 자의식을 만족시키는 행위이다.

참여와 공유, 2차 창작으로서 끊임없이 변주되고 변형되며 비로소 ‘웃기다’는 맥락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유행이 될 때쯤이면 이미 원작 혹은 원래 상황에서 이 대사가 어떤 것이었는지는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 맥락은 없다. 그냥 그것 자체로 웃긴 것이 되었기 때문이다.

3 / 10
/upload/arena/article/202008/thumb/45722-423276-sample.jpg

 

인터넷에 손쉽게 재가공할 수 있는 ‘밈’이 넘쳐난 건 하루 이틀이 아니다. 최초에 필수 합성 요소가 있었다. 한국이 대 인터넷 시대를 맞이한 근 이십 여 년 전, 디씨 갤러리가 만들어지고 ‘엽기’니 ‘즐’이니 하는 용어가 유행하던 시절, 인터넷 유저들은 자기들만의 리그에서 공중파 콘텐츠를 물고 뜯고 씹고 즐기며 필수 합성 요소들을 가지고 놀았다.

드라마 <야인시대>에서 “사딸라”, ”내가 고자라니”, <태조 왕건>에서 “누가 기침 소리를 내었어” 같은 대사를 쪼개 어떤 맥락이든 갖다 붙여 2차 창작을 시작했고, 빠삐코 CM송과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영화 OST를 섞어 ‘빠삐놈’ 같은 밈을 만들어 즐기기도 했다.

인터넷 서브컬처에 푹 빠진 ‘오타쿠’들의 유희 거리였던 이 필수 합성 요소들은 질기고 창창한 명맥을 이어나가 ‘드립’, ‘짤방’, ‘밈’으로 점점 더 세를 불렸다. <야인시대>의 “사딸라”와 <타자>의 “묻고 더블로 가”는 최근 광고에서 되살아나기도 했다.

3 / 10
/upload/arena/article/202008/thumb/45722-423277-sample.jpg

 

이 시대에 밈이 더 왕성해진 까닭은 뭘까? 주류 플랫폼이 분산되고, 공중파라는 말이 무색해지며, 잰 체하는 모든 기성의 것이 낡게 느껴지는 시대에, 대중문화가 서브 컬쳐였던 인터넷 문화로부터 역으로 유행을 수혈 받는 건 어쩌면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스브스뉴스’의 <문명특급> 같은 빼어난 콘텐츠도 단단히 한 몫을 했다. B급 정서와 케이팝 문화를 정확하게 겨냥한 <문명특급>은 ‘숨어 듣는 명곡’ 시리즈로 비를 살려냈다. 반면 <놀면 뭐하니> 같은 기성 매체는 ‘깡’ 밈으로 주목 받은 비를 데려와 매우 익숙한 기성 연예인인 유재석과 이효리와 함께 늘 하던 방식대로 이 유행에 손쉽게 탑승했다. 이 시대에서 유행을 만드는 게 어떤 채널이고, 따르는 게 어떤 채널인지 민망스러울 정도로 보이는 순간이었다.

그리고 모두가 아는 바와 같이, 주류미디어에 편입되는 순간 밈의 생명은 거기서 끝이다. 우리끼리 알던 걸 공중파 뉴스에서도 말하는 순간, 흥미가 싹 가시는 그 심리. 여기에 어떤 자본의 의도가 개입하는 순간? 잔치는 끝난다.

3 / 10
/upload/arena/article/202008/thumb/45722-423278-sample.jpg

 

그러니까, 촌스러운 걸 촌스럽다 놀렸을 뿐이다. ‘놀리는 행위’가 재미있는 거지 놀림 당한 대상이 새삼 대단해진 게 아니라는 거다. 밈에 대한 열광을 뜯어보면, 그것은 대상에 대한 애정이 아니라 ‘놀리는 행위’, ‘패러디’, ‘2차 창작’의 적극적인 향유에 대한 애정이다. 고승덕 의원의 “정말 미안하다!”와 김무성의 ‘노룩패스’가 훌륭해서 웃긴 건 아니다.

더 이상 패러디 할 재미가 없어진 밈은 폐기된다. 그 수명과 주기는 점점 더 짧아지고 있다. 틱톡이며 인스타그램이며 트위터며 온갖 SNS로 이어진 세계는 쉴 새 없이 웃길 거리를 쏟아내고, 눈 밝은 기획자들은 밈이 될 만한 콘텐츠들을 ‘디깅’해 들이민다. <문명특급>은 ‘숨듣명’ 시리즈에 이어 ‘백쪼의 호수’라는 콘텐츠로 케이팝 속 ‘쪼’라는 새로운 놀이거리를 대중에게 던질 준비 중이다. ‘쪼’는 또 어떤 연예인들을 재조명시킬까? ‘숨듣명’처럼 ‘쪼’ 역시 웃긴데 멋있는, 웃김의 대상은 의연할 수밖에 없는, 그 아슬아슬한 맥락을 기가 막히게 파악하고 있다.

이런 것이다. “너도 알지, 그거 있잖아, 웃긴데 너 이런 거 좋아하잖아.” 댓글 놀이와 패러디 영상, 주류 미디어 진출과 폐기. 라이프 사이클이 짧아진다 해도 큰 의미는 없다. 더 많은 밈이 빠르게 쏟아질 것이기 때문이다. 요점은 이제 정말 미디어의 주류와 비주류가 뒤바뀔 때가 되었다는 것. 밈을 ‘디깅’하는 쪽과 ‘팔로우’하는 쪽, 어느 쪽이 앞서 있는지는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이예지
PHOTOGRAPHY JTBC, 유튜브 <아이템의 인벤토리>, 스브스뉴스 <문명특급>

디지털 매거진

MOST POPULAR

  • 1
    Fresh Spirits
  • 2
    그때 와인 한 잔
  • 3
    봄기운이 만연한 이부자리
  • 4
    없는 게 없는 포차
  • 5
    <아레나> 6월호 커버를 장식한 스트레이 키즈 현진

RELATED STORIES

  • LIFE

    하나를 고른다면 이것! 그들의 최애 술 5

    막걸리부터, 와인, 샴페인까지.

  • LIFE

    그때 와인 한 잔

    와인 애호가들은 봄에 어떤 와인을 떠올릴까? 그림 같은 풍경에서 즐긴 와인, 이탈리아 소도시에서 미식과 곁들인 와인, 일본 한 와인 바에서 맛본 새로운 와인. 이 계절 어떤 순간 마신, 잊지 못할 와인과 이야기에 대해 들었다.

  • LIFE

    피트의 모든것

    라프로익 10년은 누구나 좋아할 위스키는 아니다. 하지만 누구든 그 매력을 알면 빠질 수밖에 없다. 피트 자체를 선명하게 한 모금으로 구현한 위스키. 피티드 위스키라는 영역에서 라프로익 10년이 서 있는 위치다.

  • LIFE

    진짜 K-팝은 발라드다

    K-팝 가수들이 코첼라 무대에 오르고 그래미에서 상을 탄다. ‘두 유 노 BTS?’는 ‘아임 프롬 코리아’를 대신하는 인사말이 됐다. 하지만 마음속 깊은 곳에서 생각한다. 가장 ‘K스러운’ ‘팝’은 발라드라고. 한국인의 얼과 혼이 담긴 그 장르. 발라드에 기대어 위안을 얻던 시절로 돌아가 그 매력과 진가를 살폈다.

  • LIFE

    페스티벌의 계절

    5월의 '낭만' 충전을 책임질 5곳.

MORE FROM ARENA

  • INTERVIEW

    보이콜드라는 음악

    보이콜드는 빈티지와 트렌드 사이에서 그리고 아티스트라는 우주 안에서 음악을 만든다.

  • FASHION

    HIDDEN POINT

    다각도로 마주한 테크-웨어의 남다른 디테일들.

  • FASHION

    여행이 끝난 후에

    숙소로 돌아온 여행의 밤, 온종일 모아둔 기념품을 백팩에서 쏟아냈다.

  • FASHION

    BORN BLACK

    모든 빛을 머금자 더 선명하게 윤곽을 드러낸 맹렬한 블랙.

  • INTERVIEW

    씨스타19 보라&효린, “어떻게 해야 우리를 잘 보여드리고 들려드릴 수 있을까, 덜 아쉬울까, 이런 마음이 굉장히 커요”

    11년 만에 돌아오는 씨스타19의 1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