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Artist & Designer

다츠

가구 디자이너가 만든 카페의 가구는 특별할까? 건축가가 사는 집은 화려할까? 최근 문을 연 디자이너들의 카페와 건축가의 집을 다녀왔다. 조각가 부부는 정과 망치를 내려놓고 커피를 만든다. 젊은 공간 디자이너는 자신의 작품 세계에 영향을 준 어린 시절 본 이미지를 공간으로 재현했고, 동네 친구 넷이 의기투합해 커피 마시는 행위로 채워지는 열린 공간을 만들었다. 디자이너들의 공간에는 그들의 세계관이 농밀하게 담겨 있었다.

UpdatedOn August 09, 2019

이세현 디자이너는 공존을 시도한다.

3 / 10
/upload/arena/article/201908/thumb/42506-380236-sample.jpg

 

따뜻하고 온화한 나무와 차갑지만 부드러운 대리석의 조화, 간결하지만 세세한 터치. 디자인 스튜디오 디플랏이 만든 공간의 첫인상이다. 모든 게인위적이지 않고 자연스러웠으며 편안했다. 공간을 설계하는 이세현 디자이너는 그만의 느낌을 다양한 공간에 살리기 위해 노력한다.

“공간을 만들 때 디플랏만의 사상이나 철학이 들어가면 안 된다고 생각해요. 공간의 목적을 살리는 게 가장 중요한 지향점이에요.단순히 디자인이나 그래픽적인 요소에서 그치는 게 아니라 운영 방식이나 제품을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들을 공부하는 거죠.” 이세현 디자이너가 운영하는 디플랏의 디자인 철학이다.

한남동에는 디플랏의 손길이 닿은 프로젝트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 다츠도 그중 하나다. 한국에서 카페와 레스토랑은 기능과 역할이 명확히 구분된다. 레스토랑에 커피를 마시러 가는 경우는 드물고 마찬가지로 식사를 하기 위해 카페를 찾는 경우도 흔치 않다. 카페는 후식이고, 레스토랑은 식사다. 카페와 레스토랑은 한 공간에 공존하기 힘들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세현 디자이너는 이런 편견을 깼다.

녹사평 한쪽에 위치했던 카페 보통은 어느 날 갑자기 사라졌고 레스토랑 제이콥과 손을 잡아 다츠로 다시 태어났다. 둘의 공존이 신선했다. “기획 의도는 다츠라는 단독 개체로서 의미를 가지고 자생력이 있으면 좋겠다는 거였어요.카페와 레스토랑의 조화를 위해 바와 키친의 위치, 동선과 같은 요소들에 중점을 두었죠. 그리고 레스토랑에서 커피가 나오는 건 당연하게 생각하지만 카페에서 음식이 나오는 건 익숙하지 않잖아요. 그 점을 익숙하게 만들기 위해서 저희는 좋은 음식과 좋은 커피를 함께 제공한다는 전제로 시작했어요.”

다츠는 4개의 점을 의미한다. 첫 번째 점은 카페 보통, 두 번째 점은 레스토랑 제이콥, 세 번째 점은 디플랏이다. 네 번째 점은 뭘까? 바로 3개의 점이 모여 만들어낸 또 하나의 새로운 공간인 다츠를 의미한다. 내부 공간에는 점 4개가 구 형태로서 다양하게 존재한다. 테이블 위 공중에 매달린 베르판의 VP 글로브 조명, 매장 내 한가운데 위치한 동그란 소파, 바에 올린 전구 모양의 스탠드 (전구에 4개의 새까만 점이 박혀 있다), 천장의 에어컨까지 모든 게 다 완벽한 구 형태다.

문득 이곳 정체성을 구 형태로 잡은 이유가 궁금해졌다. “원이 물성, 가치, 형태적으로 완벽하다고 생각했어요. 그 원들이 모였을 때 더 큰 원이 될 수도 있고 하나의 교집합을 만들어서 다른 색을 낼 수도 있죠. 그래서 점들이 모였을 때 우리가 기대하지 못한 분위기를 낼 수 있도록 다츠라고 이름 짓고 그에 따라 정체성을 확립했어요.”

이세현 디자이너는 요소 하나하나에 상징성을 부여했다. 조명, 가구, 제품 뭐하나 빠짐없이 아주 사소한 부분들까지도. 정체성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공간인 다츠가 사람들에게 바라는 점이 뭔지 궁금해졌다. “다츠가 일상적인 공간이 되기를 바랐어요. 아침에 오면 커피 한잔 마시고 브런치는 커피와 함께 먹고 저녁때는 저녁 식사를 즐기고.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좋은 음식과 좋은 음료가 좋은 서비스로 제공되는 곳이길 원했죠. 지나가다 우연히 마주쳐 잠깐 쉬었다 가는 공간이 되도록.” 이세현 디자이너가 담담히 말했다.

시리즈 기사

크리에이터의 공간 시리즈 기사

 

빌라레코드

33아파트먼트

문봉 조각실

조병수 건축가의 'ㅁ'자 집

하태석 건축가의 아임하우스

박진택 건축가의 피, 땀, 눈물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GUEST EDITOR 정소진
PHOTOGRAPHY 김선익

2019년 08월호

MOST POPULAR

  • 1
    Match Point
  • 2
    쓸고 닦고 광내고
  • 3
    Shirts Boys
  • 4
    BUYING GUIDE
  • 5
    MU:DS Meets Jewels

RELATED STORIES

  • LIFE

    없는 게 없는 포차

    다음 주 약속은 여기에서?

  • LIFE

    하나를 고른다면 이것! 그들의 최애 술 5

    막걸리부터, 와인, 샴페인까지.

  • LIFE

    그때 와인 한 잔

    와인 애호가들은 봄에 어떤 와인을 떠올릴까? 그림 같은 풍경에서 즐긴 와인, 이탈리아 소도시에서 미식과 곁들인 와인, 일본 한 와인 바에서 맛본 새로운 와인. 이 계절 어떤 순간 마신, 잊지 못할 와인과 이야기에 대해 들었다.

  • LIFE

    피트의 모든것

    라프로익 10년은 누구나 좋아할 위스키는 아니다. 하지만 누구든 그 매력을 알면 빠질 수밖에 없다. 피트 자체를 선명하게 한 모금으로 구현한 위스키. 피티드 위스키라는 영역에서 라프로익 10년이 서 있는 위치다.

  • LIFE

    진짜 K-팝은 발라드다

    K-팝 가수들이 코첼라 무대에 오르고 그래미에서 상을 탄다. ‘두 유 노 BTS?’는 ‘아임 프롬 코리아’를 대신하는 인사말이 됐다. 하지만 마음속 깊은 곳에서 생각한다. 가장 ‘K스러운’ ‘팝’은 발라드라고. 한국인의 얼과 혼이 담긴 그 장르. 발라드에 기대어 위안을 얻던 시절로 돌아가 그 매력과 진가를 살폈다.

MORE FROM ARENA

  • FILM

    헬스장에서 마쵸맨(추성훈 아조씨)을 마주치면 이런 느낌일까

  • FASHION

    Beginning Of The Journey

    퍼렐 윌리엄스와 루이 비통이 함께 기록한 첫 번째 여정의 시작.

  • FASHION

    THE PREPSTER

    스포티와 프레피, 그 어디쯤에서.

  • FASHION

    주목할 얼굴들

    패션성은 물론, 앞으로의 활약이 더욱 기대되는 각 분야의 얼굴.

  • ARTICLE

    Mr. BROWN

    갈색으로 그려낸 가을날의 초상.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