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CAR MORE+

돈으로 살 수 있는 테크닉

독일 뉘르부르크링 서킷에서 가장 빨리 달린 양산차 순위에서 람보르기니 우라칸 퍼포만테(Lamborghini Huracan Performante)가 첫 번째에 올라섰다. 이 차는 터보도, 전기 모터도 없이 공기를 빨아들이고 휘발유를 태워서 힘을 내는 전형적인 스포츠카다.

UpdatedOn October 30, 2017

3 / 10
/upload/arena/article/201710/thumb/36345-263382-sample.jpg

 

 

 

  • 람보르기니 우라칸 퍼포만테
    엔진 V10 자연흡기 가솔린 / 배기량 5,204cc / 중량 1,382kg / 구동방식 풀타임 4륜구동 / 변속기 자동(DCT) 7단 / 최대출력 640hp / 최대토크 61.2kg·m / 최고속도 325km/h / 0-100 km/h 2.9초

 

매일 보아도 낯선

‘람보르기니’라고 소리 내 발음하는 것만으로도 다른 세상 이야기 같다. 서울 강남에서 생활하는 사람이라면 굉음을 내며 질주하는 람보르기니의 모습이 더 이상 낯설지 않은데도 그렇다. 그런데 람보르기니의 모습은 이 차가 생산되는 이탈리아 볼로냐의 산트 아가타 볼로녜제 마을에서도 낯설기는 마찬가지다. 평생 모아도 살 수 없을 만큼 비싸고 흔하지 않아서 남의 이야기처럼 느껴지는 게 아니라 람보르기니 그 자체가 ‘낯섦’을 위해 존재하는 차량이기 때문이다. 어쩌면 이 차의 오너들도 아침에 차고에 들어설 때마다 ‘헉’ 소리를 내며 넓적한 차의 모양새에 위화감을 느낄지도 모르겠다. 20년 전의 람보르기니도, 30년 전의 람보르기니도 여전히 볼 때마다 낯설고 멋지다는 걸 감안하면, 이 아름다움은 인간이 보고 배워야 하는 것 아닌가 싶을 정도다.

매일매일 낯설게 느껴지는 차를 직접 구입해 탈 수 있다면 좋겠지만, 안타깝게도 내가 이 차를 이번 생에 차고에 넣을 수 있는 가능성은 높지 않다.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 정도라면 주변에 타는 사람이 제법 많고, 벤틀리도 가망이 없어 보이지는 않는다. 문이 네 개 달린 차라면 ‘나중에’ 일이 잘 풀리거나 하면 살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문이 위로 열리는 데다 바닥에 납작하게 붙어서 12기통의 굉음을 울리는 람보르기니는 아무리 몽상가라고 해도 자신이 직접 운전하는 모습을 그리기 쉽지 않다.

자동차 용품을 팔아 큰돈을 번 지인은 몇 년 전 람보르기니 무르시엘라고를 구입했다. 그는 평소 스마트를 타고 다녔는데, 차로 사람을 평가하는 사람들이 지긋지긋해서 끝까지 가버렸다고 했다. 그러나 기대와 달리 그의 람보르기니 생활은 화려하지만은 않았다. 과속방지턱이 있거나 턱이 있는 주차장에는 갈 수 없었다. 발레파킹 맡기기 쉽지 않았고, 청바지 입은 사람을 태울 수도 없었다. 리벳 장식이 있는 옷을 입은 사람은 근처에도 못 오게 해야 했다. 가만히 서 있어도 감가상각이 상당하니, 상처가 날 가능성은 최대한 배제해야 했다. 그렇다고 인간관계가 나빠지지는 않았다. 사람들은 기꺼이 그의 주의 사항을 경청했고, 납득했다. 속옷 차림으로 타야 한다고 했다면 아마도 그리 했을 것이다. 그가 람보르기니를 되판 지 꽤 됐지만, 사람들은 그를 무시하지 않는다. 프리우스로 슁 하고 맥 빠진 소리를 내며 지나가도 사람들은 그가 람보르기니 무르시엘라고에서 내리던 모습을 떠올린다.

3 / 10
/upload/arena/article/201710/thumb/36345-263386-sample.jpg

 

 

실력으로 증명하기

나는 람보르기니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멋지다는 데는 동감하지만, 꿈의 영역을 벗어나버린 느낌이라 더 현실적인 스포츠카를 꿈꾸기 바빴다. 자동차 저널리스트라는 직업을 가진 후에도 람보르기니에는 유독 엄격했다. 당연히 빨라야지, 그 가격인데. 당연히 빨라야지, 그런 모습을 하고 있다면. 레이스에서 활약한 헤리티지가 없고, 미하엘 슈마허나 니키 라우다 같은 영웅도 없으니 어디에 어떻게 존경을 표하면 좋을지 알 수가 없었던 거다.

그런데 얼마 전, 그 유명한 뉘르부르크링의 노르트슐라이페 코스에서 람보르기니의 우라칸 퍼포만테가 양산차 신기록을 냈다. 람보르기니는 서킷 기록 세우기를 즐기는 브랜드가 아닌 데다 최근 포르쉐의 하이브리드 슈퍼카가 세운 기록이 ‘넘사벽’으로 여겨지고 있었기 때문에 전 세계가 놀랐다. 동영상을 빠르게 돌려 조작한 거라는 소문도 있었는데, 곧 공식 기록으로 인정받으면서 모두 납득하게 되었다.

스즈카에서 우라칸 퍼포만테 시승 행사가 열린다는 소식을 듣고 참석하기로 결정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차’를 타볼 기회가 왔는데 놓칠 수 없었다기보다는 ‘얼마나 대단한지 한 번 보자’는 심정이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차’라는 타이틀이 붙은 차 중 상당수는 실제로 몰아보면 대체 이런 게 어떻게 기록을 세운 거지? 하는 것들이 많다. 그만큼 최고속도 영역은 일반적인 주행 상황과 달라서 대개 비전문가가 운전하면 전혀 공감할 수 없다. 스티어링이 무겁거나 너무 예민해서 덜컹거리는 수준이 아니라, 도저히 운전할 수 없는 정도인 차들도 많다. 아니면 성적에 올인하느라 감성적인 면을 완전히 배제해서 운전이 너무 지루해진 경우도 있었다. 람보르기니 우라칸도 마찬가지일 가능성이 컸다. 전기 모터 시대에, 터보도 아니고 자연흡기 V형 10기통 엔진으로 세계 최고속도를? 아마도 레이서 수준에 맞춰서 만들어놓고는 “우리가 세계에서 제일 빠른 거 알지? 이 차 타고서 남보다 느리면 네 책임이라고” 하며 거들먹거리는 차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돈 많은 아저씨들이 이 차를 타고 서킷에 나타나 주차장에 세워놓고는 “사고 나면 골치 아프니까 우리는 그냥 슬슬 달려” 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차.

시승회가 열린 스즈카 서킷은 F1이 열리는 국제 규격이어서 속도를 내기에 안성맞춤이지만, 그날은 폭우가 내렸다. 비 때문에 제대로 달려보지도 못하고 시승기를 써야 하는 건가. 게다가 스즈카 서킷은 일본인 특유의 꽉 막힌 분위기 때문에 헬멧도 반드시 착용해야 하고 반바지나 반소매 옷으로는 피트 안에 들어갈 수도 없다. 그런데 우리를 선도하는 이탈리아인 인스트럭터들은 출발하자마자 풀 스로틀로 달리기 시작했다. 물보라를 튀기면서 달리는데, 이건 뭐 상식적인 속도가 아니었다. 코너에서 빙그르르 돌기라도 하면 어쩌나 걱정하며 브레이크를 밟자 걱정이 사라졌다. 빗물 따위는 상관없다는 듯 타이어가 노면을 움켜쥐었고, 그 움켜쥔 감각이 서스펜션을 타고 들어와 시트를 통해 척추로 전해졌다. 스티어링 휠을 쥔 손과 앞바퀴 사이에는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핸들링이 명쾌하고 날렵했다. 비가 오면 속도를 줄여야 한다는 상식이 람보르기니 우라칸 퍼포만테에는 통하지 않았다. 밟으면 밟는 대로 속도가 올라갔고, 생각한 라인을 폭우 속에서도 그릴 수 있었다. 마른 노면이었다면 어떻게 달릴지 상상도 안 될 정도로 완전한 100% 페이스. 이상하게도 무섭지 않아서 평소라면 가지 않았을 영역까지 가버리고 말았다. 브레이크를 밟으면 ‘수막 현상이 뭐죠?’ 하는 것처럼 속도가 줄어든다. 람보르기니도 람보르기니지만, 피렐리 타이어 개발 담당자가 악마에게 영혼이라도 판 걸까 싶을 정도다.

V10 엔진의 배기음은 시종일관 아름다운데, 터보가 익숙해진 시대에 만난 자연흡기 고회전 사운드를 듣고 있노라면 눈물이 흐를 지경이다. 더욱 무서운 것은 이 차에 익숙해지면, 그리고 코스를 완벽하게 익히면, 그리고 빗물이 앞 유리창을 때려서 앞이 보이지 않는 상황만 아니라면 더 빨리 달릴 수 있겠다는 확신이 생긴다는 점이다. 이 시승기는 이 차를 사려는 사람보다는 서킷에서 이름깨나 날린다는 사람들이 읽어야 한다. 이 차가 이름뿐인 부자들의 장난감이라고 여기지 마라. 이 차에 타고 있는 사람은 눈 부릅뜨지 않고도, 블루투스로 여자친구와 통화하면서 아무렇지도 않게 당신을 추월할 수 있다.

나는 앞으로 다시는 람보르기니를 무시하지 않겠다고 결심했다. 이렇다 할 모터스포츠 헤리티지도 없이 슈퍼카의 양대 산맥이 된 건 역시 실력 때문이었다. 적어도 우라칸 퍼포만테가 등장한 시점부터는 절대 무시할 수가 없다. 게다가 전기 모터도 터보차저도 없이 공기만 빨아들여서 달성하는 세계 최고속도라니. 이 친구들 낭만을 알지 않는가. 다음 세대 람보르기니는 아마도 시대의 흐름을 따라 다른 방식의 엔진을 채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이 차는 역사에 남을, 인류가 낭만과 속도를 같은 영역에 두고 있던 시대에 관한 증거다. 부동산보다 확실한 투자처일지도 모른다는 말이다.

그러나 산다면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 S

3 / 10
/upload/arena/article/201710/thumb/36345-263389-sample.jpg

 

 

우라칸 퍼포만테가 너무 인상적이다 보니 동시에 등장한 아벤타도르 S가 별 것 아닌 것으로 보일 수 있겠다. 그러나 아벤타도르 S야말로 12기통 엔진을 장착한 ‘정통 람보르기니’다. 타보면 그 사실을 분명히 알 수 있는데, 서킷에서 우라칸 퍼포만테를 따라가기는 쉽지 않지만 달리는 과정은 훨씬 즐겁다. 거대한 엔진에 불을 붙여 호쾌하게 달리는 그 감각. 매끈한 더블 클러치 트랜스미션 대신 싱글 클러치 트랜스미션을 고집하는 것도 남성미를 더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변속 충격조차 사랑스럽다. 테스토스테론을 연료로 달리는 자동차가 사라져가는 세상에 반드시 경험해봐야 할 슈퍼카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조진혁
WORDS, PHOTOGRAPHY 신동헌(자동차 칼럼니스트)

2017년 10월호

MOST POPULAR

  • 1
    WEEKDAYS
  • 2
    Welcome BACK
  • 3
    엘, "2.5세대 아이돌만의 텐션과 기세가 저희의 무기가 아닐까 싶어요."
  • 4
    차우민, "직업인으로서 충실한 배우가 되고 싶어요."
  • 5
    봄바람이 스쳐지나간 자리

RELATED STORIES

  • CAR

    Less, But Better

    볼보가 EX30을 선보였다. 기존에 없던 신모델이다. 형태는 소형 전기 SUV. 접근하기 편하고 쓰임새도 많다. 그러니까 EX30은 성장하는 볼보에 부스트를 달아줄 모델이란 뜻이다. EX30은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까.

  • CAR

    유용하거나 탐스럽거나

    작지만 알찬 자동차. 크고 화려한 자동차. 둘을 놓고 고른다면 답이 빤할까. 둘을 비교하면 그럴지도 모른다. 비교하지 않고 순서대로 타보면 또 다르다. 저마다 이유가 있고 역할이 나뉜다. 전기차 중에서 작고 알차거나 크고 화려한 두 차종을 연이어 타봤다.

  • CAR

    페라리의 세계

    페라리가 태국 방콕에서 열린 ‘우니베르소 페라리’에서 새로운 슈퍼카 F80을 선보였다. 창립 80주년을 기념하여 발매한 차량으로 1984 GTO와 라페라리 아페르타의 계보를 잇는다. 전 세계를 무대로 페라리의 헤리티지를 선보이는 전시에서 레이싱카의 영혼을 담은 로드카를 아시아 최초로 만나보았다.

  • CAR

    롤스로이스를 사는 이유

    고스트는 롤스로이스 오너가 직접 운전대를 잡게 만든 차다. 어떻게? 그 이유를 듣기 위해 지중해의 작은 도시로 향했다.

  • CAR

    올해의 자동차

    자동차 시장은 신차가 끌고 간다. 신차가 관심을 끌고, 그 관심은 다른 모델로 확장한다. 올 한 해에도 수많은 자동차가 출사표를 던졌다. 물론 그중에 기억에 남는 자동차는 한정적이다. 자동차 좋아하는 에디터 둘이 존재를 각인시킨 자동차를 꼽았다. 기준은 다른 모델보다 확연히 돋보이는 무언가다.

MORE FROM ARENA

  • REPORTS

    여기 나의 작은 책방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책을 읽고 싶어 한다. ‘베스트셀러’라는 장막을 거두면 아름다운 책들은 넘쳐 난다. 사회를 잠식한 담론들을 빠져나오면 우리 시대가 안고 있는 진짜 문제를 발견할 수 있다. 그것이 우리 자신을 찾는 과정이다. 사람들은 이 작은 책방에 간다. 막연하게라도 느끼는 것이다. 소중한 게 이 작은 책방 안에 있다는 것, 그 우주로 희망이 모여든다는 것. 세 개의 책방, 세 명의 지은이를 만났다.

  • INTERVIEW

    이문세입니다

    40년 동안 노래한 가수. 한 세대의 청소년을 책임졌던 DJ. 일세를 풍미한 TV 프로그램 진행자. 전국의 공연장을 울린 가수. 수많은 히트곡, 굴곡 없는 커리어, 한국 사람에게 남아 있을 목소리. 그 모두가 이문세다. 2023년의 어느 겨울 오후 이문세와 이야기를 나눴다.

  • ARTICLE

    방점

    올해가 가기 전에, 한껏 힘준 헤어스타일과 멀끔한 인상으로 변신시켜줄 그루밍 제품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 FASHION

    탁월함에 대한 경배

    예거 르쿨트르, 새로운 타임피스 리베르소 트리뷰트 크로노그래프와 배우 김우빈이 함께한 캠페인 공개

  • VIDEO

    2020 A-Awards #김은희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