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고 싶은 얘기 다 하는 채널 NO, 콘셉트가 명확해야 한다”
시작한 지 1년이 안 됐는데 구독자 5만이 넘었으니 빠르게 자리를 잡았네요.
결혼 전에 아나운서로 일했는데 채널을 운영한 경험이 있어요. 구독자 4만 5,000이었는데, 명확한 주제 없이 저의 경험을 다 쏟아내 얘기했어요. 저로서는 완전 실패한 경험이에요. 콘셉트가 모호해 어떤 건 300만 조회, 어떤 건 몇천 회도 안 나왔어요. 노력 대비 성장 폭이 크지 않으니 지치더라고요. 경험하고 보니 하고 싶은 얘기를 다 하면 안 되는 거였어요. 그러면 알고리즘도 엉망이 돼 어떤 사람이 보고 싶어 하는지, 누구한테 노출시켜야 하는지 알고리즘도 헷갈려요.
지금 하는 콘텐츠는 주부들의 일상적 관심사가 아닌 독특한 내용이죠?
무서운 이야기나 실제 사건을 정리해 전달하는데 이런 주제는 마니아층이 두껍게 형성돼 있어요. 저도 좋아해서 오래 봐왔거든요. 자신이 중심이 된 이야기는 소재의 한계가 오는데 이건 세상 속 이야기니까 소재가 무궁무진해요.
유튜브는 B급 감성으로 만들어야지 방송물처럼 만들면 독이 된다고 하잖아요.
완전 공감해요. 사람들은 휴대폰이 흔들리면서 찍은 영상을 오히려 생동감 있다고 좋아하더라고요. 그런데 주제에 따라 생각을 좀 달리해야 해요. 이전과 달리 보는 사람들의 눈높이가 높아졌거든요. 연예인들이 소속사랑 하는 유튜브도 많잖아요. 흔히 하는 말로 때깔이 고급져요. 거기에 익숙해진 사람도 많다 보니 제대로 하려면 영상도 고급화하고 정보도 신뢰성이 있어야 해요. 아니면 B급으로 가는 거예요. 일상을 가감 없이 보여주는 거죠. 자기 색깔이 확실해야 해요.
“구독자 수나 조회 수보다 시청 지속 시간이 수익에 제일 중요해요.클릭하고 금방 꺼버리면 오히려 알고리즘에 악영향을 주거든요.”
현재 유튜브 운영 수익을 물어도 될까요?
등락 폭이 큰데요, 협업이나 광고 같은 거 빼고 순수하게 유튜브만으로는 망했다 싶은 달은 2,000달러, 대박 났다 싶은 달은 6,000달러 넘을 때도 있어요. 저는 한 달이 지나 바로 수익이 나왔어요.
협찬이나 광고를 제외하고 유튜브 수익에 가장 결정적인 요소는 무엇인가요?
제 영상이 하나당 30분이 넘는데 시청 지속 시간이 엄청 길거든요. 그게 수익에는 완전 결정타예요. 클릭하고 금방 꺼버리면 오히려 알고리즘에 악영향을 주죠. ‘이건 클릭해도 재미없는 영상이구나!’ 그렇게 인식하면 더 노출이 안 되거든요. 부수적이지만 구독층도 중요해요. 지금 유튜브는 40~60대 여성을 구매력이 가장 높은 층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주요 구독층이 그 연령대 주부들이에요. 대상에 맞춰 자극적이지 않게 만들어요. ‘세상에 이런 막장 스토리가 있어? 이런 일이 있어?’ 딱 그 정도요.
유튜버가 되고 나서 좋은 점과 힘든 점은 뭔가요?
아무 때나 일할 수 있으니 좋은데요, 여행 가서도 노트북을 손에서 놓지 못한다는 게 단점이죠. 펑크 나면 아무도 책임져주지 않으니까요. 악플이나 댓글 스트레스는 전혀 없어요. 아나운서를 할 때 이미 훈련이 돼 있어 고민 안 하고 차단·삭제해요. 하지만 이런 두려움은 있어요. 저도 사람이니까 행동거지를 실수한다거나 누군가를 만나 컴플레인을 했는데 구독자일 수도 있잖아요. 매사 조심스럽죠. 그래서 저 말고 채널만 유명해지면 좋겠어요.(웃음)
주부들의 경우 아이도 키우면서 돈도 번다는 기대감을 갖게 되는데, 어떤가요?
아이 키우면서 하려면 엄마가 확실하게 집중할 수 있도록 반나절이라도 아이 돌보미를 고용하거나 친정어머니랑 같이 살거나 하지 않으면 불가능하죠. 자투리 시간을 이용해 한다면 지속적인 성장은 힘들다고 봅니다. 자신을 천재라 믿고 노력 없이 희망만 갖고 있다면 장담컨대 성공은 힘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