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한 울림을 자아내는 명대사와 함께 지친 우리 가슴에 치유의 에너지를 충전해주는 힐링 드라마가 탄생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는 정신건강의학과 근무를 처음 하게 된 간호사 ‘정다은’(박보영 분)이 정신병동 안에서 만나는 세상과 마음 시린 사람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로, 현재 넷플릭스 국내 시리즈 부문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선한 이미지의 박보영과 캐릭터의 높은 싱크로율은 작품의 몰입도를 끌어올렸다.
동명의 웹툰을 원작으로 하는 이 작품은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지금 우리 학교는>부터 영화 <완벽한 타인>, 드라마 <베토벤 바이러스> <다모> 등 매 작품 스토리의 힘을 극대화하는 이재규 감독과 드라마 <힙하게> <눈이 부시게> 등 유쾌하면서도 가슴을 울리는 이야기로 큰 사랑을 받아온 이남규 작가가 의기투합했다. 바쁘고 험난한 세상에서 마음의 그늘 하나씩을 가지고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꼭 필요한 작품으로 남길 바라며 두 히트작 메이커가 마음을 함께 모아 2023 버전 치유의 드라마가 탄생했다.
박보영을 비롯해 연우진, 장동윤, 이정은까지 이름만 들어도 선한 에너지 가득한 캐스팅도 압권이다. 현장 분위기 역시 큰소리 한 번 없는 힐링 그 자체라는 후문이다. 배우들은 이 작품에 대해 “마음을 토닥여줄 수 있는 작품”(박보영), “선입견보다는 색다른 시각을 가지고,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는 힐링 휴먼 드라마”(연우진), “현대인들에게 좋은 작품이 될 거라는 확신이 들었다”(이정은)고 출연 소회를 밝혔다.
박보영은 최근 여름 극장가 흥행을 견인한 재난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까지 꾸준히 필모그래피를 쌓아가고 있는 성실한 배우다. 자신만의 색깔로 밀도 있는 연기를 펼치는 그는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에서 3년 차 간호사의 능숙함은 물론 새로운 곳에서 좌절하고 극복하고 성장해나가는 다은의 인간적 면모를 세심하게 표현한다. 연출을 맡은 이재규 감독은 “에피소딕한 이야기라 본인이 메인 주인공일 때도 있지만 대사도 거의 없이 계속 서 있기만 해야 할 때도 많았다. 하지만 그 어떤 순간도 인상을 쓰거나 집중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그 훌륭한 태도에 반했고, 그 모습을 보고 정다은보다 한 수 더 위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누군가에게 분명히 위로와 공감을 줄 수 있는 작품이라 출연을 결심했다”는 박보영을 제작 보고회에서 만났다.
마음을 토닥여주는 무해한 캐릭터로 열연
“마음이 힘들 때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우리 작품이 그런 부분을 조금 더 쉽고 편안하게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힐링 드라마가 탄생했다. 이 작품을 선택한 이유는 뭔가?
대본을 보면서 누군가에게는 분명히 위로와 공감을 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결심하게 됐다. 마음이 힘들 때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우리 작품이 그런 부분을 좀 더 쉽고 편안하게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캐릭터를 소개해달라.
다은이는 내과에서 3년 동안 근무하다가 정신건강의학과로 옮기게 된다. 모든 환경이 낯설고, 어렵고, 서툴지만 환자들을 진심으로 대하고 씩씩하게 성장해나가는 인물이다. 특히 다은이의 모습이 나와 맞닿아 있는 부분들도 있어 다은의 성장을 너무나도 응원하는 마음이 생겼다.
캐릭터가 간호사인 만큼 연기하며 특별히 신경 쓴 점이 있다면?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의 도움을 받아 다른 배우들과 함께 며칠 동안 참관하며 간호사 선생님들에게 ‘이럴 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지’ 자세한 가이드라인을 받았다. 정신건강의학과는 차팅을 정말 많이 한다. 화면에 나오지 않아도 카메라에 살짝 비칠 때를 대비해 차팅 방법이나 지문에 나와 있지 않은 것들 등 하나부터 열까지 도움을 받지 않은 것이 없을 정도였다. 그 밖에 수액이나 IV(정맥 주사)를 놓는 연기를 해야 할 때도 있어 순서 등을 손에 익히려고 집에서도 연습을 많이 했다.
배우들과의 호흡은 어땠나?
장동윤 배우는 장난기도 많고 에너지가 넘친다. 매일 친구처럼 장난도 많이 걸어줘 제일 빨리 마음을 연 상대였던 것 같다. ‘유찬’ 그 자체였다. 연우진 배우는 극 중 캐릭터 ‘동고윤 선생님’보다 더 부드럽고, 자상하고, 배려를 많이 하는 편이었다. 현장에서도 역할에 맞게끔 서로를 대하며 캐릭터에 젖어갔다. 덕분에 집중할 수 있었고, 분위기도 너무 좋았다. 이정은 배우와는 같이 호흡하는 장면이 많았는데 ‘정말 큰 사람이다’라고 더 느꼈던 현장이었다. 간호사 역을 맡은 배우들과의 케미스트리도 좋았다. 정말 든든한 친구이자 지원군이자 동료였다.
실제로 작품 분위기만큼 화목했던 현장이었다는 후문이다. 오랜 시간 병동 생활을 함께한 동료들이기에 팀워크에 각별히 신경 썼던 이재규 감독은 “정다은은 자기보다 환자들이 편하고 좋은 것을 먼저 생각하는 간호사다. 박보영 역시 배려심이 많아 캐릭터와 현실을 넘나드는 싱크로율에 감동받았다”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또한 박보영은 “이정은 배우와 다시 호흡을 맞춰 정말 든든했다. 눈빛만 봐도 몰입이 잘돼 연기를 하는 것 자체가 행복했고 즐거웠다”고 말했다.
수많은 명작을 탄생시킨 이재규 감독과의 호흡은 어땠나?
배우를 많이 배려해준다. 대본에 나와 있더라도 현장에서 리허설하면서 편안한 방법으로 바꿀 수 있게 많이 열어주는 편이었다. 그리고 내가 놓치고 있는 부분도 잘 알고 계셔서 큰 도움이 됐다.
주연배우로서 이 작품의 매력 포인트는 뭐라고 생각하나?
지금 이 시대에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마음을 토닥여줄 수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정신질환이라고 하면 아직은 문턱이 좀 높지 않나. 혼자 이겨내려고 하기보다는 용기 내서 꼭 전문가에게 도움을 받으면 좋겠고, 아픈 건 본인 잘못이 아니라는 이야기를 꼭 하고 싶다.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를 보면 그런 마음을 느낄 수 있다고 자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