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이트 벽지와 헤링본 마루가 베이식하게 공간에 컬러풀한 가구와 아이템을 채워 넣어 생기를 더했다. 사랑스러운 핑크 컬러 냉장고 스매그, 라운드 디자인의 패브릭 소파 덴마크 리빙 브랜드 볼리아, 나비 모양으로 유명한 마리포사 체어 쿠에로, 화이트 라운드 소파 테이블 제작한 상품으로 우드스페이스.

화이트 벽지와 헤링본 마루가 베이식하게 공간에 컬러풀한 가구와 아이템을 채워 넣어 생기를 더했다. 사랑스러운 핑크 컬러 냉장고 스매그, 라운드 디자인의 패브릭 소파 덴마크 리빙 브랜드 볼리아, 나비 모양으로 유명한 마리포사 체어 쿠에로, 화이트 라운드 소파 테이블 제작한 상품으로 우드스페이스.
@only.house
화이트 컬러로 단정하게 정돈된 집, 식물과 우드 톤으로 채운 내추럴 무드가 요즘 공간의 트렌드다. 하지만 인테리어에 정답이 있을까? 결코 아니다. 편하게 머무를 수 있으면서 가족의 취향과 행복을 담뿍 담은 집, 부부와 두 돌 된 아들이 함께 사는 ‘온리하우스’가 더욱 특별한 이유다.
‘온리하우스’의 주인 박효진 씨는 10년 된 128.7㎡(39평)의 아파트 전체를 리모델링해 지금의 공간을 만들었다. 평소 인테리어 소품과 조명 등 인테리어에 관심이 많았는데, 결혼 후 첫 내 집 장만을 하며 자신의 로망을 실현했다. 요즘 유행하는 킨포크 감성의 내추럴 무드와 화이트 톤의 집이 예쁜 건 사실이지만, 아이를 키우다 보니 자신의 취향대로 집을 꾸미기보다는 아이를 위해 더 많은 볼거리와 색상으로 집을 꾸몄다.
어떤 이들은 “만물상 같다”고도 말하지만, 우리 집만의 아이덴티티를 가진 것 같아 만족한다고. 집의 메인 컬러는 핑크다. 현관문을 열고 들어서면 핑크 컬러 중문이 가장 먼저 눈에 띈다. 집 안 곳곳의 소품도 핑크로 포인트를 주었고, 침실과 연결된 욕실과 발코니 공간도 핑크로 채워 넣었다. 특히 침실 쪽 발코니가 넓어 활용 방법을 고민하다 이동식 욕조를 설치했는데, 아이는 물론 가족 모두 만족하는 독특한 공간이 완성됐다.
박효진 씨가 아끼는 장소는 주방이다. 거실과 일체감이 들도록 디자인한 주방은 상부장을 없애 탁 트인 공간으로 시작했는데, 좋아하는 주방 도구와 테이블웨어로 채워 넣어 취향을 엿볼 수 있는 특별한 공간이 됐다. 가장 좋아하는 소품은 조명으로 거실과 주방, 침실, 발코니 등 모든 공간에 각기 다른 디자인 조명을 골라 설치했다. 불을 켜지 않아도 공간에 분위기를 더해주는 일등 공신으로 온리하우스의 인테리어를 완성해주는 또 하나의 아이템이다. 아이가 있어 테이블에 소품을 놓거나 작은 공간을 꾸미는 것도 어려웠지만 오히려 아이를 배려하고 아이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조명이나 피겨, 아트 포스터 등 컬러풀한 아이템들이 온리하우스만의 시그너처 데커레이션이 됐다. 아이가 커가며 또 어떻게 변할지, 기분 좋은 에너지가 가득한 집의 모습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