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카카오 스토리 인스타그램 네이버 포스트 네이버 밴드 유튜브 페이스북

통합 검색

인기검색어

HOME > LIFESTYLE

LIFESTYLE

담뱃값 인상 발표 후 금연 결심 2배, 커피값 도미노 인상으로 ‘홈카페족’ 증가

Hot Issue2 끊을 수밖에 없다, ‘금자(禁自)씨’ 프로젝트

월급만 빼고 다 올랐다는 말이 딱 맞다. 그동안 가볍게 즐기던 기호식품인 커피와 담배마저도 이젠 맘 편히 누릴 수 없게 됐다. 정부가 지난 9월 11일 내년부터 담뱃값을 2천원 인상하겠다고 발표했고, 프랜차이즈 커피점들이 커피 한 잔당 2백~5백원씩 가격을 올렸다. 주머니 사정이 빠듯한 요즘, 건강까지 생각해 이참에 확 끊어볼까 싶다면!

On November 19, 2014


너나 잘하세요!
커피·담배 금지(STOP)하는 ‘금자씨’ 열풍

주부들에게 동네 친구들과 삼삼오오 모여서 마시는 달달한 커피 한 잔과, 남편들에게 상사의 뒷담화만큼 ‘맛있는’ 담배 한 개비는 삶의 안식처이자 가장 친한 친구쯤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웬걸, 최근 원두값 인상을 핑계로 스타벅스를 비롯해 커피빈, 이디야커피 등 프랜차이즈 커피 전문점은 커피 한 잔당 최소 2백원에서 5백원까지 가격을 인상하는 배신을 때렸다. 게다가 커피값 인상이 처음도 아니다.

몇 백원 차이에 놀랐다기보다 지금까지 밥보다 비싼 ‘금(金)커피’를 무심코 마셔왔다는 사실을 이제야 비로소 깨달았다고 할까? 대표적으로 스타벅스에서 아메리카노 톨 사이즈가 4천1백원, 커피빈에선 4천5백원이나 한다. 그나마 저렴하게 즐기던 이디야커피도 모든 커피 가격을 평균 2백27원 인상해 아메리카노가 종전 2천5백원에서 2천8백원으로 올랐다. ‘한두 잔 마시는 것쯤이야’라고 생각하더라도 한 달 치 카드 명세서를 살펴본다면 커피값으로 지출되는 비용이 만만치 않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커피 못지않게 담뱃값 인상도 충격적이다. 담뱃값은 2004년 이후 약 10년 동안 2천5백원을 유지해왔는데, 정부는 지난 9월 11일 내년부터 담뱃값을 2천원 인상한다는 ‘금연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정부의 담뱃값 인상은 엄밀히 말하면 담배에 붙는 세금을 인상한 것이다.

담뱃값 중 유통 마진 및 제조원가는 39%인 9백50원, 62%인 1천5백50원이 세금으로 붙어 현재 하루 한 갑의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1년에 57만원의 담뱃세를 내고 있다. 하지만 내년에 담뱃값이 2천원 오르면 1년에 부담하는 담뱃세는 1백21만원으로 지금보다 64만원을 더 내는 것이다. 쉽게 말해 일 년 치 담뱃세는 시가 9억원짜리 주택 소유자의 재산세, 연봉 5천만원인 월급쟁이의 소득세와 맞먹는 액수다.

이제는 커피도, 담배도 만만하게 즐기는 단순 기호식품군이 아닌 듯싶다. 그렇다 보니 최근 부담스러운 프랜차이즈 커피값을 줄이기 위해 집에서 직접 커피를 내려 마시거나 이참에 커피를 줄이고 물이나 차(tea)를 마시며 건강관리를 하겠다는 주부들이 늘고 있다. ‘홈카페’를 위한 커피머신 판매율이 최근 약 2.5배 정도 증가했고, 국내 티백 시장 규모가 5백63억으로 점차 커지고 있다.

남편들의 금연 결심도 늘었다. 금연종합대책 발표 이후 전국 보건소 금연 클리닉의 등록자가 일일 평균 1천4백75명에서 2천8백73명으로 2배가량 증가했다. 결국 경제적인 부담감을 넘어 이참에 건강도 생각하자는 확실한 명분을 마련한 셈이다.

그래서 준비했다. 커피와 담배를 끊고 싶은 당신을 위해 그 위험성과 중독을 끊을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달콤한 유혹’이라는 말 그대로 그동안 사랑했던 커피와 담배를 쉽게 뿌리치기 힘들지만 두툼한 지갑과 건강해질 몸을 기대하면서 참아보자. 더 달콤한 인생이 당신을 기다리고 있을 테니까.


PART1 커피값·담뱃값 인상 후 당신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11년 우리 국민이 마신 커피는 하루 평균 3백 톤으로, 연간 한 사람이 5백 잔 이상 커피를 마신다는 이야기다. 또한 대한민국 남성 흡연율은 40.8%로 OECD 국가 중 흡연율 1위를 기록했다. 담배와 커피에 이토록 열정적인 당신에게 커피값과 담뱃값 인상은 어떤 의미인가?

*10월 2일부터 10일까지, 20~50대 남녀 총 4백89명을 대상으로 이지데이(www.ezday.co.kr) 리서치 코너에서 설문조사한 결과입니다.


Q 당신은 하루에 커피를 얼마나 마시나요?


Q 커피를 마시는 이유는?


Q 주로 어떤 종류의 커피를 마시나요?


Q 프랜차이즈 커피값 인상 후 가장 먼저 들었던 생각은?


RESULT 커피 애호가라면 당신은 지금!

TYPE 1 커피를 줄이자, ‘홈카페’ 커피 즐기기
설문 응답자의 57%가 프랜차이즈 커피를 즐기고 있었다. 습관적으로 커피를 마신다는 응답자가 42%나 되니 원두커피를 아예 끊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설문 중 프랜차이즈 커피 전문점의 커피값 인상 후 어떤 생각을 했는지 묻자 45% 이상이 커피 마시는 횟수를 줄이고, 13%가 커피머신을 구입하겠다고 답한 것처럼 많은 사람이 아예 커피를 끊기보다 조절하는 쪽을 택했다. 조금 번거롭긴 해도 커피머신을 사서 집에 두고 테이크아웃 일회용 컵에 담아 외출할 때도 즐기거나, 스틱 원두커피나 커피 티백을 휴대하며 마시는 등 대안을 찾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TYPE 2 커피를 끊자, 커피 대용 음료 찾기
커피값 인상 후 주머니 사정도 염려되지만 또 하나 깨달은 것이 바로 건강이다. 평소 과다한 커피 섭취로 인한 속쓰림이나 복통 등을 경험한 사람이라면 커피 금식을 고민한다. 커피값 인상 후 들었던 생각에 대한 설문 응답자의 16%가 커피를 끊어야겠다고 결심한 것도 단순히 경제적인 문제만은 아니었을 듯하다. 자신이 커피를 어느 정도 마셨는지 살펴보게 되고 그동안 느꼈던 생활 속의 불편함이 물보다 커피를 선호한 습관 때문이라는 것도 깨닫는 계기가 되었을 듯. 그래서 커피 대신 커피 맛은 있지만 카페인이 없는 디카페인 차를 마시거나 물을 많이 마시는 등 습관 교정을 하기 위해 노력하는 유형이다.


Q 하루에 담배를 얼마나 피우나요?
(설문 응답자 중 25%(123명)가 흡연자)


Q 당신에게 담배는 어떤 존재인가요?


Q 금연 결심을 했다면 어떤 계획을 세우고 있는지?


Q 담뱃값 인상 소식을 듣고 가장 먼저 들었던 생각은?


RESULT 흡연가라면 당신은 지금!

TYPE 1 담배를 줄이자, 니코틴 줄이기
설문 응답자의 51%는 하루 10개비 내외, 30%는 한 갑 이상 담배를 피운다. 약 80% 이상이 담배를 반 값 이상 피울 정도로 심각한 중독 상태다. 담뱃값 인상 소식을 듣고 대부분의 응답자가 금연을 결심했지만 담배를 한 번에 확 끊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또한 남편들이 담배를 끊을 수 없는 이유 중 하나로 ‘소셜-스모커’를 꼽을 수 있다. 이는 직장에서 담배를 피우지 않으면 커뮤니케이션도 수월하지 않고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다. 그러므로 담배 피우는 횟수를 점차 줄이거나 무니코틴 전자담배, 금연껌 등 금연보조제의 도움으로 흡수하는 니코틴의 양을 줄이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TYPE 2 담배를 끊자, 금연하기
담배가 어떤 존재인지에 대한 질문에서 ‘습관처럼 피우지만 피우고 나면 늘 후회하게 되는 ‘웬수’라는 답변이 42%나 나왔다. 담배가 몸에 좋지 않다는 사실은 알지만 습관적으로 피우니 늘 후회만 남는다. 매번 금연에 실패하다가 담뱃값 인상으로 다시 금연을 결심한 당신. 이번만큼은 꼭 성공해야 하는 만큼 지금쯤 열심히 금연에 대한 정보를 찾기 시작할 것이다. 어떻게 금연을 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굳은 의지로 금연에 성공하겠다’는 응답이 39%로 1위를 차지했는데, 재테크를 할 때 계획이 필요하듯 금연에도 계획이 필요하다. 금연을 해야 하는 명분을 확고하게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CREDIT INFO
기획
김은혜
사진
이호영
모델
김시진,오승윤
스타일리스트
김지연
헤어&메이크업
요닝, 정샘물인스피레이션 WEST점, 니케인뷰티, MBC아카데미뷰티스쿨 영등포 캠퍼스 도움말_장안수(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김영상(분당차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2014년 11월호
2014년 11월호
기획
김은혜
사진
이호영
모델
김시진,오승윤
스타일리스트
김지연
헤어&메이크업
요닝, 정샘물인스피레이션 WEST점, 니케인뷰티, MBC아카데미뷰티스쿨 영등포 캠퍼스 도움말_장안수(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김영상(분당차병원 가정의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