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카카오 스토리 인스타그램 네이버 포스트 네이버 밴드 유튜브 페이스북

통합 검색

인기검색어

HOME > ISSUE

ISSUE

대기업 이끄는 3040 오너들의 등장

드라마에서 보던 젊은 오너 일가 본부장들이 실제로 등장하고 있다. 30대 중반, 40대 초반의 재벌가 자녀들이 본격적으로 회사 경영에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것. 이들의 공통점이라면 ‘해외 경험’을 살려 주요 미래 사업을 주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On February 06, 2024

/upload/woman/article/202402/thumb/55429-530576-sample.jpg

이선호, CJ올리브영 등에 엎고 CJ 이끌까

CJ그룹 오너 4세인 이선호 식품성장추진실장(경영리더)도 주목해야 할 3040 차세대 경영인 중 한 명이다. 이재현 CJ그룹 회장의 장남인 이선호 경영리더는 1990년생으로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금융경제학과를 졸업했다. 2013년 그룹 공채를 통해 비교적 일찍 합류했고, 이후 주요 보직을 두루 거치고 있다. 2016년 CJ제일제당 바이오사업관리팀장 겸 과장을 시작으로 2017년 CJ그룹 경영전략실 부장을 맡았다.

2019년 CJ제일제당 식품사업부 식품전략기획1팀으로 자리를 옮겼다가 5개월 만에 마약 밀반입 혐의(마약류 관리법 위반)로 재판에 넘겨지며 정직 처분을 받고 자숙에 들어갔다. 하지만 2021년 CJ제일제당 글로벌비즈니스 담당으로 CJ제일제당 식품전략기획 1담당에 이름을 올리고 지난해 식품성장추진실장으로 1년 만에 승진했다. 식품성장추진실은 CJ제일제당의 글로벌 사업을 담당하는 조직이다.

실적도 상승세다. CJ제일제당 식품 부문 해외 매출은 2020년 4조 1,297억원에서 2021년 4조 3,638억원으로 늘었고, 2022년 5조 1,811억원으로 증가했다. 2023년에는 3분기 누적 3조 9,995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2022년 기록을 뛰어넘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선호 경영리더가 담당하고 있는 해외식품사업의 선전으로 분위기가 좋은 데다 대내외 경영 보폭이 커지면서 ‘4세 경영 체제’의 본격화를 점치는 여론이 늘고 있다.

특히 이선호 경영리더가 지분을 가지고 있는 ‘올리브영’의 실적 호재가 경영 승계의 주춧돌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CJ올리브영의 실적은 꾸준히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그룹의 캐시카우(현금 창출원)로 성장한 것. 지난해 전체 매출 3조원을 달성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미 지난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9.4% 상승한 2조 7971억원, 누적 영업이익은 44.3% 급성장한 2,742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CJ올리브영은 이를 토대로 상장을 추진 중인 상황. 올리브영의 기업 가치는 4조~5조원대로 평가되는데 성공적으로 상장이 이뤄질 경우 이선호 경영리더에게 ‘승계 자금’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선호 CJ제일제당 식품성장추진실장(경영리더)과 장녀 이경후 CJ ENM 브랜드전략실장은 올리브영 지분을 각각 11.04%, 4.21%를 가지고 있기 때문. 이선호 경영리더는 앞선 2021년 CJ올리브영의 상장 전 지분투자(프리IPO) 과정에서도 CJ올리브영 지분 6.88%를 처분해 1,018억원의 현금을 확보한 바 있다.

9부 능선 넘고 ‘지분’만 있으면 되는 HD현대 정기선

앞서 설명한 재벌가 3040들이 모두 ‘가능성’이라면, 정주영 현대그룹 창업주의 6남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의 장남인 정기선 HD현대 부회장은 ‘3세 경영의 9부 능선을 넘었다’는 평을 받는다. 1982년생으로 대일외국어고등학교와 연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MBA 과정을 마쳤다.

현대중공업(현 HD현대)에 재무팀 대리로 입사한 뒤 곧바로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고, 보스턴컨설팅그룹 한국 지사에서 근무하다 현대중공업에 부장으로 재입사했다. 기획재무부문장 상무로 승진하면서 당시 재계에서 최연소 임원이 됐다. 1년 만에 전무로 승진했고, 2년 뒤 부사장으로 초고속 승진하면서 현대글로벌서비스(현 HD현대마린솔루션) 대표이사로 선임됐다. 2021년 사장으로 승진했다. 2023년 11월에는 부회장으로 승진했는데 이는 사장에 임명된 지 2년 1개월 만이다.

HD현대는 자산 규모 81조원, 재계 9위의 그룹이다. 정몽준 이사장이 1988년 정계에 입문, 경영에서 손을 떼면서 약 35년간 전문경영인 체제로 운영했다. 따라서 국내 재계에서 드물게 소유와 경영이 분리된 기업으로 평가받아왔다. 하지만 장남인 정기선 부회장이 다시 경영 전면에 나서 HD현대 대표이사 겸 HD한국조선해양 대표이사 부회장을 맡고 있는데, 이는 지주회사와 조선 사업을 함께 맡은 셈이다. 회사의 얼굴 역할도 하고 있다. HD현대그룹을 대표해 윤석열 대통령의 해외 순방에 경제사절단으로 참여하는 등 대외 행보를 확대하고 있다.

지분만 확보하면 안정적인 3세 경영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현재 정몽준 이사장의 HD현대 지분은 26%대고, 정기선 부회장의 지분은 5.26%에 불과하다. 한 재계 관계자는 “별다른 비상장 계열사가 많지 않아 승계 자금을 확보하는 게 조금 힘들 수 있지만 경영 능력으로는 가장 앞선 평가를 받는 것이 정기선 부회장 아니겠냐”고 설명했다.

MZ세대 후계자는 달라!

부담 없이 SNS 하는 재벌 3세

재벌가 오너 자녀지만 MZ세대답게 SNS 노출을 꺼리지 않는 것도 달라진 문화다.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과 문성욱 신세계인터내셔날 부사장 겸 신세계톰보이 대표이사 사이의 장녀 문서윤 씨가 대표적이다. 2002년생으로 올해 21살인 문서윤 씨는 SNS에서 수만 명의 팔로어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유학 중으로 자신의 일상을 노출하는 데 거리낌이 없다. 특히 인스타그램에 올린 사진을 보면 패션·문화 분야에 관심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노출이 있거나 다소 디자인이 특이한 옷도 매력적으로 소화해내는 것이 특징이다.

DL그룹(옛 대림그룹) 오너가 4세인 이주영 씨는 인스타그램에서 인플루언서 활동을 하기도 한다. 2000년생인 이주영 씨는 이준용 DL그룹 명예회장의 3남 이해창 켐텍 대표의 장녀다.

이 씨는 서울외국인학교 재학 시절부터 유튜브 채널을 운영할 정도로 SNS에 관심이 많았는데 인스타그램에는 그룹 아이브 멤버 장원영 등 유명 연예인과 함께 찍은 사진을 올리는 한편, 각종 브랜드에서 협찬을 받으며 홍보하는 게시물을 주로 올린다. 현재는 미국 워싱턴 D.C.에 위치한 조지타운대학교에서 국제경영학과 마케팅을 전공하고 있는데, 평소 패션 등에 관심이 많았던 만큼 패션 잡지 <보그 코리아>에서 인턴으로 근무한 경험도 있다고 한다.

비공개로 운영 중인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녀 이원주 씨도 인스타그램 등 자신을 드러내는 데 주저함이 없다. 2004년생인 이 씨는 최근 그룹 블랙핑크 멤버 리사와 태국의 유명 식당에서 식사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이 자리에는 이원주 씨의 어머니 임세령 대상그룹 부회장도 함께했다. SK그룹 3세 이승환 돌고도네이션 대표도 SNS를 통해 사회적 기여를 이루고자 하는 이 중 하나다. 1989년생인 이승환 대표는 고 최종건 SK 창업주의 외손자이자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5촌 조카다. 과거 SK그룹에서 5년간 일한 적도 있다. 돌고도네이션이라는 IT 기반의 기부 플랫폼을 운영 중인데, 최근엔 이를 알리기 위해 유튜브에 출연했다. 재벌 3세의 유튜브 출연은 큰 화제가 됐고, 한 달 만에 430만 뷰가 넘었다.

한 재계 관계자는 “드라마 등에서는 재벌가의 일상이 치열한 암투만 있는 것처럼 묘사하지만 경영에 뜻이 없거나 자신만의 관심 분야가 있는 이들은 SNS를 통해 자신의 삶을 보여주고 공유하는 데 주저하지 않기도 한다”며 “앞으로 등장할 많은 재벌가 자녀 중에는 SNS를 통한 일상 공개를 꺼리지 않는 이들이 더 많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외국 경험+컨설팅 경험? “능력주의 필수”

흔히 말하는 MZ세대인 이들의 ‘커리어 공통점’은 해외 경험(대학이나 인턴, 대학원 포함)을 바탕으로 경영 컨설팅 관련 업무를 쌓았다는 것이다. 특히 조기 유학을 떠나 중·고교부터 학부와 대학원까지 해외에서 졸업한 유학파 비중이 높다. 신동빈 회장의 장남 신유열 전무는 아버지에 이어 컬럼비아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밟았다. 정기선 HD현대 부회장은 캘리포니아에 있는 스탠퍼드대학교 대학원을 나왔고, 김동관 한화 부회장은 중학교 졸업 후 미국 유학길에 올라 세인트폴고등학교와 하버드대학교를 나왔다. 유학 생활을 통해 얻게 된 인맥과 자유로운 소통 능력은 이들의 비즈니스 무기가 되고 있다. 조용하면서도 능력주의를 최우선으로 내세우며 기존 조직 문화를 우선시하는 모습이 특징이다.

재벌가 오너 자녀와 함께 근무한 적이 있는 한 대기업 관계자는 “앞선 선대의 오너들은 ‘권위적’인 지시를 내리는 부분이 있었다면 오너 자녀들은 ‘오너가’라는 것을 알지 못하면 크게 인식하지 못할 만큼 소탈하면서도 겸손하다”며 “해외 경험이 있다 보니 능력으로 인정받아야 한다는 마인드를 갖춘 것 같더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4대 그룹 총수 중 가장 젊은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회장 대신 LG 대표로 자신을 불러달라고 할 정도로 소탈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기선 부회장 역시 현대중공업 시절 울산에서 근무할 당시 직원들을 삼삼오오 모아 종종 회식을 즐긴 것으로 알려졌다.

그룹에 합류하기 전 컨설팅 업체나 해외 IB를 거치며 빠르게 경영 수업을 받은 점도 주목해야 한다. 신유열 전무는 노무라증권에서 근무했고, 최윤정 SK바이오팜 부사장도 베인앤드컴퍼니 컨설턴트 경력이 있다. 큰 조직을 이끌기 전에 ‘밖에서 객관적으로 보는 시선’을 갖추게 하고픈 재벌 총수들의 마음이 반영됐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앞선 대기업 관계자는 “내로라하는 대기업들은 비정기적으로 한 번씩 해외 컨설팅 업체로부터 기업에 대한 평가를 받고 개선할 부분을 확인하곤 한다”며 “글로벌 시대다 보니 해외시장과 투자자들의 시선에서 객관적인 평가를 받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부분을 찾아야 하는데 회사 전체를 이끌어야 하는 자녀가 ‘넓은 시선’을 갖추기를 바라는 오너들의 마음이 반영되다 보니 증권사나 투자은행(IB), 컨설팅그룹에서 경험을 쌓게끔 하는 거 아니겠냐”고 풀이했다. 실제로 예비 총수들은 해외에서 경영학을 공부하고 컨설팅펌이나 투자은행을 거치면서 재무에도 밝아 이익을 깐깐히 따지는 경향이 있다 보니 임원들 사이에서도 능력이 없는 이들은 도태된다는 평이 나온다.

하지만 오너들의 경영권 세습 문화에 대한 우려도 여전하다. 오너가 경영인은 입사 후 평균 5년 내 임원으로 승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국내 100대 그룹에 재직하는 오너 일가 827명 중 사장단에 포함된 199명의 이력을 분석한 결과, 평균 입사 나이는 28.9세였다. 이들은 5.4년 후인 34.3세에 임원으로 승진하고 7.8년 후인 42.1세에 사장이 됐다.

입사 후 임원이 되는 시간은 후대로 내려올수록 점차 빨라지는 모습이다. 오너가 2세가 평균 4.7년으로 34.7세에 임원에 올랐다. 후대인 3·4세는 이보다 0.6년 짧은 평균 4.1년 걸려 32.8세에 임원으로 승진했다. 통상적으로 20년 이상 근무해야 임원이 될까 말까 한 보통의 직장인들과 ‘얼마만큼의 능력 차이’를 보여줄 수 있겠냐는 비판이 유효한 대목이다.

CREDIT INFO
기획
하은정 기자
취재
서환한(프리랜서)
사진
일요신문 제공, 각 인물 인스타그램, 정용진·지드래곤 인스타그램
2024년 02월호
2024년 02월호
기획
하은정 기자
취재
서환한(프리랜서)
사진
일요신문 제공, 각 인물 인스타그램, 정용진·지드래곤 인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