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TRAVEL MORE+

대가야가 남긴 발자취, 고령

낙동강 일대를 호령했던 대가야를 잇는 고장, 경북 고령에서 산과 강을 맴돌며 그윽한 가을을 만끽했다.

UpdatedOn October 24, 2024

3 / 10

 

한없이 높은 하늘에 구름 몇 조각이 떠간다. 크고 작은 것이 해를 가릴 때마다 고분군에 검은 그늘이 진다. 현대를 사는 사람이 1500년 전 융성했던 나라를 목도할 방법은 없다. 그들의 발자취를 좇아 발견한 유적으로 어렴풋이 상상할 뿐. 이 땅에서 번영을 누리다 스러진 왕국을 찾아 길을 나섰다. 세상으로 나오지 않은 이야기가 잠들었을 고분 사이를 지나며 걸음을 재촉한다. 지금 이곳은 대가야의 고도, 경북 고령이다.

3 / 10

 

이 땅에서 번영을 누리다 스러진 왕국을 찾아 나섰다.
수많은 이야기를 품은 고분 사이를 지나며 걸음을 재촉한다.

대가야의 시간 속으로

아득한 옛날, 가야산을 돌보는 산신 정견모주가 있었다. 그는 사람이 살기 좋은 터전을 닦아 주고자 하늘에 기도를 올린다. 이에 감응한 천신 이비가지가 내려오고 둘은 연을 맺는다. 곧 두 아들이 태어나니, 첫째 뇌질주일은 대가야 시조인 이진아시왕, 둘째 뇌질청예는 금관가야 수로왕이 된다. 조선 시대 지리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수록된 대가야 건국 신화다. 하늘이 내린 알에서 태어난 사람이 가야 임금이 되었다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금관가야의 가락국 신화와는 내용이 사뭇 다르다. 낙동강 하류를 중심으로 성장한 가야, 그중 대가야는 신라의 공격으로 최후를 맞기 전까지 금관가야에 이어 가야 연맹을 이끌었다. 영향력이 가장 강하던 시기에는 전라북도 일부 지역이 대가야에 속했으며, 바다 건너 일본과도 교류했던 기록이 발견됐다. 562년, 대가야가 이끄는 가야 연맹은 일찍이 신라 진흥왕에 의해 멸망한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 했던가. 다른 국가보다 문헌이 희소하니 상대적으로 알려진 사실이 적거나 왜곡되기도 했다.

3 / 10

 

수백 년 전 융성했던 나라의 흔적이 바로 눈앞에 있다.
쉬이 시선을 뗄 수 없어 무늬 하나까지 꼼꼼히 훑는다.

진실의 빛은 가야를 저버리지 않았다. 대가야읍 주산 지산동 고분군에 놓인 봉분 약 700기가 대가야 왕과 귀족 것으로 밝혀졌고, 1970년대에 본격적인 발굴을 시작한다. 일제가 도굴한 탓에 훼손을 우려했지만 일곱 고분에서 어마어마한 유물이 말 그대로 쏟아졌다. 덩이쇠와 각종 철기, 토기, 화려한 장신구 등 껴묻거리가 온전한 상태로 세상에 나왔다. 베일에 감춰진 가야의 비밀을 풀 열쇠 꾸러미를 찾은 것이다.

+ 고령과 가까운 역은 동대구역이다. 서울 출발을 기준으로 서울역에서 KTX를 타고 동대구역까지 1시간 50분 정도 걸린다.

산등성이에 늘어선 고분과 고령 시내가 동시에 담기는 광경을 보니 깨달음이 밀려온다.
삶과 죽음은 늘 맞닿아 있다는.

과거와 현재가 보이는 언덕에서

출토된 유물은 지산동 고분군 바로 아래 개관한 대가야박물관에서 마주한다. 2층 규모 건물에 구석기시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고령 땅의 역사를 세세하게 다뤘다. 1층 기획전시실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과 소속 국립박물관이 함께 여는 <국보 순회전: 모두의 곁으로>가 한창이다. 경주 금령총에서 발견한 금관과 금방울, 금허리띠가 어두운 전시실에서 은은하게 빛난다. 형태와 소재, 세부 양식을 유심히 봐 둔다. 상설전시실에 전시한 가야 것과 비교하기 위해서다. 각진 사슴뿔 형상을 한 신라 금관과 달리 가야 금관은 주로 풀잎이나 꽃이 연상되는 유려한 곡선이 특징이다. 가야는 금속이 아닌 흙으로도 미적 감각을 뽐내 왔다. 도자기 재료 중 최고로 치는 고령토로 토기를 빚은 데다 물결, 빗금, 새 발 모양 등 다양한 무늬를 섬세하게 새겨 단아한 멋이 느껴진다. 김미숙 문화관광해설사가 전시품을 하나씩 가리키며 차근차근 설명한다. “박물관에 전시한 유물 90퍼센트 이상은 복제품이 아닌 진품이에요. 수 세기 전에 사용한 물품을 직접 보도록 해 자부심이 크지요.” 1500년 전 융성했던 나라의 흔적이 바로 눈앞에 있다. 쉬이 시선을 뗄 수 없어 토기 만듦새, 무늬 하나까지 꼼꼼히 훑는다.

이것만으로 놀라기엔 이르다. 대가야왕릉전시관으로 들어서면 눈이 휘둥그레진다. 지산동 고분군 최대 무덤이자 가야 왕의 것으로 추정하는 44호분을 실물 크기 그대로 재현해 놓았다. 44호분에서 찾은 소형 순장돌덧널무덤만 32기라 하니, 그 규모에 압도된다. 고분 내부 구조를 살피고 밖으로 나와 유연한 곡선이 이어지는 산길을 걸었다. 사부작사부작 언덕에 오르자 사위가 고요하다. 산등성이에 늘어선 고분과 고령 시내가 동시에 담기는 풍경을 본다. 죽음 뒤에도 삶이 계속된다고 믿었던 가야 사람은 생을 마친 이가 내세에서도 현실과 같이 살기를 바랐다. 이 광경을 눈앞에 두고 나서야 어렴풋이 깨달음이 밀려왔다. 삶과 죽음은 늘 맞닿아 있다고.

3 / 10

우륵이 가야금을 만들고 연주했다는 정정골에 우륵박물관과 우륵국악기연구원이 자리한다. 우륵박물관은 악성 우륵과 관련한 자료를 수집·보존해 전시하고, 우륵국악기연구원에서는 가야금 공방을 개방한다.

우륵이 가야금을 만들고 연주했다는 정정골에 우륵박물관과 우륵국악기연구원이 자리한다. 우륵박물관은 악성 우륵과 관련한 자료를 수집·보존해 전시하고, 우륵국악기연구원에서는 가야금 공방을 개방한다.

뻣뻣한 오동나무에 손길이 닿자 근사한 악기로 변했다.
완성한 가야금에서 명징한 소리가 날 때면 가슴이 짜릿했다.

가야금 선율에 귀 기울이면

고령은 가야금의 고장이기도 하다. 거문고를 제작한 왕산악, 조선의 아악을 정비한 박연과 더불어 ‘한국 3대 악성’으로 불리는 우륵이 가야금을 만든 장소가 고령 쾌빈리다. 그는 대가야 가실왕의 명을 받아 각지에서 사용하던 악기를 통일하고, 중국 악기 쟁을 본떠 가야금을 고안한 데다 연주곡 열두 개를 창작했다. 가야금 소리가 정정해 그가 지내던 마을을 정정골이라 했는데, 이곳은 여전히 우륵의 명맥을 잇는다.

우륵국악기연구원에 도착했을 때는 날이 흐렸다. 빗방울이 떨어질 듯해 걸음을 옮기던 중 노지에 널린 나무판자가 눈에 걸린다. 가지런히 놓인 모양을 보니 중요한 목재이지 싶어 살펴보다 가야금 악기장 김동환 명장과 마주쳤다. “걱정 마세요. 오동나무 수분과 진액이 빠져나가도록 건조하는 거예요. 눈이 오나 비가 내리나 5년은 밖에 두어야 합니다.” 오동나무는 가야금을 이루는 중요한 재료다. 적당한 크기로 재단한 뒤 바깥에서 말리는 긴 시간 동안 목재는 비바람과 볕을 온몸으로 맞는다. 모든 나무가 가야금으로 쓰이지는 않는다. 김 명장은 매일 아침 나무 상태를 확인한다. 수박 고르듯 두드렸을 때 ‘둥’ 하는 북소리가 나는 것이 최상품이다. 잘 마른 오동나무는 대패로 표면을 손질한다. 인두질을 마친 뒤 줄을 거는 현침 등을 붙이고 소리를 고르는 안족과 돌괘를 다듬으면 제작 막바지에 다다른다. 정성스레 찌고 말린 명주실로 줄을 팽팽하게 얹은 후에야 가야금이 탄생한다.

김 명장은 30년 동안 숱하게 오동나무를 가야금으로 만들어 냈다. 극적인 계기로 이 길에 들어선 것은 아니다. 어린 시절부터 주변에 가야금을 뜯거나 제작하는 이가 많았고, 당연히 곁에는 늘 가야금이 자리했다. 스물한 살이 되던 1988년, 가야금 제작에 입문한 뒤로는 새벽같이 일어나 서울 일원동과 창신동을 오가며 공부에 몰두했다. 손재주가 좋아 배움이 빨랐다. 손길이 닿았을 뿐인데 뻣뻣한 목재가 근사한 악기로 변했다. 완성한 가야금에서 명징한 소리가 날 때면 가슴이 짜릿했다. 예민한 청력과 갈고닦은 기술을 활용해 소리를 만들고 깎아 내는 과정이 그저 재미있었다.

2006년 우륵박물관과 우륵국악기연구원이 생기며 거처와 작업실을 고령으로 옮겼다. 가야금의 매력을 알리고자 야심차게 프로그램을 기획했으니, 바로 가야금 제작·연주 체험 프로그램이다. 10년 넘게 진행해 온 체험은 여전히 인기가 높다. 김 명장의 안내와 지도 아래 체험자는 직접 나만의 가야금을 제작하고, 고령군립가야금연주단 소속 단원에게 연주법도 배운다. 연주가 가능한 진짜 가야금을 만들 수 있다는 소식에 인근 도시인 대구뿐 아니라 경남, 전북 등 전국 각지에서 신청자가 몰린다. 연주자가 특별한 의뢰를 할 때는 맞춤으로 악기를 제작한다.

우륵국악기연구원에서 김동환 명장과 함께하는 가야금 제작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해마다 4월 말에서 9월 말까지 운영하며, 미리 신청해야 참여가 가능하다. 문의 054-955-4228

일반적으로 전통 방식을 고수하지만, 연주자의 주법이나 취향을 보고 방법을 수정하기도 한다. 악기가 연주자 손에 익어야 좋은 가락이 나오기 때문이다. 줄을 뜯고 누르자 구성진 음이 튀어나온다. 줄베개를 풀어 끈을 조이고, 안족을 조정해 조율을 이어 간다. “악기를 받아 간 연주자가 전화로 종종 소식을 알리기도 합니다. 제가 만든 가야금 소리가 좋아서 무사히 공연을 마쳤고, 반응도 뜨거웠다는 감사 인사를 받을 때 가장 행복해요.” 요즘 김 명인은 후진 양성에 여념이 없다. 악기장은 물론이거니와 연주자도 많지 않은 상황. 한 사람이 귀하니 고령에서 가야금을 배워 더 넓은 곳으로 나가려는 청소년에게 지원도 아끼지 않는다. 가야 사람이었던 우륵은 왕국이 스러질 즈음 신라로 망명했으나 고향을 떠올리고 그리워하며 가야금 연주를 멈추지 않았다. 사랑하는 것을 위해 주어진 환경에서 묵묵히 노력하는 일. 김 명인과 우륵의 닮은 점인 듯하다.

3 / 10

다산면 좌학리 은행나무 숲은 고령에서 새롭게 떠오르는 여행지 중 하나다. 11월 중순이면 단풍이 들어 금빛으로 물든 숲과 굽이치는 낙동강, 흐드러진 갈대밭을 마주한다.

다산면 좌학리 은행나무 숲은 고령에서 새롭게 떠오르는 여행지 중 하나다. 11월 중순이면 단풍이 들어 금빛으로 물든 숲과 굽이치는 낙동강, 흐드러진 갈대밭을 마주한다.

노란빛 가을, 다산 은행나무 숲

고령 다산면은 가을이 오면 온통 노란 세상으로 변한다. 낙동강의 흐름이 만든 7만 9338제곱미터(약 2만 4000평) 규모의 충적평야에 자리한 은행나무 숲 때문이다. 하루를 넘겨 날이 완전히 갠 이른 아침, 낙동강 근처로 향했다. 물안개가 걷히고 눈부신 햇살이 은행나무에 내려앉는다. 하늘을 향해 뻗은 은행나무들의 수령은 30년 정도다. 1990년부터 조성한 부지에서 나무들은 느릿느릿 조용히 자랐다. 아직 계절이 무르익지 않아 대부분 초록색을 띠지만, 키가 큰 나무는 벌써 위쪽이 노랗게 물들었다. 이제 빽빽한 숲으로 들어간다. 물가에는 갈대밭이 펼쳐지고, 저 멀리 강 건너편에 대구가 맨눈으로 보인다. 은행나무가 주변을 둘러싸니 다른 세계에 온 듯하다. 햇빛이 은행잎을 투과하자 주변이 환해진다. 머리 위에는 주렁주렁 열린 은행이 가득하다. 신비롭고 오묘한 기분에 휩싸여 종종거리는 걸음으로 숲을 탐험한다.

일찍이 이러한 경관을 발견한 창작자들은 이곳을 영상 작품 배경으로 활용했다. 스릴러 사극 <킹덤> 시즌 1·2와 웹툰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 <무빙> 등 인기리에 방영한 여러 작품을 다산 은행나무 숲에서 촬영했다. 덕분에 SNS에서 화제가 되었고, 곧 새로운 고령 여행지로 떠올랐다. 게다가 웨딩 사진, 가족사진 찍을 장소를 원하는 이에게도 입소문이 났다. 낙동강 자전거길이 지나는 구간이라 자전거를 타고 달리는 사람들이 종종 눈에 띈다. 은행나무 숲을 찾는 목적은 달라도 방문한 이들은 모두 노란빛 추억을 안고 돌아간다.

단풍이 절정을 이루는 11월 중순 즈음에는 노란 은행잎이 비처럼 내린다. 잎이 모두 떨어져도 괜찮다. 계절을 따라 단풍은 다시 물들 테다. 영화롭던 왕국은 오래전 스러지고 없지만, 대가야의 유산은 은행나무처럼 언제까지고 우리의 계절을 충만하게 할 것이다.


3 / 10

 

The Legacy of Daegaya in Goryeong

In Goryeong, Gyeongsangbuk-do, a region once ruled by the powerful Daegaya along the Nakdonggang River, the serene autumn atmosphere lingers around its mountains and rivers.

There was a kingdom that flourished here 1,500 years ago. We can only catch glimpses through the ruins they left behind, piecing together fragments of their once-prosperous reign. My journey led me to a kingdom that thrived and then vanished from this land. Walking briskly between the ancient tombs that hold their secrets, I arrived in Goryeong, the former capital of Daegaya.

Into the Time of Daegaya

Daegaya, formed in the downstream area of the Nakdong-gang River, succeeded Geumgwan Gaya and led the Gaya Confederation until its eventual defeat by Silla. At the height of its influence, records show that Daegaya engaged in exchanges with Japan across the sea. In 562, King Jinheung of Silla brought an end to the Gaya Confederation led by Daegaya. As history is often written by the victors, fewer records remain about Daegaya, leading to many unknowns or distortions. The light of truth did not abandon Daegaya. Around 700 tombs in the Jisan-dong Tumuli of Jusan Mountain, Daegaya-eup, have been identified as belonging to Daegaya royalty and nobility, and full-scale excavation began in the 1970s. Despite concerns of damage due to looting by the Japanese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 extraordinary number of artifacts were unearthed from just seven tombs. Iron ingots, various iron tools, pottery, and ornate jewelry were unearthed in pristine condition. These artifacts can be viewed at the Daegaya Museum, located at the foot of the tomb clusters. Over 90 percent of the items on display are authentic, not replicas. The remains of this once-prosperous nation are right before your eyes, so captivating that you can’t help but closely examine the intricate pottery designs. From here, I headed to the UNESCO World Heritage Jisan-dong Tumuli. As I ascended the hill, I was greeted by the sight of the ancient tombs and Goryeong’s downtown below. The Gaya people believed in life after death, wishing for the deceased to live in the afterlife as they had in the present world. Standing before this scene, where life and death coexist, I was struck by a subtle realization: life and death are always intertwined.

Listening to the Melody of the Gayageum

The paulownia tree is a key material of the gayageum, a traditional Korean zither-like string instrument. After being cut to the right size, the wood is left outside for a long period, exposed to the wind, rain, and sun. Only a select few pieces are suitable for making the gayageum. Every morning, master craftsman Kim Dong-hwan inspects the condition of the paulownia wood. The best wood produces a drum-like sound when tapped. After the wood is properly dried, its surface is smoothed with a plane, then the fine details such as the bridge and tuning pegs are added, bringing the gayageum close to completion. Only after the strings, made of carefully steamed and dried silk, are attached does the gayageum come to life. In 2006, Master Kim moved his residence and workshop to Goryeong. He ambitiously designed a gayageum-making and performance experience program, where participants can craft their own gayageum and learn to play it from instructors of the Goryeong Gayageum Orchestra. Because of the rare opportunity to create a playable gayageum, the program fills up quickly each year.

Golden Autumn in the Dasan Ginkgo Forest

When autumn arrives in Dasan-myeon, Goryeong, the landscape transforms into a world of golden hues, thanks to the ginkgo trees that flourish in the fertile plains. On a clear early morning, I headed toward the Nakdonggang River. As the mist lifted, the sunlight fell on the ginkgo trees, which have been growing for about 30 years. While many still displayed green leaves as autumn was yet to fully mature, the taller trees had started to turn yellow at the top. It felt as though I had stepped into another world. The sunlight filtering through the countless ginkgo leaves lit up the surroundings. Looking up, I saw branches heavy with ginkgo nuts. By mid-November, when the autumn foliage reaches its peak, golden leaves will rain down like showers. Even after the leaves have all fallen, the changing seasons will bring back the vibrant colors. Though the magnificent kingdom of Daegaya vanished long ago, if we gather all the remnants they left behind, perhaps Daegaya will return to us, standing even more majestically than we ever imagined.

고령에서 여기도 가 보세요

  • © 고령군청

    © 고령군청

    © 고령군청

    즐길 거리 가얏고마을

    대가야 가실왕의 명을 받은 우륵은 고령 쾌빈리 금곡에서 가야금을 제작하고 연주했다. 가야금 소리가 정정해 정정골이라 불리던 곳에 가얏고마을이 자리한다. 우륵 선생을 기리며 건축한 우륵의 집, 거대한 가야금 형상을 한 우륵기념탑, 우륵박물관 등을 둘러본 후 우륵국악기연구원에서 가야금 제작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간단한 가야금 연주법도 배울 수 있다. 매년 마을에서는 전국우륵가야금경연대회와 고령가얏고음악제를 개최하고 추모제를 지내며 우륵의 명맥을 잇는다.
    문의 054-956-1799

  • © 고령군청

    © 고령군청

    © 고령군청

    즐길 거리 연조리 왕정

    고령에는 대가야 때부터 사용한 것으로 추정하는 우물이 여럿이다. 연조리에 위치한 왕정은 고서 <신증동국여지승람> <고령지>에도 기록된 것으로, 예부터 대가야 왕이 대대로 마셨다고 전한다. 1977년 조사 당시 우물 안에서 각종 토기와 사기 등을 발굴했다. 약 1.5미터 깊이의 우물은 현재도 지하수가 솟아 마르지 않으며, 20년 전까지도 주민 식수로 사용했다. 지금은 당시의 모습을 추측해 재현한 상태다. 왕정으로 가는 마을 골목은 연조리 주민이 참여해 왕정 이야기와 마을 유래 등을 표현한 벽화가 있다.
    문의 054-955-4790

  • 먹거리 농가맛집참살이

    28년 경력의 최해연 대표는 바른 먹거리가 건강한 몸과 마음을 만든다고 믿는다. 배추, 마늘, 무, 양파 등 기본 재료는 990제곱미터(약 300평) 남짓한 밭에서 직접 기른 것을 쓴다. ‘자연인정식’이 차려지면 입이 떡 벌어진다. 한우버섯전골, 한우아롱사태수육, 육회, 참가자미회무침, 고등어구이, 취나물밥 등으로 상이 꽉 찬다. 우선 땅콩죽으로 입맛을 돋우고 취나물밥에 전골, 고등어구이 등 각종 반찬을 취향대로 곁들여 먹는다. 수제 도라지양갱·정과나 딸기젤리로 식사를 마무리하니 기분까지 상쾌하다.
    문의 054-954-1466

  • © 고령군청

    © 고령군청

    © 고령군청

    먹거리 고령 딸기

    비옥한 쌍림면 안림마을에서 가야산 줄기인 미숭산, 만대산의 맑은 물을 활용해 딸기를 기른다. 친환경 재배·무농약 농법, 꿀벌을 활용한 자연 수정, 수경 재배 등 40여 년 노하우와 기술이 담겼다. 표피가 연분홍빛을 띠는 설화·설향 등 다양한 품종을 생산하며, 당도가 높고 맛과 향이 뛰어나 해외에도 수출한다. 제철에는 농가를 방문해 딸기를 수확하고 모종을 심는 농촌 체험, 딸기 퐁뒤·와플 등을 만드는 요리 체험 프로그램도 신청 가능하다. 올해는 11월 하순 첫 출하를 앞두고 있다.
    문의 054-956-4513(생생팜로컬푸드직매장)

<KTX매거진>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남혜림
photographer. 신규철

RELATED STORIES

  • TRAVEL

    시장으로 온 청년들, 제주 청년몰 B1

    제주도에서 각자의 공간을 정성껏 꾸려 가는 청년 상인을 만났다. 제주도 제주 동문공설시장 지하 1층엔 몸과 마음을 녹일 온기가 가득하다.

  • TRAVEL

    지구의 시간을 걷다, 울주 지질 기행

    간절곶에서 타는 듯한 해돋이를 마주하고, 반구대 암각화를 바라보며 이 땅의 아득한 과거를 상상했다. 울산 울주를 두 발로 누비며 지구를 감각했다.

  • TRAVEL

    기차 여행자의 강릉 산책

    기차를 타고 강원도 강릉으로 하루 여행을 떠난다. 로컬 공방을 들여다보고, 정성 다한 음식을 먹으며 강릉을 만드는 창작자들과 이야기했다.

  • TRAVEL

    올해의 사진 한 장

    연말을 맞아 사진가와 디자이너가 잡지에 못 실어 아까워한 사진을 꼽았다. 에디터들도 동의합니다.

  • TRAVEL

    문경새재 옛길에서 듣다

    영남과 한양을 잇는 옛길에서 가장 사랑받는, 가장 살아 있는 구간. 경북 문경의 새재를 걸었다. 오래된 지혜와 이야기가 길처럼 이어졌다.

MORE FROM KTX

  • CULTURE

    시가 흐르는 강가에 서서

    시인의 문장과 시어를 낭독하는 목소리가 신비로운 영상 위로 휘몰아친다. 전남 광양 전남도립미술관 <시의 정원>전 문을 열어젖히는 작품 ‘스틱스 심포니’의 안유리 작가와 공감각적 대화를 나눴다.

  • TRAVEL

    치유와 사유의 섬, 강화

    도심에서 한 시간 반이면 닿는 자연의 보고, 인천 강화로 떠난다. 이승섭 강화군청 행정복지국장의 안내를 따라 한 걸음씩 가까워진다.

  • LIFE STYLE

    ‘덕질’은 진화한다

    아티스트의 품격을 높이려는 팬들의 노력은 계속된다.

  • TRAVEL

    여름에 떠나는 정원 여행

    산림청이 100곳이 넘는 국가·지방·민간정원 정보를 지도로 만들었다. 시원스러운 풍경에 눈이 절로 즐거워지는 정원을 소개한다.

  • FILM

    흥미진진한 체험으로 선비 정신을 만난다, 영주 선비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