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CULTURE MORE+

백년의 고독, 천경자

고독이란 우물에서 영혼을 길어 올린 예술가, 천경자를 만난다. 2024년 11월 11일은 그의 탄생 100주년을 맞는 날이다.

UpdatedOn October 23, 2024

3 / 10

‘자마이카의 고약한 여인’, 1989 ⓒ 서울시립미술관

  • ‘자마이카의 고약한 여인’, 1989 ⓒ 서울시립미술관
  • ‘화병이 된 마돈나’, 1990 ⓒ 서울시립미술관
  • ‘사군도’, 1969 ⓒ 서울시립미술관

  • 삶의 진통제

    “꿈은 그림과 함께 호흡을 해 왔고,
    꿈이 아닌 현실로서도 늘 내 마음속에
    서식을 해 왔다.”

    예술과 사랑, 노동과 육아,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 천경자의 젊은 날은 혹독하고도 치열했으나, 그에겐 꿈이 있었다. 1924년 전남 고흥에서 태어난 천경자는 1941년 일본 도쿄여자미술전문학교에 입학해 미술을 공부했고, 1944년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조부상’으로 입선하며 작가로서 이름을 알린다. 이듬해 결혼해 가정을 이뤘지만 생활은 녹록지 않았다. 가족을 등진 남편 대신 모교인 전남여자고등학교에서 미술 교사로 근무해 생계를 책임졌고, 안간힘을 쓰며 육아와 작업을 병행했다. 천경자는 훗날 자신의 삶을 이끈 원동력이 꿈, 사랑, 모정이라 회고했다.

  • 슬픔을 삼키는 방법

    “현실이란 슬퍼도, 제아무리
    한 맺힌 일이 있어도 그걸 삼켜 넘겨
    웃고 살아야 하는 것이다.”

    전쟁 한복판, 천경자 생애 가장 큰 비극이 일어난다. 동생 옥희가 폐병으로 세상을 떠난 것이다. 깊은 슬픔을 헤아려 줄 이는 없었다. 남편과 소식이 끊겼고, 전시회에서 우연히 알게 된 언론인 김남중을 일방적으로 마음에 품은 채 처절한 시간을 견뎌야 했다. 이 시기 천경자의 화폭에 자주 등장하는 모티브는 뱀이었다. 그는 뱀을 “이브를 홀려 슬픔과 기쁨, 고뇌를 맛보게 했다는 창조의 요술사”라고 생각했다. “오직 인생에 대한 저항을 위해서” 뱀을 그리던 천경자는 1953년 휴전협정 이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강단에 섰으며, <대한미술협회전> 대통령상과 <대한민국미술전람회> 특선이라는 성취를 이룬다.

  • 한국화 논쟁을 넘어서다

    “창작적 개성 속에서 한국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표현한다면
    그것이 곧 한국의 독특한 미(…).”

    혼돈의 시대, 예술가들은 ‘한국화’라는 이상에 도달하고자 했다. 한국적 기법과 소재에 천착하느라 수묵화만이 한국화라는 편견에 사로잡히거나, 채색화를 일본화라 곡해하는 경우도 있었다. 시류에 휩쓸리지 않고 자신의 길을 걸어간 천경자는 꿋꿋이 사랑과 고통 같은 인간 본연의 감정을 흥건한 색감으로 표현했으며, 음악이나 문학 등 예술적 관심사를 작품의 주제로 삼았다. 그뿐인가. 제자였던 후배 여성 예술가들이 좁은 틀을 벗어나 개성을 추구하도록 독려했다. 미술사학자 최순우는 이러한 그의 행보를 두고 “현대를 멋있게 걸어가는 작가”라며 칭송했다.

  • 여행하며, 사랑하며

    “바람은 불어도 좋다.
    어차피 부는 바람이다. (…)
    그 위에 인생이 떠 있는지도 모른다.”

    예술가 그리고 여행가. 천경자는 <남태평양에 가다>와 같은 기행문을 냈을 만큼 기록하기를 좋아했다. 목적지는 타히티, 인도네시아, 인도, 중남미와 유럽 등으로 대륙과 나라를 가리지 않았다. 에밀리 브론테, 마거릿 미첼 등 그가 사랑한 작가와 작품을 좇아 문학 기행을 떠나기도 했다. 여행은 그림으로 남았다. 채도 높은 색과 강렬한 표현으로 동물·자연·생활 풍속·인물 등 여러 소재를 담았는데, 특히 남국 여인들을 관찰하고 묘사해 그만의 독창적인 여성상을 구축하기도 했다. ‘자유로운 여자’. 1979년 천경자가 낸 수필집 제목이자, 그가 평생 좇아 온 자아다.

 + 바로 지금, 천경자를 만나는 전시 

<찬란한 전설 천경자>

기간 11월 11일~12월 31일
장소 전남 고흥분청문화박물관, 고흥아트센터
천경자의 고향에서 천경자를 만난다. ‘탱고가 흐르는 황혼’ ‘만선’ ‘화혼’ ‘아이누 여인’ 등 작품 약 70점과 유품 및 아카이브 40여 점을 소개하는데, 이 중엔 세상에 처음 공개하는 작품도 있다.

<격변의 시대, 여성 삶 예술>

기간 11월 17일까지
장소 서울시립미술관
1924년에 태어나 2015년 영면한 천경자와 동시대를 살아간 여성 작가 22인의 작품과 자료를 한눈에 마주하는 시간이다. 천경자 컬렉션 상설전 <영혼을 울리는 바람을 향하여>도 함께 관람한다.

<KTX매거진>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강은주

RELATED STORIES

  • CULTURE

    What's up

  • CULTURE

    전시, 신간, 영상, 공연

  • CULTURE

    고려 사람이 사랑한 자연과 예술-청자 죽순 모양 주자

  • CULTURE

    풍금 소리를 타고 스며든 믿음

    유쾌하고 따뜻한 뮤지컬 <쿠로이 저택엔 누가 살고 있을까?>가 원년 멤버 홍나현 배우와 함께 돌아왔다. 일인극과 대극장 공연까지 끊임없이 성장하는 이 배우의 행보가 궁금하다.

  • CULTURE

    전시, 신간, 영상, 공연

MORE FROM KTX

  • CULTURE

    물처럼 예술처럼, 광주비엔날레

    부드럽고 여린 물방울이 모여 바위를 뚫고 길을 낸다. 제14회 광주비엔날레의 지휘를 맡은 이숙경 예술감독은 예술이 곧 물 같은 존재라고 믿는다.

  • LIFE STYLE

    내 장바구니 속 그림

    그림은 더 이상 ‘그림의 떡’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거래와 투자 대상으로 우리 옆에 바짝 다가왔다.

  • LIFE STYLE

    가볍게 한 잔, 편의점 하이볼

    집에서도 손쉽게 하이볼을 즐긴다. 안동소주로 만든 것부터 생청귤을 띄운 제품까지, 다양한 편의점 하이볼을 마셔 봤다.

  • TRAVEL

    국경도시의 매력, 세자나

    열차 타고 이탈리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를 지난다. 슬로베니아 서부에 위치한 도시 세자나로 향하는 길이 한 걸음 가까워졌다.

  • TRAVEL

    마을에 내리는 눈

    시처럼 꿈처럼 흩날리는 눈, 눈, 눈. 마을에, 마음에 내린 눈을 찾아 길을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