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STYLE MORE+

서울의 기차역 주변 여행기

매거진 창간 20주년을 기념해 네 명 에디터가 네 개의 기차역과 주변을 탐방했다.

UpdatedOn March 22, 2024

/upload/ktx/article/202403/thumb/55745-533284-sample.jpg

 서울역 

기차와 함께한 오후_김현정

기차를 ‘타러’가 아니라 ‘보러’ 서울역에 왔다. 기차 구경도 식후경. 먼저 3층 식당가의 ‘땀땀 서울역점’을 찾았다. 광고사진에 혹해 고른 ‘매운 한우 소곱창 쌀국수’는 사진 그대로다. 이 집 상훈(商訓)은 ‘퍼 주자’일 듯. 소곱창을 듬뿍 얹은 푸짐한 쌀국수를 흡입하니 기운이 솟는다. 옥상정원에서 문화역서울 284의 거대한 지붕을 감상하고, 그 옆 도킹서울에 들렀다. 주차타워를 전시 공간으로 탈바꿈한 도킹서울은 기차 옆모습을 보는 명당이다. 이어지는 서울로7017에서 평균 2~3분에 한 대씩 오가는 KTX, KTX-산천,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전철, 화물열차 등 온갖 기차를 실컷 지켜봤다. 기차에 더 다가가고 싶어 통일로를 따라 걸었다. 염천교에서는 기차 정수리를 내려다보고, ‘기차 뷰 성지’ 서소문 건널목에서는 코앞으로 지나가는 기차에 감탄했다. 땡땡땡 소리는 어찌 이리 정다운지. 내친김에 충정2교까지 가 터널을 들고 나는 기차에 손을 흔들었다. 어느 쪽에서 보아도 예쁘고 낭만적인 기계 덩어리. 기차 안 사랑하는 법, 그게 뭔데! 기차가 있어 행복해요.

3 / 10
서울역 준공표지판
한국철도공사는 2004년까지 철도청이었다. KTX 개통을 대비해 2003년 12월 30일 완공한 역 준공표지판에 흔적이 남아 있다. ‘발주자 철도청’.

서울역 준공표지판
한국철도공사는 2004년까지 철도청이었다. KTX 개통을 대비해 2003년 12월 30일 완공한 역 준공표지판에 흔적이 남아 있다. ‘발주자 철도청’.

  • 서울역 준공표지판
한국철도공사는 2004년까지 철도청이었다. KTX 개통을 대비해 2003년 12월 30일 완공한 역 준공표지판에 흔적이 남아 있다. ‘발주자 철도청’.서울역 준공표지판
    한국철도공사는 2004년까지 철도청이었다. KTX 개통을 대비해 2003년 12월 30일 완공한 역 준공표지판에 흔적이 남아 있다. ‘발주자 철도청’.

 용산역 

몸과 마음을 채우는 나들이_김수아

경인선 철도가 한강 이북까지 이어진 1900년부터 역사가 시작된 용산역. 처음에는 작은 목조 건물이었는데, 지금은 복합 문화 공간처럼 규모가 크고 볼거리도 많은 곳으로 변모했다. 인근에 세련된 카페와 세월이 느껴지는 옛 건물이 공존해 운치 있다. 7분 정도 걸어 도착한 ‘뿌리서점’, 커튼을 젖히고 들어가는 출입구가 왠지 비밀스럽다. 헌책방의 묘미는 존재조차 몰랐던 책을 발견하는 것. 김근태 화백의 <들꽃처럼 별들처럼> 전시 도록이 눈길을 끈다. 초록, 주황, 노랑이 한데 어우러진 풍경과 작가의 시선으로 본 장애인의 모습을 담았다. 잘 모르는 세계를 타인의 눈을 통해 만날 수 있다는 사실이 기뻐 소중히 품는다. 그 외 다섯 가지 버전의 <어린 왕자>와 절판된 책들을 훑었다. 이젠 허기를 채울 차례. 용산역 아이파크몰 7층에 자리한 비건 식당 ‘플랜튜드’에서 ‘트러플 감태 크림 떡볶이’에 바게트를 추가해 먹었다. 고소한 마카다미아 크림소스가 속을 든든히 채워 준다.

3 / 10

 

  • 강제징용노동자상
일제가 강제 동원한 한국인 노동자들의 넋을 기리고자 2017년 용산역 앞 광장에 세웠다. 김운성·김서경 조각가 부부의 작품이다.강제징용노동자상
    일제가 강제 동원한 한국인 노동자들의 넋을 기리고자 2017년 용산역 앞 광장에 세웠다. 김운성·김서경 조각가 부부의 작품이다.

 영등포역 

맥주로 잇는 역사 산책_남혜림

영등포역은 경인선 개통과 함께 운영을 시작했다. 이후 경부선에 편입되고 노량진역 임시 역사가 놓이는 등 혼란을 겪었지만, 지금까지 자리를 든든히 지키고 있다. 이곳은 수도권 전철 1호선과 ITX-새마을, 무궁화호 등 일반 열차와 KTX가 지나간다. 서울의 다른 역과 비교해 일반 열차 정차 횟수가 적다고 눈 돌리면 서운하다. 승강장에 사람이 얼마나 많은지, 각자의 목적지로 가는 사람들을 구경하다 1번 출구로 나왔다. 걸은 지 5분이 채 안 되어 영등포공원이 보인다. 비밀을 하나 말해 보자면, 공원 부지가 맥주 공장 터라는 사실! 재료 수급이 용이한 역 근처에 공장을 세운 것이다. 공원 중심부에서 1930년대에 실제로 사용했던 거대한 담금솥을 마주한다. 공원뿐 아니라 근처 아파트 단지에서도 맥주 공장 터임을 증명하는 기념물이 있어 산책길이 흥미롭다. 하늘이 어두워진 후, 맥주를 마실 요량으로 수제 맥주를 취급하는 역 근처 펍 ‘이목구비’에 들어갔다. 흑맥주 ‘영등포터’에 피자를 곁들여 맛보니 비로소 맥주로 이은 여정이 완성된다.

3 / 10
베이커리 오월의 종(구 경성방직 사무동)
1930년대, 영등포역에는 공장 단지가 자리했다. 당시 경성방직이 사무동으로 사용하던 벽돌 건물은 현재 고소한 빵을 굽는 베이커리로 변모했다.

베이커리 오월의 종(구 경성방직 사무동)
1930년대, 영등포역에는 공장 단지가 자리했다. 당시 경성방직이 사무동으로 사용하던 벽돌 건물은 현재 고소한 빵을 굽는 베이커리로 변모했다.

  • 베이커리 오월의 종(구 경성방직 사무동)
1930년대, 영등포역에는 공장 단지가 자리했다. 당시 경성방직이 사무동으로 사용하던 벽돌 건물은 현재 고소한 빵을 굽는 베이커리로 변모했다.베이커리 오월의 종(구 경성방직 사무동)
    1930년대, 영등포역에는 공장 단지가 자리했다. 당시 경성방직이 사무동으로 사용하던 벽돌 건물은 현재 고소한 빵을 굽는 베이커리로 변모했다.

 청량리역 

옛 서울을 만나는 시간_강은주

청량한 어감 때문에 자꾸만 소리 내어 부르고 싶은 이름 청량리. 가장 믿을 만한 어원 중 하나는 오늘날 홍릉근린공원 옆에 자리한 청량사라는 고찰이다. 청량리역은 1911년 10월 15일 영업을 개시한 이래 지금까지 수도권 전철 1호선과 경원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수인분당선 등이 오가는 서울 동쪽 교통의 허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서울 서쪽에서 나고 자란 까닭에 여전히 낯선 청량리역을 호기심 어린 눈으로 관찰했다. 동대문구청에서 운영하는 근사한 아카이브 ‘동대문구 기억 여행’(memory.ddm.go.kr)을 참고해 청량리역 검수차고-삼익아파트-답십리 굴다리 지하차도-경동시장-청량사에 이르는 동선을 짰다. 빽빽한 마천루가 펼쳐진 청량리역 북서쪽과 달리 검수차고가 위치한 남동쪽은 빛바랜 사진 같은 옛 서울의 정취가 고스란하다. 오래된 아파트, 알록달록한 네온사인 간판, 닳고 닳은 담벼락. 잃고 싶지 않은 풍경이기에 사진을 100장은 찍었나 보다. 경동시장 앞 ‘전통한방다전 경동점’에서 쌍화차를 마시며 앨범을 정리했고, 지금 그 결과물을 보고 계신다.

3 / 10

 

  • 청량리역 검수차고
1938년 건립한 청량리역 검수차고는 2006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철도 차량 정비 시설이다. 건물 바로 옆에 오래된 급수탑도 있다.청량리역 검수차고
    1938년 건립한 청량리역 검수차고는 2006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철도 차량 정비 시설이다. 건물 바로 옆에 오래된 급수탑도 있다.

<KTX매거진>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김수아

RELATED STORIES

  • LIFE STYLE

    소중한 사람에게

    한 해가 저물 때 고마운 마음 전할 방법을 고민한다. 한국을 담은 예쁜 굿즈가 좋은 선물이 되겠다.

  • LIFE STYLE

    가볍게 한 잔, 편의점 하이볼

    집에서도 손쉽게 하이볼을 즐긴다. 안동소주로 만든 것부터 생청귤을 띄운 제품까지, 다양한 편의점 하이볼을 마셔 봤다.

  • LIFE STYLE

    서울역에서 만나요

    반가운 얼굴을 마주하는 연말, 소중한 이와 함께하고 싶은 서울역 근처 만리재길 맛집을 찾았다.

  • LIFE STYLE

    맛있는 가을, 춘천 정원 맛집

    바깥으로 나서기만 해도 행복해지는 계절이다. 강원도 춘천에서 예쁜 정원을 자랑하는 맛집 세 곳을 골랐다.

  • LIFE STYLE

    사랑이 피어나는 남원이라네

    춘향과 몽룡의 이야기가 깃든 도시, 전북 남원에는 사랑으로 탄생한 작품과 건강한 먹거리가 풍부하다.

MORE FROM KTX

  • LIFE STYLE

    ‘덕질’은 진화한다

    아티스트의 품격을 높이려는 팬들의 노력은 계속된다.

  • TRAVEL

    시장으로 온 청년들, 제주 청년몰 B1

    제주도에서 각자의 공간을 정성껏 꾸려 가는 청년 상인을 만났다. 제주도 제주 동문공설시장 지하 1층엔 몸과 마음을 녹일 온기가 가득하다.

  • CULTURE

    비누, 사라짐으로써 존재하기

    닳아 없어지는 것을 박제한다. 더없이 찬란한 지금을 위해, 신미경은 비누라는 이름의 시간을 조각한다.

  • TRAVEL

    자연이 숨 쉬는 카오야이 국립공원

    타이 방콕에서 세 시간을 이동해 열대우림과 폭포를 마주한다. 카오야이 국립공원의 자연과 교감하며 하룻밤 묵어가는 여정을 계획한다.

  • TRAVEL

    이어 붙인다는 희망

    예술과 봉제 산업의 역사가 재봉틀로 꿰맨 듯 지금까지 이어졌다. 이음피움 봉제역사관은 사라졌지만 여전히 남은 옛 공간들이 서울 창신동 특유의 분위기를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