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카카오 스토리 인스타그램 네이버 포스트 네이버 밴드 유튜브 페이스북

통합 검색

인기검색어

HOME > ISSUE

ISSUE

정권교체, 앞으로의 부동산 전망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에 따른 6월 조기 대선이 실시되면서 부동산 시장에도 큰 변화가 불어닥칠 조짐이다. 각종 대선 여론조사에서 압도적 지지율을 보이는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내세우는 부동산 정책은 현 정권의 부동산 정책과 상당히 다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On April 30, 2025

이재명의 과거와 현재
부동산 정책과 전망 총정리

탄핵 이후 부동산 커뮤니티는 ‘카더라’ 무성

최근 각종 부동산 커뮤니티와 단톡방에서는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대통령이 되면 벌어질 부동산 시장에 대한 ‘카더라’가 무성하다. 대부분 사실이 아닌 찌라시성 이야기들이지만 2022년 제20대 대선 당시 더불어민주당의 공약이나 이재명 전 대표의 과거 발언들을 근거로 적당히 부풀린 경우가 많다.

제20대 대선 당시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전 대표가 내세웠던 핵심 부동산 공약은 △기본주택 100만 가구 공급 △국토보유세 도입 △다주택자 규제 강화 등이었다.

기본주택은 이재명 전 대표가 강조하는 기본소득, 기본대출 등 기본복지 시리즈의 연장선으로 무주택자라면 누구나 30년 이상 입주가 가능한 주택을 말한다. 그는 제20대 대선 당시 “강제 수용된 토지(신도시)는 로또 분양을 시킬 것이 아니라 염가의 임대료를 받으면서 원하는 시기까지 살 수 있도록 하는 임대주택을 만들어야 한다”며 신도시에서 분양할 아파트 상당수를 임대주택으로 공급하겠다는 뜻을 드러냈다.

국토보유세는 토지를 가진 사람이 토지 가격의 일정 비율을 세금으로 내도록 하는 제도다. 이재명 전 대표는 공약 발표 당시 “국토보유세의 세율 1%면 50조원가량인데 조세 저항이 심할 것이다”라며 “징수세 전액을 국민에게 균등 지급하는 기본소득 목적세로 신설하면 약 80〜90%의 국민은 내는 세금보다 받는 기본소득이 더 많은 준수혜자가 돼 조세 저항 최소화, 양극화 완화, 경제 활성화, 투기 억제 등 복합적 정책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다주택자들에게 징벌적 수준의 세금을 거둬야 한다는 공약도 내세웠다. 이재명 전 대표는 당시 “1가구 1주택일지라도 실주거용이 아니면 징벌적 증세를 해야 된다”며 “불로소득을 실주거용이 아닌 경우는 최소한 100% 환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20대 대선 당시 강력한 부동산 공약을 내세웠다는 점을 근거로 이번 대선에서 이재명 전 대표가 대통령에 당선되면 강력한 부동산 정책을 시행할 거라는 썰들이 부동산 투자자들 사이에서 퍼지고 있는 것이다.

KEYWORD
CREDIT INFO
취재
육종심(경제 전문 프리랜서)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2025년 05월호
2025년 05월호
취재
육종심(경제 전문 프리랜서)
사진
게티이미지뱅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