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카카오 스토리 인스타그램 네이버 포스트 네이버 밴드 유튜브 페이스북

통합 검색

인기검색어

HOME > LIFESTYLE

LIFESTYLE

상위 1% 워킹맘

논술 실력 키우는 일상 화법

요즘 젊은 친구들은 존대어 사용에 미숙하다. 핵가족 사회에서 외국인들이 헷갈려 한다는 한국말의 존대어가 우리 젊은이들에게도 점점 낯설고 어려운 어법이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On November 29, 2020

3 / 10
/upload/woman/article/202011/thumb/46626-434942-sample.jpg

 


글쓰기와 같은 논술의 기초가 반드시 별도로 공부해야만 이뤄지는 영역일까? 생활 속 언어 습관으로도 그 실력을 다질 수 있다. 결국 생각을 논리적으로 정리한 뒤에 말로 표현하느냐 글로 표현하느냐의 차이인데 이 태도 만들기는 부모가 평상시 언어 습관으로 도와줄 수 있다.

첫째, 식사 시간처럼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을 이용해 주제를 제시하고 펼치도록 해주자. 가르치겠다는 욕심 때문에 부담스러운 시사 등을 꺼내면 아이는 금세 흥미를 잃는다. 아이가 좋아하는 게임이나 애니메이션 등 눈높이에 맞는 주제를 꺼내는 게 중요하다.

“이번에 새로 나온 애니메이션 말이야. 재밌는데 어떤 장면은 폭력적이기도 했어. 청소년이 시청해도 되는 기준은 뭘까?” 아이는 자신의 생각을 두서없이 나열하기 시작할 것이다. 얘기 순서를 논리적으로 바꿔주는 건 부모의 몫이다. 기승전결의 순서를 정리해주면서 결론까지 이르도록 도와준다면 생활 속 대화에서 말과 글의 논리적 순서를 몸으로 익히게 된다.

둘째, 아이가 고등학생이 되면 신문을 구독하도록 해주는 것은 매우 유용하다. 다양한 칼럼을 읽으며 글의 논리성을 익힐 수 있고 시간이 없어 제목만 훑어보더라도 세상 돌아가는 시사의 감을 익힐 수 있다. 특히 주제어를 파악하는 훈련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중학생이라면 스포츠, IT, 연예, 영화 등 아이가 흥미를 느끼는 분야의 칼럼을 선택해 파일을 만들도록 하자. 부모가 칼럼을 먼저 읽은 뒤 짧은 생각의 코멘트를 달고 그 아래 아이의 생각을 적게 하면 다른 생각도 볼 수 있어서 논술 기초에 큰 도움이 된다.

셋째, 아직 초등학생이라면 거리의 간판을 이용해 생각 쌓기를 해보는 것도 실제적인 도움이 된다. 나는 아이들이 초등학생일 때 손을 잡고 걸으며 간판에 적힌 상호명으로 ‘짧은 글 이어가기’를 즐겨 했다.

예를 들어 ‘할매 떡볶이’ 앞을 지나간다고 하자. “떡볶이를 정말 좋아하는 아이가 있었어”라고 말하면 큰아이가 받는다. “그 아이가 부모님이 돌아가셔서 할머니랑 살게 되었대요.” 이번에는 작은아이가 받는다. “부모님이 안 계신 불쌍한 아이에게 할머니는 매일 떡볶이를 해주셨대요.” 이야기 속의 논리성을 위한 체계는 엄마가 잡아준다. “그런데 왜 하필 할머니는 떡볶이를 만들어주셨을까? 다른 음식도 많은데….” 문제를 제기하면 아이들은 자기 나름대로 논리를 만든다. “돌아가신 엄마가 생일마다 해주시던 음식이라 그 음식이 떠올랐대요!” 엄마의 질문에 아이 나름대로 논리적 이유를 제시하는 거다. 이야기는 끝없이 이어지면서 논리적 맥락을 잡아간다. 생각을 자꾸 하면 ‘말 할 거리’나 글감이 보이고, 보이는 것을 풀어내면 글이나 말의 맥락이 서고 체계도 잡힌다. 생활 속에서 깊이 사고하는 언어 습관은 결국 논술의 기본 바탕이 되는 것이다.

가난한 이웃집을 방문한 뒤 누군가는 이렇게 말한다. “정말 가진 게 없더라.” 그러나 누군가는 이렇게 말한다. “가슴 아파서 차마 뭐라고 형언하기 힘들었어!” 그리고 또 누군가는 그럴 것이다. “사회적 보장 체계에 한계를 느꼈어!” 하고 말이다. 사실만을 보고 있는가? 자신만의 느낌과 해석을 추가해 상대의 생각을 설득하고 있는가? 논리적인 생활 속 언어 습관이야말로 곧 훌륭한 논술의 첫걸음이다.

글쓴이 유정임(교육 칼럼니스트)

MBC FM <이문세의 별이 빛나는 밤에> 작가 출신으로 현재 부산·경남 뉴스1 대표로 근무 중. 두 아들을 카이스트와 서울대에 진학시킨 워킹맘으로 <상위 1프로 워킹맘>의 저자이다.

CREDIT INFO
에디터
하은정
유정임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2020년 11월호
2020년 11월호
에디터
하은정
유정임
사진
게티이미지뱅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