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TRAVEL MORE+

국경도시의 매력, 세자나

열차 타고 이탈리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를 지난다. 슬로베니아 서부에 위치한 도시 세자나로 향하는 길이 한 걸음 가까워졌다.

UpdatedOn August 25, 2024

3 / 10

 

열차 타고 국경을 넘는 경험, 이것이 불가능한 한국인에겐 더욱 로망 같은 일이다. 슬로베니아 철도가 이탈리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를 지나는 상품을 출시했다는 소식이 반가운 이유다. 세 나라를 이동하는 이 열차의 요금은 단돈 8유로(약 1만 1900원). 30년 전에 동일한 경로로 이동하는 상품이 있었으나, 이번에는 5시간에서 2시간으로 시간을 단축해 다시 선보인다. 150년 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에 처음 건설한 철도 노선을 따라 달려 더욱 뜻깊다. 열차는 이탈리아 북동부 항구도시 트리에스테에서 출발해 슬로베니아의 네 지역, 세자나·디바차·피우카·일리르스카비스트리차에 정차하고, 크로아티아 샤피아네와 오파티야마툴리를 지나 최종 목적지인 리예카에 도착한다.

ⓒ Stemberger 2024

ⓒ Stemberger 2024

ⓒ Stemberger 2024

열차가 닿는 두 번째 나라 슬로베니아는 이탈리아·오스트리아·크로아티아와 국경을 접하는 알프스산맥에 걸쳐 있다. 와인 생산지로도 역사가 깊은 곳인데, 기원전 켈트족이 이 일대에 자리 잡을 무렵부터 포도를 재배했다. 300년 넘게 이어진 북동부 도시 마리보르와 프투이의 와인 거래권 다툼 또한 이 지역 사람들에게 와인이 지니는 의미가 어느 정도인지 말해 준다. 슬로베니아는 비파바 계곡의 오래된 품종 이스트리안 말바시아부터 레포스코, 피노 누아 등 다양한 포도 품종을 재배한다. 거의 모든 와인이 자국에서 소비된다니, 한 번쯤 맛보고 싶다는 열망이 피어오른다.

다행히도 열차를 타고 세자나에 도착하면 그 소망을 이룰 수 있다. 비나크라시 와이너리를 방문해 와인 제조 과정을 살펴보고, 전문가의 설명과 함께 현지 와인을 천천히 음미한다. 아름다운 포도원 풍경을 둘러보며 슬로베니아의 전통 케이크 프리셰카 지비나치를 곁들여 먹는다면 그 순간이 더욱 또렷이 각인될 테다. 설레는 발걸음으로 열차에 올라 가까운 지인에게 메시지를 보낸다. “나 아까 이탈리아 트리에스테에서 출발, 지금 슬로베니아야.” 이게 바로 국경도시의 매력이다.

<KTX매거진>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김수아

RELATED STORIES

  • TRAVEL

    시장으로 온 청년들, 제주 청년몰 B1

    제주도에서 각자의 공간을 정성껏 꾸려 가는 청년 상인을 만났다. 제주도 제주 동문공설시장 지하 1층엔 몸과 마음을 녹일 온기가 가득하다.

  • TRAVEL

    지구의 시간을 걷다, 울주 지질 기행

    간절곶에서 타는 듯한 해돋이를 마주하고, 반구대 암각화를 바라보며 이 땅의 아득한 과거를 상상했다. 울산 울주를 두 발로 누비며 지구를 감각했다.

  • TRAVEL

    기차 여행자의 강릉 산책

    기차를 타고 강원도 강릉으로 하루 여행을 떠난다. 로컬 공방을 들여다보고, 정성 다한 음식을 먹으며 강릉을 만드는 창작자들과 이야기했다.

  • TRAVEL

    올해의 사진 한 장

    연말을 맞아 사진가와 디자이너가 잡지에 못 실어 아까워한 사진을 꼽았다. 에디터들도 동의합니다.

  • TRAVEL

    문경새재 옛길에서 듣다

    영남과 한양을 잇는 옛길에서 가장 사랑받는, 가장 살아 있는 구간. 경북 문경의 새재를 걸었다. 오래된 지혜와 이야기가 길처럼 이어졌다.

MORE FROM KTX

  • LIFE STYLE

    이토록 간편한 명절 음식

    전 부치느라 쩔쩔매는 명절은 이제 그만. 굽거나 가열해서 간편하게 먹는 명절 음식을 네 명의 에디터가 맛봤다.

  • CULTURE

    문화-전시·신간, 영상 콘텐츠·공연

  • TRAVEL

    DMO X 머무는 여행

    지역 주민과 사업체, 지방자치단체가 뜻을 모아 지역 관광 추진 조직 DMO를 이뤘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평창·강릉 DMO의 제안을 따라 즐거운 여행길을 나섰다.

  • LIFE STYLE

    전국 지자체 자랑

    패러디, 웹 드라마, 마스코트 등 내 고장을 알리는 법도 가지각색이다. 재치 넘치는 고장 홍보 방법을 부문별로 모았다.

  • CULTURE

    시가 흐르는 강가에 서서

    시인의 문장과 시어를 낭독하는 목소리가 신비로운 영상 위로 휘몰아친다. 전남 광양 전남도립미술관 <시의 정원>전 문을 열어젖히는 작품 ‘스틱스 심포니’의 안유리 작가와 공감각적 대화를 나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