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는 기묘하다. 도시 중심부에 넓은 권역을 차지한 고분군은 경주의 분위기를 만드는 핵심이다. 거대한 무덤이 불쑥불쑥 나타나 모르는 척할 수도 없다. 영화 <경주>의 주인공 공윤희가 “경주에서는 능을 보지 않고는 살기 힘들어요”라고 이야기하듯. 아주 오래전 대단한 사람이 살았다는 흔적, 그런 사람조차 죽어 흙으로 돌아갔다는 증거. 인간이 밟고 선 어지간한 땅이란 대부분 선조가 살다 물려주었다지만, 경주는 이 사실을 두 눈으로 확실히 확인시키는 도시다. 긴 세월이 선사하는 압도적 감각은 오로지 경주만의 것이다. 935년 신라가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1000년 넘게 지나서도 인간은 그 무덤 사이사이에서 먹고 마시고 일상을 영위한다. 무덤가를 걷고, 무덤을 배경에 두고 웃으며 사진을 찍는다. 삶과 죽음이 공존한다는 흔하고도 엄중한 말이 공기처럼 자연스럽다.
수도로 1000년, 그 뒤 수도가 아닌 세월로 1000년 이상을 보냈으니 도시 자체가 유적, 박물관, 보물이다. 경주는 오랜 시간 제1의 수학여행지였다. 친구들과 웃고 떠드느라 그 귀하다는 유물과 장소가 눈에 들어오지 않았더라도 수많은 학생이 경주에 청춘의 추억 한 자락을 심고 돌아왔다. 그러다 훗날 문득 경주를 떠올린다. 학창 시절, 나와 친구의 풋풋했던 모습과 함께. 다시 찾은 경주는 이전과 사뭇 다르다. 고분을 거니는 기분이, 불국사를 보는 감상이. 안내판을 꼼꼼하게 읽게 되고, 과거와 미래와 삶과 죽음을 사색하게 된다. 두 번째 ‘수학’여행이다.
고분군이 경주의 첫인상이라 하여 도시 분위기가 무거운 것만은 당연히 아니다. 먼 옛날 먼저 간 이의 무덤은 지금 여기의 삶에 유한하고도 애틋한 낭만을 부여한다. 몇 걸음마다 마주치는 유물과 유적지도 마찬가지다. 많은 영상 제작자가 이런 이유로 경주를 선택했다. 옛 무덤 앞에서 하는 고백의 무게라…. 사랑, 용서, 슬픔, 회한이 여기서는 조금 더 짙고 아름다우며 절실해진다.
신라 외의 경주도 다양한 면모를 갖췄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옥산서원과 양동마을은 조선의 정취를 오롯이 전하고, 동쪽에서는 동해를 따라 소박한 어촌이 마음을 잡아끈다. 경주 여행기에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찍기만 해도 영화 같고 뮤직비디오 같다는 말이 즐비하다. 나이가 몇 살이든 박혁거세보단 한참 젊어 모두가 청춘이 되는 경주. 그곳의 진한 감수성을 담은 작품을 만난다.
이곳에서 촬영했어요
<KTX매거진>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