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CULTURE MORE+

‘진부한’ 나무에 대해 쓰기

나무와 나무 사이에 있는 사람. 평범하고도 평범한 우리. 낡고 새롭지 않은 것들의 아름다움에 대해 말한다.

UpdatedOn March 25, 2022

/upload/ktx/article/202203/thumb/50543-483045-sample.jpg

나무와 나 나무 나

김지녀

잎이 돋을 때
공원에는 나무와 나 나무 나무 사이에 나뿐이어서
하늘이 빙글빙글 돌았다

나무, 가 된다는 상상이 문학적으로 실패란 걸 알지만
나무, 가 된다면 적어도 오늘은 성공이라고 생각했다

나무와 나무 나 나무 사이에 나무는 나와
나 사이 나무의 나무

그새 잎들이 짙어졌다
누군가 걸어오고 있다

나무 나무 나무와 나 사이에 나 나무가 흔들렸다
새들이 갑자기 날아갔다
누군가 숨어 있다

나무를 천천히 만지니까
손끝에서 얇은 가지 하나가 쑥 돋아났다
기차가 떠날 시간이었다

-
처음 시를 배울 때 선생님은 말씀하셨다. 부모님에 대한 시는 쓰지 말라고. 그 이후에도 많은 선배에게 비슷한 이야기를 들었다. 이유는 간단했다. 진부한 주제다, 엄마 아빠에 대한 시는 이미 너무 많은 시인이 썼으니 뛰어넘을 만큼 압도적으로 멋진 시를 쓸 게 아니면 쓰지 마라. 그래서 나도 후배들에게 그대로 말해 준 것 같다. 하지만 엄마 아빠에 대한 시를 내가 전혀 안 쓴 건 아니고, 다른 선후배 시인들도 마찬가지다. 쓰지만, 쓰면서도 조심스러운 대상, 그게 우리 엄마 아빠인 것. 자식 키우느라 고생하셨는데, 그 자식들이 쓰는 시 속 주인공이 되기 어려운 존재. 신파 같으니 여기까지.

나무도 그렇다. 세상에 존재하는 아름다운 것 중 손에 꼽힐 텐데, 나무는 시에서 진부한 대상이다. 초등학교 백일장에 출품된 작품을 보면 절반 정도가 나무에 대한 시다. 우리는 어릴 때부터 나무에 대해 쓰거나 그렸다. 그러니 나무는, 부모님만큼 진부하다. 늘 우리 옆에 있는 건 진부해지고, 진부한 것은 문학의 소재가 되지 못한다. 물론 정확하게 적자면, 진부하게 쓰는 것이 문제겠지만. 나는 나무와 엄마와 아빠가 다 등장하는 시를 쓴 적이 있는데, ‘와, 이걸 정말 내가 썼다고? 역시 이우성 천재’라고 혼자 감탄하고, 다음 날 아침에 파일을 지웠다. 그것은 군대에서 축구를 한 이야기보다 훨씬 더 진부했으며, 심지어 손발이 오그라들었던… 것이다.

그러나 나는 엄마 아빠에 대한 시를 읽는 것과 쓰는 것을 모두 좋아하며, 나무 역시 그렇다. 무엇인가를 뛰어넘을 만큼 압도적인 작품을 쓰겠다는 포부 같은 건 당연히 없다. ‘쓰지 말라고 하니까, 그걸 쓰는 게 오히려 진취적인 거 아냐?’라고 혼자 생각한다. 나무에 대해 쓴 시인도 좋아한다. 특히 더 좋아하는 건, 나무에 대해 뭐라고 썼는지 추측해 보는 것.

시의 제목이 왜 ‘나무와 나 나무 나’인지는 시를 읽고 장면을 떠올리면 자연스럽게 알게 된다. 시인이거나 시에 등장하는 사람, 즉 화자는 공원의 나무와 나무와 나무와… 들 사이에서 올려다보고 있다. 내가 거기 있었더라도, 나무에 대해 시를 쓰고 싶었을 것 같다. 그래서 이런 문장이 나온 게 아닐까. “나무, 가 된다는 상상이 문학적으로 실패란 걸 알지만/ 나무, 가 된다면 적어도 오늘은 성공이라고 생각했다”.

두 문장만으로도 시지. 가끔은 어떤 문장이 너무 아름다워서 그 시인에게 전화를 걸거나 메일을 보내기도 하는데, 이 시를 쓴 김지녀 시인에게도 새삼 그러고 싶었다. 그러니까 이 글은 그 마음을 담은 메일일 것이다.

“문학적으로 실패”라고 고백하는 것도 좋고, 나무를 상상하는 대신 정말 나무가 된다는 표현과 의지가 나는 많이 좋다. 물론 나무가 된다는 건, 정말 그렇게 느껴지게 시를 쓰는 건 어려운 일일 것이다. 그러니까 이 시의 제목은 ‘나무와 나무와 나무와 나무’가 될 수 없다. 나무와 나무들 사이 ‘나’일 수밖에 없다. ‘나’가 완벽하게 나무가 되는 건… 음. 될 수도 있지, 그렇지만, 그렇게 되면, 말도 안 되게 아름다워 버리잖아!

제목을 다시 보자면 ‘나무와 나 나무 나’이다. ‘나 나무’ 사이에 ‘와’를 넣어야 올바른 표현일 텐데 뺐다. 그래서 ‘나 나무 나’로 읽힌다. 나가 나무 같고 나무가 나 같다. 정말 나무가 되고 싶어, 라는 순수한 의지도 읽힌다. 그러니 진부하게 또 나무에 대한 시야, 라고 말할 수가 없고, 그냥, 좋아, 라고 나는 이 시를 소리 내어 읽으며 방금 말했다.

그런데 시인이 아닌 사람은 나무와 나무 사이에서 어떤 상상을 할까? 예쁘다고 느끼긴 하겠지만 굳이 나무가 되어야겠다는 상상은 안 하려나? 그렇다면, “나무, 가 된다면”이라는 문장은 의지 같은 것일 수도 있겠다. 좋은 시를 쓰고 싶다는. 그 마음이 이 시인의 일상을 온통 시로 채워 버려서, 문학적으로 실패하더라도 나무에 대한 시를 쓰게 만든 걸까? 잠시 공원을 거닐며 나무를 올려다보는 순간조차 시를 잊을 수 없었을까(이 지면에서 늘 적는 이야기지만, 이런 시인과 동료라는 사실이 나는 정말 좋다).

그러나 시인은 알고 있다. 나무가 된다 한들, 그것은 결국 ‘오늘의 성공’이라는 것. 기차가 떠날 시간이 되었으므로. 나무의 삶을 살건, 자신의 현실 속으로 돌아가건 우리는 모두 시간이라는 기차에 탑승한 승객이니까. 아, 진부해. ‘시간이라는 기차’라니! 내가 썼지만, 내가 봐도 진부해. 그래서 뜬금없이, 오늘, 이런 생각도 하게 된다. 진부한 건 진부한 대로, 아름답지 않겠느냐고.

나무와 나무 사이에 서서 올려다보면 나는 앞으로 김지녀 시인이 떠오를 것 같다. 진부하고 소중한 나의 엄마와 아빠도. 진부한 나무가 시를 통해 나에게 많은 것을 느끼게 해 준다.

<KTX매거진>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writer 이우성(시인)
Editor 남혜림

RELATED STORIES

  • CULTURE

    전시, 신간, 영상, 공연

  • CULTURE

    지붕 위의 우아함 - 백제 왕흥사지 치미

  • CULTURE

    What's up

  • CULTURE

    이 책이 그 책, 그 책이 이 책

    드라마를 보다 책이 등장하면 표지에 눈길이 가고, 제목을 알고 싶고, 펼친 쪽의 내용이 궁금해진다. 단순한 소품일까, 엄청난 복선일까. 영상 속 책은 우리를 상상하게 한다.

  • CULTURE

    전시, 신간, 영상, 공연

MORE FROM KTX

  • TRAVEL

    치유와 사유의 섬, 강화

    도심에서 한 시간 반이면 닿는 자연의 보고, 인천 강화로 떠난다. 이승섭 강화군청 행정복지국장의 안내를 따라 한 걸음씩 가까워진다.

  • TRAVEL

    예술이 그린 섬, 신안

    잔잔한 파도 소리가 여행자를 반긴다. 전남 신안 자은도가 품은 예술 이야기를 들으러 남쪽으로 떠났다.

  • LIFE STYLE

    제로 웨이스트를 향해, 레벨제로

    친환경과 지속 가능성. 레스토랑에서 이를 어떻게 구현할까? 레벨제로의 데니 한 셰프는 제로 웨이스트를 목표로 나아가는 중이다.

  • FILM

    서울역에서 만나는 KTX매거진 8월호

    하루 열차 관련 이용객만 14만 명이 오가는 서울역! 열차 시간표 전광판이 있는 메인 게이트 양옆 4개의 멀티비전에 KTX매거진 영상이 나가고 있습니다. 울창한 녹음과 시원스러운 물빛을 담은 KTX매거진 8월호, 그 영상을 공개합니다.

  • LIFE STYLE

    구독, 좋아요, 한국철도TV

    힘차게 발 구르며 출발한다. 한국철도를 알리는 새 얼굴, SNS 영상제작팀을 만났다.